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농작물의 생리활성과 어병균 예방 및 구제에 대한 키토산올리고당의 효과 = (The)effects of chitosan-oligosaccharides on physiological activation of cultivated plants and on resistance and extermination of fish disea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2192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키토산올리고당이 국내의 종묘 회사에서 판매하는 배추, 무, 오이, 수박, 참외 등의 발아율, 유식물 길이생장 및 생중량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함으로써 키토산 올리고당의 생리활성 촉진여...

      키토산올리고당이 국내의 종묘 회사에서 판매하는 배추, 무, 오이, 수박, 참외 등의 발아율, 유식물 길이생장 및 생중량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함으로써 키토산 올리고당의 생리활성 촉진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키토산올리고당 5%용액에 침지 coating한 후 치상한 종자의 발아 및 유식물 생육에 대한 효과는 종간에 동일하지는 않았으나 발아율, 하배축 길이 생장, 생중량 및 본잎의 출현 등을 고려할 때 생리적 활성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0.001~0.05%까지의 키토산 농도별 처리에서는 일반적으로 0.005%와 0.01%에서 효과가 가장 좋았으며, 0.05%에서는 오히려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같은 박과인 오이와 참외의 경우는 농도별 처리에서 보이는 생리적 반응정도가 매우 유사하였다. 그리고 키토산올리고당을 딸기와 포도에 1000~2000배 희석 비로 관주 및 옆면시비하여 당도변화 및 숙기 정도를 관찰 조사한 결과 당도는 2.5~5%의 향상과 숙기 조절을 관찰 할수 있었다.
      어류양식분야에서는 해산어류를 대상으로 키토산올리고당의 산업적인 응용성을 평가하였다. 어종으로는 넙치(Paralichthys olivaceus)를 선정하여 키토산올리고당을 사료에 혼합 급이하고, 안전성, 항균성, 내병성 및 증체효과 등의 종합적인 면을 검정하였다. 키토산올리고당의 안전성은 사료대비 5%비율의 급이에서 독성은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각종 어병균에서도 장기간 급이하였을 때 어병균에 대한 62~87%의 생존율을 나타냈다. 스쿠티카 섬모충의 구제(40%) 및 예방효과(95%)를 나타냈으며, 여름에 종묘된 치어에 상제된 에드워드균의 포낭도 급이 후 75일 만에 95% 구제효과를 보였다. 또한 키토산올리고당 급이 군에서는 림포바이러스 발병률을 1% 이하로 낮추었고, 증체효과 또한 대조군에 비하여 20~30%를 나타냈다.
      양식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에서 기생하는 스쿠티카 섬모충을 분리하여 키토산올리고당(chitosan-oligosaccharides) 처리에 따른 이들의 사멸효과를 알아보았다. 본 실험에 사용된 키토산 올리고당은 직접 제조하였으며 이들의 특성은 키토산올리고당 1~4개의 당체가 74.3%를 5당체 이상이 26.6%를 나타냈으며, 이들을 각각의 농도에 따라 투여하였다. 키토산올리고당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스쿠티카 섬모충에 대한 항기생충 효과는 0.5%(w/v)키토산올리고당 투여시, 즉시 활동성이 멈추고, 3분 이내에 스쿠티카 섬모충의 사멸율은 약 98%로 나타났고, 5분 후는 100% 사멸되어 최초 키토산올리고당 투여 전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1). 또한, 키토산올리고당 0.3%(w/v) 투여군은 5분 경과시는 약 80%, 30분 경과 후는 역시 0.5%(w/v)와 거의 같은 사멸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0.1% 처리군에서는 60분 경과시 모두 80% 사멸율을 나타냈다. 그러나, 0.01% 키토산올리고당에서는 사멸효과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키토산올리고당이 미치는 식물의 생리적 활성여부는 국내산 주요 과채류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났다. 향후 종간 효과의 유무와 정도 및 적정농도에 대한 선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상기의 이러한 키토산올리고당의 효과들은 다른 면역증강제나 성장촉진제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어류 양식현장에서 충분히 산업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우수한 물질로 판단된다. 키토산올리고당 투여에 의한 스쿠티카 섬모충의 구제효과는 기존에 알려진 구제제보다 어류에 전혀 독성을 일으키지 않는 구제제의 가능성을 보여주며, 이들을 직접 현장에서 이용할 수 있음을 확실하게 보여줌으로서 충분한 경제적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itosan-oligosaccharides composed mainly from trimer to hexamer were prepared. And the effects of the chitosan-oligosaccharides on physiological activation of several kinds of cultivated plants and on resistance and extermination of fish diseases wer...

      Chitosan-oligosaccharides composed mainly from trimer to hexamer were prepared. And the effects of the chitosan-oligosaccharides on physiological activation of several kinds of cultivated plants and on resistance and extermination of fish diseases were investigated.
      The physiological effects of chitosan-oligosaccharides, the germination ratio, elongation ratio of seedling, and fresh weight in various kinds of vegetables (Chinese cabbage, radish, cucumber, watermelon, and melon) were measured. Considering the effects of chitosan-oligosaccharides on plant growth, it was suggested that chitosan-oligosaccharides act as physiological general activator even 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species. the treatment concentration ranged from 0.01% to 0.05% was the most effective in it's physiological activation for growth. Cucumber and watermelon that are in the same taxa (Cucurbitaceae) showed a similar physiological response to chitosan-oligosaccharides.
      The physiological activation of chitosan-oligosaccharides on plants was effective in the several vegetables.
      The industrial applications of chitosan-oligosaccharides were evaluated in the case of marine fish (Japanes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The toxic effects of chitosan-oligosaccharides by treatment of feeding. And then, the effects of chitosan-oligosaccharides on antibacterial effects, disease resistance, and growth were also examined. The toxicity of chitosan-oligosaccharides by feeding treatment was absent even when added up to 5% in fodder. In prolonged treatment, fish diseases reduced from 13% to 38%. They relieved scuticociliatids by 40% and prevented them by 90%. And the Edwardsiella sp cysts were relieved by 95% after 75 days of treatment. In addition, in groups of chitosan-oligosaccharides treatments, the rate of lymphocysits was extremely low (1%). Also, chitosan-oligosaccharides increased the body weight and the body length in the range from 20% to 30%. The above effects of chitosan-oligosaccharides reveal that they are more superior to other immune enhancers and growth stimulators.
      Another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ntiparasitic activity of chitosan -oligosaccharides to Scuticociliatids. After the treatment of 0.5% (w/v) chitosan -oligosaccharides against Scuticociliatids, there were considerable decrease in the numbers of the protozoan up to approximately 98% in 3 minutes, 100% in 5 minutes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P<0.01). Also the treatments of 0.3% (w/v) chitosan-oligosaccharides showed the protozoacidal responses of 80% in 5 minutes as well as 100% in 30 minutes. These parasites were killed about 80% within one hour by 0.1% (w/v) chitosan-oligosaccharides, but did not die until 2hr by 0.01% (w/v) chitosan-oligosaccharides. Consequently, it was confirmed that the chitosan-oligosaccharides could be applied as one of the protozoacidal agents against Scuticociliatides in Japanese flounders. Above results showed that think chitosan-oligosaccharides are excellent materials that can be industrially used in the field of fish and plant cul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Ⅱ 재료 및 방법 = 6
      • Ⅲ 결과 = 13
      • Ⅳ 고찰 = 46
      • Ⅴ 결론 = 51
      • Ⅰ 서론 = 1
      • Ⅱ 재료 및 방법 = 6
      • Ⅲ 결과 = 13
      • Ⅳ 고찰 = 46
      • Ⅴ 결론 = 51
      • 참고문헌 = 54
      • 국문초록 = 6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