이 연구는 마르크스의 인간관과 인간소외론을 분석적으로 재음미하고, 그것이 지니는 의의와 한계를 사회윤리 및 사회과학 방법론 등 두 가지 측면에서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마르크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마르크스의 인간관과 인간소외론을 분석적으로 재음미하고, 그것이 지니는 의의와 한계를 사회윤리 및 사회과학 방법론 등 두 가지 측면에서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마르크스...
이 연구는 마르크스의 인간관과 인간소외론을 분석적으로 재음미하고, 그것이 지니는 의의와 한계를 사회윤리 및 사회과학 방법론 등 두 가지 측면에서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마르크스의 인간소외론은 그것이 정립·제시된 시기로 보나, 그의 사회과학 이론 전개의 전체적인 순서와 과정에 비추어 보나, 서론-그 가운데서도 특히 문제제기와 그 문제에 대한 처방적 가정 설정의 부분에 해당된다.
마르크스를 천착해 오면서 편자는 그의 인간소외론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의 인간관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그의 인간관은 한 마디로 「노동적 인간관」이다. 이 연구는 그의 인간관을 모형화하여 제시한다. 이어서 「1844년 경제·철학 수고」의 내용을 중심으로 하여 그의 인간소외론을 (1) 소외 발생의 배경, (2) 소외 발생의 구조, (3) 소외의 4가지 차원 및 (4) 처방적 가정 등의 순으로 분석한다. 그 결과를 앞서 정립·제시한 마르코스의 「인간관 모형」과 연계시켜 「인간 소외 발생의 절차 구조 모형」을 새롭게 정립·제시한다.
마르크스의 인간소외론은 (1) 이론 전개 과정에 스며있는 마르크스의 학문적 성실성과 과학성을 지향하는 진지한 노력의 자세, (2) 그에 바탕하여 사회 변동문제를 경제적 요인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는 사회과학 방법론의 새 지평 전개, 그리고 (3) 19세기 중엽 영국자본주의 경제 질서 아래서 발생하고 있던 인간소외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안되는 사회 문제'로 제기한 그의 사회윤리적 용기 등에서 커다란 의의를 지닌다.
이러한 긍정적인 의의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의 인간소외론이 (1) 인간소외 문제에 대한 경제 일변도적인 설명이 빚어내는 일면성의 한계(이 한계는 그의 처방 모색의 단순성으로 이어진다), (2) 자본주의 사회에서 제기되는 문제 확인의 현실성(실제성)에 반하여, 그에 대한 마르크스적 처방이 지니는 비현실성(공상성)이 서로 모순된다는 사실 등의 한계를 지니고 있음이 지적된다.
하지만,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정치적 위험성(?)이 거의 가시고 있는 오늘의 이 전환기적 상황에서, 우리는 그것에 대한 참된 의미에서의 '과학적 분석·비판'을 통하여 그것이 지니고 있는 긍적적 요소와 부정적 요소를 정확히 가르고, 그것을 우리 사회의 바람직한 미래 개척에 진향적으로 참고하는 자세가 요구된다.
" 칸트의 의무 - 자신에 대한 의무와 타인에 대한 의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