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성시인’이 시를 쓴다는 것: 1980년대 ‘여성해방문학’의 관점에서 다시 읽는 김혜순의 초기시 = The meaning of the “female poet” writing a poem:Kim Hye-soon’s early poem re-reading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t liberation literature’ in the 198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117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 work of dismantling and reconstructing Korean literary history by ‘feminist perspective’ has begun actively. In confirming this situation, this article actively re-evaluated Kim Hye-soon’s poem written in the 1980s from the perspec...

      Recently, the work of dismantling and reconstructing Korean literary history by ‘feminist perspective’ has begun actively. In confirming this situation, this article actively re-evaluated Kim Hye-soon’s poem written in the 1980s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m. Kim Hye-soon’s poems have been evaluated as being limited to ‘feminist perspective’. As a result, the reading of the feminist view on Kim Hye-soon was not sufficient. This is irrelevant to the fact that the major female poets of the 1990s and 2000s were read in terms of ‘under-feminization’.
      Rereading the poems of Kim Hee-soon in the 1980s, this paper sets two goals. First, it is to critically reflect the critical perspectives that read Kim Hye-soon’s poems by deleting feminine identity. Second, I try to read Kim Hye-soon’s meaning of feminine writing in connection with the contemporary ‘female experience’. The way the female poet named Kim Hye-soon was introduced in the 1980s criticism was very limited. The woman’s experience as a victim of violence, which is clearly reproduced in her poems, is mostly read as deleted, and the gender of the woman’s poet was referred to in a negative way only primarily to point out the aesthetic deficiencies of the poem. This article confirms these facts. Furthermore, this article attempts to extract aspects of gender violence that is visualized by Kim Hye-soon’s poems, and further to imply what kind of resistive speeches Kim Hye-soon’s poems devised in response to these gender viole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의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문단은 물론 학계에서 ‘여성주의 시각’에 의한 문학사의 해체와 재구축의 작업이 진행되는 사정을 확인하며, 이 글은 1980년대에 씌어진 김혜순의 시를 ...

      최근의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문단은 물론 학계에서 ‘여성주의 시각’에 의한 문학사의 해체와 재구축의 작업이 진행되는 사정을 확인하며, 이 글은 1980년대에 씌어진 김혜순의 시를 ‘여성주의의 시각’에서 적극적으로 재평가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김혜순의 시에 대해서는 그간 여성주의적 시각으로만 한정해 읽을 수 없다는 관점이 일반적이었던바, 이러한 태도가 결국 여성주의적 시각의 독해를 배제하는 결과를 불러온 것은 아닌지 반성할 필요가 있다. 이는 황인숙과 허수경으로부터 김행숙과 진은영에 이르기까지, 1990년대와 2000년대의 주요한 여성시인들이 ‘과소여성화’의 관점에서 읽혀온 사실과 무관하지 않다.
      1980년대의 김헤순의 시를 재독하며 이 글이 설정한 목표는 두 가지이다. 첫째, 여성적 정체성을 삭제하는 방식으로 김혜순의 시를 읽어온 비평적 시선들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려는 것이며, 둘째, 김혜순의 여성적 글쓰기의 의미를 당대의 ‘여성적 체험’과 결부시켜 읽어보려는 것이다. 1980년대 비평장에서 김혜순의 시가 소개되는 방식은 굉장히 제한적이었는바, 그녀 시에 분명히 재현되고 있는 폭력의 피해자로서 여성의 체험은 대부분 삭제된 채로 읽히고, 여성이라는 시인의 성별은 주로 시의 미학적 결함을 지적하기 위해 부정적인 방식으로만 참조된다는 점을 이 글은 확인하였다. 이러한 기존의 평을 극복하기 위해 이 글은 김혜순의 시에 가시화되고 있는 ‘젠더폭력’의 양상들을, 당대의 여성적 현실과 당대의 여성문학 논의에 비추어 추출하고, 나아가 김혜순의 시가 이러한 ‘젠더폭력’에 맞서 어떠한 저항적 발화를 고안해내었는지를 의미화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정미, "한국현대여성사" 한울아카데미 324-345, 2004

      2 이상경, "한국근대여성문학사론" 소명 2002

      3 김정란, "한국 현대 여성시의 성취와 전망" 안동대인문과학연구소 (4) : 65-90, 2001

      4 손유경, "한국 문학사의 새로운 가능성" (봄) : 22-38, 2019

      5 조연정, "최승자 시에 나타난 독신자 여성 삶의 재현 양상" 구보학회 (18) : 481-518, 2018

      6 소영현, "지금 여기의 페미니즘과 독자 시대의 한국문학 #문학은_위험하다" 민음사 2019

      7 진태원, "좌파 메시아주의라는 이름의 욕망:알랭 바디우, 슬라보이 지제크, 조르조 아감벤의 국내 수용에 대하여" (봄) : 172-196, 2014

      8 조형, "좌담:페미니즘 문학과 여성운동" 또 하나의 문화 (3) : 14-29, 1987

      9 손유경, "젠더화된 세대교체 서사를 패러디하기" 한국현대문학회 (58) : 363-391, 2019

      10 정희진, "젠더 사회와 미투" (여름) : 316-332, 2018

      1 황정미, "한국현대여성사" 한울아카데미 324-345, 2004

      2 이상경, "한국근대여성문학사론" 소명 2002

      3 김정란, "한국 현대 여성시의 성취와 전망" 안동대인문과학연구소 (4) : 65-90, 2001

      4 손유경, "한국 문학사의 새로운 가능성" (봄) : 22-38, 2019

      5 조연정, "최승자 시에 나타난 독신자 여성 삶의 재현 양상" 구보학회 (18) : 481-518, 2018

      6 소영현, "지금 여기의 페미니즘과 독자 시대의 한국문학 #문학은_위험하다" 민음사 2019

      7 진태원, "좌파 메시아주의라는 이름의 욕망:알랭 바디우, 슬라보이 지제크, 조르조 아감벤의 국내 수용에 대하여" (봄) : 172-196, 2014

      8 조형, "좌담:페미니즘 문학과 여성운동" 또 하나의 문화 (3) : 14-29, 1987

      9 손유경, "젠더화된 세대교체 서사를 패러디하기" 한국현대문학회 (58) : 363-391, 2019

      10 정희진, "젠더 사회와 미투" (여름) : 316-332, 2018

      11 김주희, "우에노 치즈코의 젠더-본질주의 비판" 한국여성문학학회 (47) : 13-53, 2019

      12 김혜순, "우리들의 음화" 문학과지성사 1990

      13 김혜순, "여성이 글을 쓴다는 것은 - 연인, 환자, 시인, 그리고 너" 문학동네 2004

      14 정은희, "여성의 눈으로 본 한국문학의 현실" 창작과비평사 1 : 6-52, 1985

      15 베티 프리단, "여성성의 신화" 갈라파고스 2018

      16 심진경, "여성과 문학의 탄생" 자음과모음 2015

      17 김혜순, "어느 별의 지옥 (1988)" 문학과지성사 2017

      18 김혜순, "아버지가 세운 허수아비" 문학과지성사 1985

      19 김주연, "소통의 갈구, 물길 트기:김혜순의 최근 시" 7 (7): 1209-1225, 1994

      20 허주영, "생물학적 성별에서 벗어나기" 상허학회 55 : 229-261, 2019

      21 김승희, "상징 질서에 도전하는 여성시의 목소리, 그 전복의 전략들" 한국여성문학학회 (2) : 135-166, 1999

      22 이혜령, "빛나는 성좌들 - 1980년대, 여성해방문학의 탄생" 상허학회 47 : 409-454, 2016

      23 이영재, "비평무크지 크릿터:페미니즘" 민음사 20-29, 2018

      24 오혜진, "문학을 부수는 문학들" 민음사 2018

      25 차승기, "몰락 이후: 신성할 것 없는 문학사" (봄) : 5-21, 2019

      26 벨 훅스, "모두를 위한 페미니즘" 문학동네 2017

      27 조연정, "만짐의 시간" 문학동네 2013

      28 김혜순, "또 다른 별에서" 문학과지성사 1981

      29 김양선, "동일성과 차이의 젠더 정치학-197080년대 진보적 민족문학론과 여성해방문학론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회 (11) : 154-181, 2005

      30 심진경, "김혜순 시의 미로에서 길을 읽다, 잃다, 앓다" 20 (20): 48-68, 2008

      31 김보명, "교차성×페미니즘" 도서출판 여이연 2018

      32 김영옥, "“근대”, 여성이 가지 않은 길"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2001

      33 안지영, "‘여성적 글쓰기’와 재현의 문제 - 고정희와 김혜순의 시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54) : 91-127, 2018

      34 김복순, "‘여성-노동소설’의 일 계보 - 김인숙의 경우" 한국여성문학학회 (43) : 109-152, 2018

      35 임지연, "1990년대 여성시의 이상화된 판타지와 역설적 근대 주체 비판" 한국시학회 (53) : 85-117, 2018

      36 김은하, "1980년대, 바리케이트 뒤편의 성(性) 전쟁과 여성해방문학 운동" 상허학회 51 : 15-49, 2017

      37 손유경, "1980년대 학술운동과 문학운동의 교착(交錯/膠着): 박현채와 조한혜정을 중심으로" 상허학회 45 : 117-159, 2015

      38 허윤, "1980년대 여성해방운동과 번역의 역설" 한국여성문학학회 (28) : 239-264, 2012

      39 이선옥, "1980년대 여성운동 잡지와 문학논쟁의 의미 - 『또하나의 문화』, 『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43) : 7-36, 2018

      40 이경수, "1980년대 여성시의 주체와 정동 - 최승자‧김혜순‧허수경의 시를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43) : 37-78, 2018

      41 박지영, "1970~80년대 여성노동자 시에 나타난 젠더/섹슈얼리티 정치학 ― 최명자, 정명자의 시를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53) : 39-84, 2018

      42 전희경, "1960~80년대 젠더-나이체제와 '여성' 범주의 생산" 한국여성학회 29 (29): 41-79, 2013

      43 장미경, "1960-70년대 가정주부(아내)의 형성과 젠더정치: 여원, 주부생활 잡지 담론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15 (15): 142-180, 2007

      44 김혜순, "(김혜순 시인을 찾ㅊ아서) 고통에 들린다는 것, 사랑에 들린다는 것" 고요아침 11 (11): 18-43,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15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Literary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0.9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0.9 1.801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