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코로나-19를 겪는 과정에서 초등학교 배구부 운영 현실과 발전적 운영방안 = The reality of the oper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volleyball club in the process of experiencing COVID-19 and its developmental management pl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112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ality and difficulties of running an elementary school volleyball club in the process of experiencing COVID-19, and to explore future developmental plans through in-depth understanding and their own overcoming process. To this end, in March 2020,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teachers in charge of the volleyball club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at an elementary school in Gangwon-do. In addition, observations, documents, and various docume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looked at the volleyball club-related tasks and student guidance and management of elementary school volleyball club teachers prior to COVID-19 in ordinary daily life. Second,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COVID-19 situation, you can feel the passion to operate a volleyball club in line with the government's social distancing stage and to operate a situation that has never been experienced before as a teacher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various activities. could Third, in the new preparation, the need to seriously think about the oper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volleyball club, preemptively prepare for various emergencies that may be encountered in the future and again, and prepare appropriate countermeasures, was fully recogniz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various programs, contents, and system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volleyball club have been developed to prepare for the upcoming future society. It is intended to be provided as a basic data.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ality and difficulties of running an elementary school volleyball club in the process of experiencing COVID-19, and to explore future developmental plans through in-depth understanding and their own o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ality and difficulties of running an elementary school volleyball club in the process of experiencing COVID-19, and to explore future developmental plans through in-depth understanding and their own overcoming process. To this end, in March 2020,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teachers in charge of the volleyball club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at an elementary school in Gangwon-do. In addition, observations, documents, and various docume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looked at the volleyball club-related tasks and student guidance and management of elementary school volleyball club teachers prior to COVID-19 in ordinary daily life. Second,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COVID-19 situation, you can feel the passion to operate a volleyball club in line with the government's social distancing stage and to operate a situation that has never been experienced before as a teacher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various activities. could Third, in the new preparation, the need to seriously think about the oper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volleyball club, preemptively prepare for various emergencies that may be encountered in the future and again, and prepare appropriate countermeasures, was fully recogniz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various programs, contents, and system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volleyball club have been developed to prepare for the upcoming future society. It is intended to be provided as a basic dat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코로나-19를 겪는 과정에서 초등학교 배구부 운영에 대한 현실과 어려움을 파악하고 심층적인 이해와그들만의 극복과정을 통해 향후 발전적인 운영방안을 탐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3월 강원도 관내 초등학교에 근무 중인 초등교사 중 배구부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 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이 외에 관찰, 문서자료와 다양한 문헌을 수집·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범한 일상으로 코로나-19 이전 초등학교 배구부 담당교사들의 배구부 관련 업무와 학생지도 및 관리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코로나-19 상황 극복기에 대한 내용은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에 맞추어 배구부를 운영하고 다양한 활동에참여하는 과정에서 한 번도 겪어보지 못한 상황을 교사로서 노력과 혼신을 다해 운영하고자 하는 열정을 느낄 수있었다. 셋째, 새로운 준비에서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초등학교 배구부 운영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미래 시대와 또다시 겪을지 모르는 다양한 비상 상황을 선제적으로 준비하며 이에 맞는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필요성을충분히 인식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가오는 미래 사회에 대비하는 초등학교 배구부 운영과 관련된 다양한 프로그램 및 콘텐츠, 시스템이 개발되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초등학교 배구부 운영에 대한 플랫폼 제작에 도움이 될 만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코로나-19를 겪는 과정에서 초등학교 배구부 운영에 대한 현실과 어려움을 파악하고 심층적인 이해와그들만의 극복과정을 통해 향후 발전적인 운영방안을 탐색하고자 하는데 목...

      본 연구는 코로나-19를 겪는 과정에서 초등학교 배구부 운영에 대한 현실과 어려움을 파악하고 심층적인 이해와그들만의 극복과정을 통해 향후 발전적인 운영방안을 탐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3월 강원도 관내 초등학교에 근무 중인 초등교사 중 배구부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 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이 외에 관찰, 문서자료와 다양한 문헌을 수집·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범한 일상으로 코로나-19 이전 초등학교 배구부 담당교사들의 배구부 관련 업무와 학생지도 및 관리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코로나-19 상황 극복기에 대한 내용은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에 맞추어 배구부를 운영하고 다양한 활동에참여하는 과정에서 한 번도 겪어보지 못한 상황을 교사로서 노력과 혼신을 다해 운영하고자 하는 열정을 느낄 수있었다. 셋째, 새로운 준비에서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초등학교 배구부 운영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미래 시대와 또다시 겪을지 모르는 다양한 비상 상황을 선제적으로 준비하며 이에 맞는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필요성을충분히 인식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가오는 미래 사회에 대비하는 초등학교 배구부 운영과 관련된 다양한 프로그램 및 콘텐츠, 시스템이 개발되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초등학교 배구부 운영에 대한 플랫폼 제작에 도움이 될 만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의창, "한국체육 개혁의 방향과 스포츠교육의 역할 - 스포츠교육이 이끌어가는 한국체육 4.0을 지향하며 -"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7 (27): 1-21, 2020

      2 연합뉴스, "프로농구 4주 중단···프로배구는 무기한 스톱"

      3 이의재 ; 제성준 ; 윤현수, "코로나19 펜데믹(pandemic) 상황에서 고등학교 경력 체육 교사가 겪는 온라인 수업 실천의 어려움과 극복 전략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339-362, 2020

      4 전세명, "코로나19 이후 초등체육의 미래와 전문가 양성 방안"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8 (28): 199-222, 2021

      5 김세기, "코로나 19로 인한 초등학교 체육교과 원격수업 실태 분석" 한국초등체육학회 26 (26): 145-158, 2020

      6 강지민 ; 박상봉, "초등학교 초임 여교사의 운동부 지도 경험과 의미" 초등교육연구원 28 (28): 15-32, 2017

      7 전세명, "초등체육전담교사의 온라인과 등교수업 적응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한국초등체육학회 26 (26): 29-42, 2020

      8 양태석, "초등예비교사들의 동작도전 수업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초등체육학회 26 (26): 35-52, 2020

      9 이종형 ; 황관식, "체육고등학교 운동부 감독교사의 역할 수행에 대한 사례 연구"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 (20): 621-635, 2009

      10 서상우, "청소년용 실감체험형 스포츠 통합플랫폼 기술개발" 30 (30): 46-53, 2015

      1 최의창, "한국체육 개혁의 방향과 스포츠교육의 역할 - 스포츠교육이 이끌어가는 한국체육 4.0을 지향하며 -"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7 (27): 1-21, 2020

      2 연합뉴스, "프로농구 4주 중단···프로배구는 무기한 스톱"

      3 이의재 ; 제성준 ; 윤현수, "코로나19 펜데믹(pandemic) 상황에서 고등학교 경력 체육 교사가 겪는 온라인 수업 실천의 어려움과 극복 전략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339-362, 2020

      4 전세명, "코로나19 이후 초등체육의 미래와 전문가 양성 방안"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8 (28): 199-222, 2021

      5 김세기, "코로나 19로 인한 초등학교 체육교과 원격수업 실태 분석" 한국초등체육학회 26 (26): 145-158, 2020

      6 강지민 ; 박상봉, "초등학교 초임 여교사의 운동부 지도 경험과 의미" 초등교육연구원 28 (28): 15-32, 2017

      7 전세명, "초등체육전담교사의 온라인과 등교수업 적응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한국초등체육학회 26 (26): 29-42, 2020

      8 양태석, "초등예비교사들의 동작도전 수업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초등체육학회 26 (26): 35-52, 2020

      9 이종형 ; 황관식, "체육고등학교 운동부 감독교사의 역할 수행에 대한 사례 연구"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 (20): 621-635, 2009

      10 서상우, "청소년용 실감체험형 스포츠 통합플랫폼 기술개발" 30 (30): 46-53, 2015

      11 유기웅, "질적 연구 방법의 이해" 박영사 2018

      12 정민수, "제101회 전국체전 등 올해 종합체육대회 모두 안연다"

      13 박슬용, "전북 코로나 19 확진자 여파...체육대회 취소·시설 폐쇄"

      14 조건상 ; 권용철 ; 양동석, "온라인 개학에 대처하는 체육교사들의 노력 과정" 교육연구원 36 (36): 239-260, 2020

      15 경상남도교육청, "스마트스포츠 활성화 계획" 2020

      16 임웅재, "비상사태 선포된 신종 코로나, 세계 대유행 우려 커져"

      17 고문수,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대비한 스포츠교육 연구와 실천"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7 (27): 1-18, 2020

      18 이우중, "국산 코로나 백신 개발은 뒤졌지만 치료제는 앞서간다"

      19 박용남 ; 윤기준, "가상현실 스포츠실 활용 체육수업의 효과 및 한계점"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7 (27): 81-96, 2020

      20 이정규, "“장기화하면 어쩌나”...체육계 ʻ촉각ʼ"

      21 송진식, "[속보]전국 유치원초중고 개학 4월6일로 연기"

      22 강원도교육청, "[긴급]코로나 19 재확산에 따른 학교스포츠클럽 및 학교배구부 운영 안내"

      23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Sage 1998

      24 Spradley, J. P., "Participant Observation" Hot, Reinhart & Winston 1980

      25 WHO, "Coronavirus disease (COVID-2019) situation reports"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4-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KCI등재
      2011-04-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al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 The Korean Jour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KCI등재
      2011-03-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7 1.67 1.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 1.37 1.644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