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심경호, "한문산문의 내면풍경" 소명출판 1-342, 2001
2 이혜순, "한국의 열녀전" 월인 1-468, 2002
3 이화여대 한국여성사편집위, "한국여성사1" 이대출판부 1-400, 1972
4 이성림, "한국문학과 규훈 연구" 관동출판사 1-200, 1995
5 강혜선, "조선후기 女性 描主 墓誌銘의 문학성에 대한 연구" 한국한문학회 (30) : 7-36, 2002
6 황수연, "조선후기 제문 연구-여성 대상 제문을 중심으로"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5) : 403-428, 2006
7 이지하, "조선후기 여성의 어문생활과 고전소설" 한국고소설학회 (26) : 303-331, 2008
8 강혜선, "조선후기 여성 대상 제문과 묘지명에 나타난 일상성 연구" 국문학회 (13) : 57-82, 2005
9 김기림, "조선시대 여성묘지명에 나타난 서술 원리와 그 양상" 한국고전여성문학회 0 (0): 267-290, 2007
10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조선 여성의 일생" 글항아리 1-386, 2010
1 심경호, "한문산문의 내면풍경" 소명출판 1-342, 2001
2 이혜순, "한국의 열녀전" 월인 1-468, 2002
3 이화여대 한국여성사편집위, "한국여성사1" 이대출판부 1-400, 1972
4 이성림, "한국문학과 규훈 연구" 관동출판사 1-200, 1995
5 강혜선, "조선후기 女性 描主 墓誌銘의 문학성에 대한 연구" 한국한문학회 (30) : 7-36, 2002
6 황수연, "조선후기 제문 연구-여성 대상 제문을 중심으로"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5) : 403-428, 2006
7 이지하, "조선후기 여성의 어문생활과 고전소설" 한국고소설학회 (26) : 303-331, 2008
8 강혜선, "조선후기 여성 대상 제문과 묘지명에 나타난 일상성 연구" 국문학회 (13) : 57-82, 2005
9 김기림, "조선시대 여성묘지명에 나타난 서술 원리와 그 양상" 한국고전여성문학회 0 (0): 267-290, 2007
10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조선 여성의 일생" 글항아리 1-386, 2010
11 거다 러너, "왜 여성사인가" 푸른역사 1-444, 2006
12 강명관, "열녀의 탄생" 돌베게 1-586, 2009
13 김경일, "여성의 근대, 근대의 여성" 푸른역사 1-394, 2004
14 김동준, "여성문학의 전개와 여성의 목소리, In 새민족문학사강좌" 창비 2009
15 임형택, "실사구시의 한국학" 창작과비평사 1-490, 2000
16 김만중, "서포가문행장" 형설출판사 1977
17 박의경, "동아시아와 근대, 여성의 발견" 청어람미디어 1-388, 2004
18 강혜선, "농암 김창협의 묘지명 연구, In 한국 고문의 이론과 전개" 태학사 1-684, 1998
19 이건창, "나의 어머니, 조선의 어머니" 현대실학사 1-266, 1998
20 박무영, "浩然齋 白警篇의 서술방식과 여성문학적 성격" 고려대 한국문학연구소 2 : 209-250, 2001
21 이경하, "『內訓ㆍ과 ‘小學ㆍ烈女ㆍ女敎ㆍ明鑑’의 관계 재고" (17) : 237-271, 2008
22 김경미, "18세기 여성의 친정, 시집과의 유대 또는 거리에 대하여" 한국고전연구학회 0 (0): 5-30, 2009
23 김경미, "18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보고사 2010
24 김경미, "17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보고사 2006
25 김명순, "17세기 여성대상 산문의 남성의 여성인식과 여성의 삶" 어문연구학회 56 : 117-139, 2008
26 고연희, "17세기 남성의 여성재현" 퇴계연구소 (32) : 259-282, 2003
27 이경하, "17세기 土族 여성의 한문생활, 그 보편과 특수" 국어국문학회 141 : 101-120, 2005
28 황수연, "17세기 '祭亡室文'과 '祭亡女文' 연구" 한국한문학회 (30) : 37-73,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