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녹색성장에 기초한 이명박 정부 기후변화정책레짐에 대한 사회적 수용과 평가 = 전문가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575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이명박 정부가 녹색성장이란 이념적 기초를 토대로 보다 적극적인 기후변화정책레짐을 구축하였다는 시각을 토대로 하여 한국사회에서 녹색성장이 기후변화정책레짐의 적절한 원...

      이 글은 이명박 정부가 녹색성장이란 이념적 기초를 토대로 보다 적극적인 기후변화정책레짐을 구축하였다는 시각을 토대로 하여 한국사회에서 녹색성장이 기후변화정책레짐의 적절한 원칙으로 수용되고 있는지, 이러한 녹색성장에 기초한 기후변화정책레짐이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었고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지를 기후변화 전문가들에 대한 인식조사를 통해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이명박 정부는 녹색성장이라는 국정 기조를 바탕으로 한 기후변화정책레짐을 구성하는 데 부분적으로 성공적이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가와 기업, 시민사회가 일정한 인식 차이를 드러냈음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는 국가 감축 목표의 설정과 목표관리제 도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며 녹색성장이란 국정 기조가 기후변화 정책에 일정 부문 효과적이었다고 평가하였다. 기후변화정책레짐의 향후 방향에 대해서는 녹색성장 개념을 버리고 지속가능발전이란 국정 기조로 회귀하기보다는 녹색성장 기조를 유지하면서 지속가능발전과 조화시키는 것이 적절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이명박 정부의 기후변화정책레짐은 시민사회로부터 대체적으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거버넌스 구축이나 핵심적인 기후변화 대응 정책수단인 원자력 확대정책과 4대강 사업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 못했다. 차기 정부는 기후변화 대응을 주요 국정의제로 유지하면서 녹색적 가치를 진정성 있게 추구하면서 참여적이고 민주적인 의사결정 과정을 통해 사회구성원들이 합의하는 방향으로 기후변화정책레짐을 재구성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amine, taking the perspective that the Lee Myung-bak government has constructed an active climate change policy regime based on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green growth, whether green growth has been accepted in South Korean soc...

      This paper aims to examine, taking the perspective that the Lee Myung-bak government has constructed an active climate change policy regime based on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green growth, whether green growth has been accepted in South Korean society as a suitable fundamental principle of the climate change policy regime; examine to what degree the concepts’s goals have been achieved through the green growth-based climate change policy regime; and measure how well these goals have been fulfilled through an opinion survey of experts in the field. The results of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Lee government was partially successful in constructing a climate change policy regime based on the concept of green growth. Even a perception gap exists among experts in the government, business and civil society, setting of national greenhouse gas reduction target and implementation of greenhouse gas and energy target management system were evaluated positively, and green growth as a national management principle was judged to have been effective toward combating climate change. Concerning the future direction of the climate change policy regime, the majority of respondents supported harmony between the concepts of green growth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s a new national management paradigm, rather than abolition of the concept of green growth or a return to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However, the civil society generally criticized the Lee government’s climate change policy regime for the poor level of governance and both of its fundamental climate policies ? the nuclear power expansion policy and the Four Major River Project ? did not received largely positive evaluations. The next government needs to build a social consensus and reconstruct the climate change policy regime through more democratic and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processes, while maintaining climate change response at the top of the national agend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과 기후변화 대응 현황: 정책레짐과 녹색성장 전략의 이해
      • 3. 조사 설계와 실시
      • 4. 설문 응답 결과
      • 5. 결론과 연구의 시사점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과 기후변화 대응 현황: 정책레짐과 녹색성장 전략의 이해
      • 3. 조사 설계와 실시
      • 4. 설문 응답 결과
      • 5. 결론과 연구의 시사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순진, "한국의 에너지체제와 지속 가능성 : 지속 불가능성의 지속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78) : 12-56, 2008

      2 오경택, "한국의 기후변화 외교, In 한국의 환경외교: 쟁점과 전망" 외교통상부 33-51, 2010

      3 송성수, "한국 과학기술정책의 특성에 관한 시론적 고찰" 2 (2): 63-83, 2002

      4 윤순진, "지속가능한 에너지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에너지정책 개선방향: 재생가능 에너지관련 법·제도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바탕으로" 14 (14): 269-300, 2003

      5 김정수, "정책레짐(Policy Regime)모델을 이용한 미국 통상정책의 제도적 변화 분석" 36 (36): 129-155, 1996

      6 고재경, "전문가 100인의 진단: Rid+20과 한국의 지속가능한 발전 과제" (51) : 2012

      7 이수진, "재생가능에너지 의무할당제의 이론과 실제: RPS 도입국가들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환경정책학회 19 (19): 79-111, 2011

      8 최병두, "신자유주의적 에너지정책과‘녹색성장’의 한계" 대한지리학회 45 (45): 26-48, 2010

      9 최장집,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후마니타스 2005

      10 김정수, "미국 무역정책체제의 변화에 관한 연구" 26 (26): 469-492, 1992

      1 윤순진, "한국의 에너지체제와 지속 가능성 : 지속 불가능성의 지속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78) : 12-56, 2008

      2 오경택, "한국의 기후변화 외교, In 한국의 환경외교: 쟁점과 전망" 외교통상부 33-51, 2010

      3 송성수, "한국 과학기술정책의 특성에 관한 시론적 고찰" 2 (2): 63-83, 2002

      4 윤순진, "지속가능한 에너지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에너지정책 개선방향: 재생가능 에너지관련 법·제도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바탕으로" 14 (14): 269-300, 2003

      5 김정수, "정책레짐(Policy Regime)모델을 이용한 미국 통상정책의 제도적 변화 분석" 36 (36): 129-155, 1996

      6 고재경, "전문가 100인의 진단: Rid+20과 한국의 지속가능한 발전 과제" (51) : 2012

      7 이수진, "재생가능에너지 의무할당제의 이론과 실제: RPS 도입국가들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환경정책학회 19 (19): 79-111, 2011

      8 최병두, "신자유주의적 에너지정책과‘녹색성장’의 한계" 대한지리학회 45 (45): 26-48, 2010

      9 최장집,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후마니타스 2005

      10 김정수, "미국 무역정책체제의 변화에 관한 연구" 26 (26): 469-492, 1992

      11 윤순진, "기후변화 대응을 둘러싼 사회갈등 예방과 완화를 위한 거버넌스의 모색" 4 (4): 125-160, 2009

      12 이영희, "과학기술 민주화 기획으로서의 합의회의: 한국의 경험" 한국사회과학연구회 (73) : 294-324, 2008

      13 윤순진, "‘저탄소 녹색성장’의 이념적 기초와 실재" 한국환경사회학회 13 (13): 219-266, 2009

      14 김호철, "New modality for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of abdominal aortic aneurysm and funnel chest : segmentation and 3-D reconstruction based on proposed geometric active contour model (PGACM)"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15 이상헌, "MB정부 ‘저탄소 녹색성장 전략’에 대한 정치경제학적 고찰" 한국환경사회학회 13 (13): 7-41,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2 0.97 1.244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