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20년 전후 만주(滿洲)・연해도(沿海島) 지역 마적단의 활동과 성격 -대중매체 속의 마적 활동과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Activities and Characteristics of bandits in Manchuria(滿洲) and Yeonhaedo(沿海島) around 1920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5231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20년 ‘독립전쟁’ 시기를 전후하여 연해도 지역에서 활동한 마적 영화와드라마와 같은 대중매체뿐만 아니라, 문학 작품 등에서도 일제강점기부터 현재까지 주요 소재로 활용되었다. 이 과정에서 연해도 지역 마적단은 ‘금전적인 이득을 취하기 위해 산발적・개별적으로 활동하는 무법적 집단’의 이미지로 활용되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주목한 드라마 「도적(刀嚁): 칼의소리」에등장하는 장기룡 마적단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1920년 ‘독립전쟁’ 시기 연해도 지역에서 무장독립운동을 전개한한인 참여자들의 평가와 같이 연해도 지역의 마적단은 정세 변화에 따라 일제와 정치적 관계를 맺고 통일된 군사 집단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1920년 전후 연해도 지역에서 활동한 마적단은 청일전쟁과 러일전쟁, 신해혁명, 만몽독립운동, 러시아 내전 등 연해도 지역의 정치적 사건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191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대규모 마적단으로 변모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연해도 지역 일부 마적단은 러일전쟁 이후 만주지역에 진출한 일본인 마적단, 일제 시베리아 파견군 등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활동했다. 1920년 서간도 지역에서 한인 무장독립운동 세력을 공격한 장강호 마적단과제2차 훈춘사건을 주도한 고산 마적단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러한 마적단의 활동은 1920년 ‘독립전쟁’ 시기 연해도 지역의 한국 무장독립운동과 한인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번역하기

      1920년 ‘독립전쟁’ 시기를 전후하여 연해도 지역에서 활동한 마적 영화와드라마와 같은 대중매체뿐만 아니라, 문학 작품 등에서도 일제강점기부터 현재까지 주요 소재로 활용되었다. 이 ...

      1920년 ‘독립전쟁’ 시기를 전후하여 연해도 지역에서 활동한 마적 영화와드라마와 같은 대중매체뿐만 아니라, 문학 작품 등에서도 일제강점기부터 현재까지 주요 소재로 활용되었다. 이 과정에서 연해도 지역 마적단은 ‘금전적인 이득을 취하기 위해 산발적・개별적으로 활동하는 무법적 집단’의 이미지로 활용되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주목한 드라마 「도적(刀嚁): 칼의소리」에등장하는 장기룡 마적단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1920년 ‘독립전쟁’ 시기 연해도 지역에서 무장독립운동을 전개한한인 참여자들의 평가와 같이 연해도 지역의 마적단은 정세 변화에 따라 일제와 정치적 관계를 맺고 통일된 군사 집단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1920년 전후 연해도 지역에서 활동한 마적단은 청일전쟁과 러일전쟁, 신해혁명, 만몽독립운동, 러시아 내전 등 연해도 지역의 정치적 사건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191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대규모 마적단으로 변모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연해도 지역 일부 마적단은 러일전쟁 이후 만주지역에 진출한 일본인 마적단, 일제 시베리아 파견군 등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활동했다. 1920년 서간도 지역에서 한인 무장독립운동 세력을 공격한 장강호 마적단과제2차 훈춘사건을 주도한 고산 마적단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러한 마적단의 활동은 1920년 ‘독립전쟁’ 시기 연해도 지역의 한국 무장독립운동과 한인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activities and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nchuria and Yeonhaedo(沿海島)’s bandits in the area around 1920.
      During the 1910-1920’s period, Manchuria and Yeonhaedo’s bandits has been used as a major material in literary works as well as in popular media such as movies and dramas since Japanese colonial era to the present day. In this process, bandits used as an image of ‘a lawless group that operates sporadically and individually to make monetary gains’. However, like the evaluation of Korean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Far east Russia around 1920, bandits formed political relations with the Japanese imperialism and acted as a united military group in response to change to changes in the situation.
      The bandits, which was active in Manchuria around 1920, began to transform into a large-scale bandits in the 1910s, closely related to political events such as the Sino-Japanese War, the Russo-Japanese War, and the 1911 Revolution etc. In this process, some bandits in the Yeonhado region worked closely with Japanese bandits, and the military group of Japanese intervention in Siberia. The case of Jang Gang-ho’s bandits, which attacked Korean armed independence movement forces in the West Gando region in 1920, and Gosan badits, which led the second Hunchun incident. These activities of the bandits greatly influence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Korean community in the Yeonhado area during the ‘Independence War in 1920’.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activities and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nchuria and Yeonhaedo(沿海島)’s bandits in the area around 1920. During the 1910-1920’s period, Manchuria and Yeonhaedo’s bandits has been used as a major material in l...

      This study examines the activities and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nchuria and Yeonhaedo(沿海島)’s bandits in the area around 1920.
      During the 1910-1920’s period, Manchuria and Yeonhaedo’s bandits has been used as a major material in literary works as well as in popular media such as movies and dramas since Japanese colonial era to the present day. In this process, bandits used as an image of ‘a lawless group that operates sporadically and individually to make monetary gains’. However, like the evaluation of Korean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Far east Russia around 1920, bandits formed political relations with the Japanese imperialism and acted as a united military group in response to change to changes in the situation.
      The bandits, which was active in Manchuria around 1920, began to transform into a large-scale bandits in the 1910s, closely related to political events such as the Sino-Japanese War, the Russo-Japanese War, and the 1911 Revolution etc. In this process, some bandits in the Yeonhado region worked closely with Japanese bandits, and the military group of Japanese intervention in Siberia. The case of Jang Gang-ho’s bandits, which attacked Korean armed independence movement forces in the West Gando region in 1920, and Gosan badits, which led the second Hunchun incident. These activities of the bandits greatly influence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Korean community in the Yeonhado area during the ‘Independence War in 19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