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독서문화프로그램 참여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articipation Statu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Reading Culture Programs for Public Library Users in Bus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628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역의 도서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독서실태와 기존의 독서문화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와 개선점, 더불어 향후 희망하는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유형과 방향성이 무엇인지 면밀히 조사하고 분석하여 지역맞춤형 독서문화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온․오프라인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응답자는 609명이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시사점을 도출하면, 첫째, 독서 활동의 정의가 전통적인 종이책을 넘어 다양한 디지털 매체로 확장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프로그램 개발 시 이러한 변화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독서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주요 이유로 시간적 여유 부족과 정보 부족이 나타난 만큼, 도서관과 관련 기관은 보다 유연한 시간대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효과적인 홍보 전략을 통해 참여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셋째, 도서관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지속성과 다양성을 강화해야 하며, 넷째, 연령별 주제, 시간, 규모, 유형 등을 차별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속적인 이용자조사를 통한 프로그램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도서관 독서문화프로그램 개선 및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지역의 도서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독서실태와 기존의 독서문화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와 개선점, 더불어 향후 희망하는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유형과 방향성이 무엇인지 ...

      본 연구는 지역의 도서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독서실태와 기존의 독서문화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와 개선점, 더불어 향후 희망하는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유형과 방향성이 무엇인지 면밀히 조사하고 분석하여 지역맞춤형 독서문화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온․오프라인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응답자는 609명이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시사점을 도출하면, 첫째, 독서 활동의 정의가 전통적인 종이책을 넘어 다양한 디지털 매체로 확장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프로그램 개발 시 이러한 변화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독서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주요 이유로 시간적 여유 부족과 정보 부족이 나타난 만큼, 도서관과 관련 기관은 보다 유연한 시간대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효과적인 홍보 전략을 통해 참여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셋째, 도서관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지속성과 다양성을 강화해야 하며, 넷째, 연령별 주제, 시간, 규모, 유형 등을 차별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속적인 이용자조사를 통한 프로그램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도서관 독서문화프로그램 개선 및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ecur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locally customized reading culture programs by closel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reading practices of local library users, their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existing reading culture programs, and the types and directions of reading culture programs they would like to see in the future.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users of public libraries in the Busan area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and offline, with 609 respon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drawn: First, the definition of reading activities is expanding beyond traditional paper books to various digital media, and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is change in future program development. Second, as lack of time and lack of information were identified as the main reasons for non-participation in reading activities, libraries and related organizations should offer programs at more flexible times and expand participation opportunities through effective promotion strategies. Third, the continuity and diversity of library reading culture programs should be strengthened, and fourth, they should be differentiated in terms of topics, time, size, and type by age group. Finally, programs should be improved through continuous user survey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improving and developing library reading culture programs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secur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locally customized reading culture programs by closel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reading practices of local library users, their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existing reading culture progr...

      This study aims to secur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locally customized reading culture programs by closel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reading practices of local library users, their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existing reading culture programs, and the types and directions of reading culture programs they would like to see in the future.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users of public libraries in the Busan area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and offline, with 609 respon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drawn: First, the definition of reading activities is expanding beyond traditional paper books to various digital media, and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is change in future program development. Second, as lack of time and lack of information were identified as the main reasons for non-participation in reading activities, libraries and related organizations should offer programs at more flexible times and expand participation opportunities through effective promotion strategies. Third, the continuity and diversity of library reading culture programs should be strengthened, and fourth, they should be differentiated in terms of topics, time, size, and type by age group. Finally, programs should be improved through continuous user survey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improving and developing library reading culture programs in the futur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