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An analytical study of eunhye kim’s jeongsun arari = 김은혜의 피아노를 위한 <정선아라리> 분석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8316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의 유명 작곡가인 김은혜는21세기 한국 음악계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는 작곡가이다. 그녀는 어릴 때부터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음악을 접하며 뛰어난 음악적 재능을 보였다. 중학교 때부터 김은혜의 음악 선생님은 그에게 작곡 지도를 하셨고 그의 재능을 발굴해 주었다. 대학교 학부 시절에는 한국1세대 작곡가 김성태(1910-2012)의 지도하에 작곡발표회를 개최하였고 같은 시기 창악회 콩쿠르에서 입상하였다. 대학원 시절 그녀는 국내 최고의2세대 작곡가인 강석희(1934~2020)의 지도하에 당대 서양음악을 집중적으로 공부하였으며 작곡 기법 전반에 걸쳐 풍부한 테크닉을 터득하였다. 프랑스에서의 박사과정에서는 프랑스의 작곡가이자 음악학자인 만프레드 껠껠의 지도로 한국의 전통음악과 서양작곡 기법을 깊이 이해하고 체득하였으며 자신만의 독창적인 작곡 방법을 형성하였다.
      김은혜는 한국의 민족적 스타일에 대해 깊은 연구와 견해를 가지고 있으며 그의 창작기법과 양식 다원화되어 있고 놀라운 다양성을 보여준다. 그의 ‘정선아라리’ 시리즈는 대표적인 작품 중 하나이다. 이중ARARI IX for piano는 ‘정선아라리’ 시리즈 중 유일한 피아노 솔로곡으로 현대적 작곡 기법을 응용하였으며 독특한 한국적 민족성을 지녔다. 김은혜의 창작 이념은 ‘정선아라리’ 시리즈에서 드러났고, 그의 창작기법은 다양한 음악적 문화 요소들이 이번 시리즈에서 다시 태어나 승화되면서 독보적인 음악을 만들어내었다. 이 작품에는 매우 논리적인 서양음악 작곡법, 한국 전통음악 요소, 그리고 작곡가 고유의 다양한 색채 등 연구할 만한 요소들이 가득하다.
      본고는ARARI IX for piano의 작품 전체를 분석함과 동시에 작품의 화음조성, 박자, 구조, 연주법등을 심층 분석한다. 본고는 서론, 본문, 결론 등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론에서는 김은혜의 ‘정선아라리’시리즈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가치, 그리고 김은혜 작품에 대한 국내외 연구 현황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본문은 총4장으로 이루어졌다. 제1장은 ‘정선아라리’ 의 개론으로 ‘정선아라리’ 의 창작배경, 문화적 원천, 기법의 원천, 김은혜의 창작이념에 대해 서술한다. 제2장은 김은혜의 생애와 창작이며 저자는 자신의 연구시각에서 김은혜의 창작시기를 정리하도록 한다. 제3장은 <정선아라리> 의 작품분석인데 ‘정선아라리’ 시리즈 작품을 연구대상으로 ARARI IX for piano의 사례분석을 통해 김은혜 창작사고의 주요 특징을 논증한다. 제4장은ARARI IX for piano의 건반터치, 페달, 기교, 감정 등에 대해 분석하며, 김은혜 피아노 작품의 연주 방법을 파악하려 한다. 결론 부분은 김은혜의 <정선아라리> 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한다.
      현재 김은혜의 ‘정선아라리’ 시리즈는 아직 아무도 연구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 연구는 김은혜의 <정선아라리> 시리즈에 대한 시초로서, 배우고 이해하기 위해 상세한 이론적인 뒷받침이 될 것이다.
      번역하기

      한국의 유명 작곡가인 김은혜는21세기 한국 음악계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는 작곡가이다. 그녀는 어릴 때부터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음악을 접하며 뛰어난 음악적 재능을 보였다. 중학교...

      한국의 유명 작곡가인 김은혜는21세기 한국 음악계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는 작곡가이다. 그녀는 어릴 때부터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음악을 접하며 뛰어난 음악적 재능을 보였다. 중학교 때부터 김은혜의 음악 선생님은 그에게 작곡 지도를 하셨고 그의 재능을 발굴해 주었다. 대학교 학부 시절에는 한국1세대 작곡가 김성태(1910-2012)의 지도하에 작곡발표회를 개최하였고 같은 시기 창악회 콩쿠르에서 입상하였다. 대학원 시절 그녀는 국내 최고의2세대 작곡가인 강석희(1934~2020)의 지도하에 당대 서양음악을 집중적으로 공부하였으며 작곡 기법 전반에 걸쳐 풍부한 테크닉을 터득하였다. 프랑스에서의 박사과정에서는 프랑스의 작곡가이자 음악학자인 만프레드 껠껠의 지도로 한국의 전통음악과 서양작곡 기법을 깊이 이해하고 체득하였으며 자신만의 독창적인 작곡 방법을 형성하였다.
      김은혜는 한국의 민족적 스타일에 대해 깊은 연구와 견해를 가지고 있으며 그의 창작기법과 양식 다원화되어 있고 놀라운 다양성을 보여준다. 그의 ‘정선아라리’ 시리즈는 대표적인 작품 중 하나이다. 이중ARARI IX for piano는 ‘정선아라리’ 시리즈 중 유일한 피아노 솔로곡으로 현대적 작곡 기법을 응용하였으며 독특한 한국적 민족성을 지녔다. 김은혜의 창작 이념은 ‘정선아라리’ 시리즈에서 드러났고, 그의 창작기법은 다양한 음악적 문화 요소들이 이번 시리즈에서 다시 태어나 승화되면서 독보적인 음악을 만들어내었다. 이 작품에는 매우 논리적인 서양음악 작곡법, 한국 전통음악 요소, 그리고 작곡가 고유의 다양한 색채 등 연구할 만한 요소들이 가득하다.
      본고는ARARI IX for piano의 작품 전체를 분석함과 동시에 작품의 화음조성, 박자, 구조, 연주법등을 심층 분석한다. 본고는 서론, 본문, 결론 등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론에서는 김은혜의 ‘정선아라리’시리즈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가치, 그리고 김은혜 작품에 대한 국내외 연구 현황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본문은 총4장으로 이루어졌다. 제1장은 ‘정선아라리’ 의 개론으로 ‘정선아라리’ 의 창작배경, 문화적 원천, 기법의 원천, 김은혜의 창작이념에 대해 서술한다. 제2장은 김은혜의 생애와 창작이며 저자는 자신의 연구시각에서 김은혜의 창작시기를 정리하도록 한다. 제3장은 <정선아라리> 의 작품분석인데 ‘정선아라리’ 시리즈 작품을 연구대상으로 ARARI IX for piano의 사례분석을 통해 김은혜 창작사고의 주요 특징을 논증한다. 제4장은ARARI IX for piano의 건반터치, 페달, 기교, 감정 등에 대해 분석하며, 김은혜 피아노 작품의 연주 방법을 파악하려 한다. 결론 부분은 김은혜의 <정선아라리> 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한다.
      현재 김은혜의 ‘정선아라리’ 시리즈는 아직 아무도 연구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 연구는 김은혜의 <정선아라리> 시리즈에 대한 시초로서, 배우고 이해하기 위해 상세한 이론적인 뒷받침이 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Introduction 1
      • 1. The necessity of research 1
      • 2. The purpose of the study 2
      • 3. The value of research 3
      • Ⅱ. ‘Arirang’ and Eunhye Kim’s Jeongsun Arari 5
      • Ⅰ. Introduction 1
      • 1. The necessity of research 1
      • 2. The purpose of the study 2
      • 3. The value of research 3
      • Ⅱ. ‘Arirang’ and Eunhye Kim’s Jeongsun Arari 5
      • 1. An overview of ‘Arirang’ 5
      • a. The origin and historical evolution of ‘Arirang’ 6
      • b. Different types of ‘Arirang’ and their musical characteristics 9
      • 2. The background and content of ‘Arari’ series 11
      • a. ‘Arari’ series 11
      • b. The compositional background of Eunhye Kim’s ‘Arari’ series 14
      • 3. The relationship between Jeongsun Arari and Oriental culture 15
      • 4.The relationship between Jeongsun Arari and Western composition techniques 18
      • Ⅲ. Eunhye Kim’s Life and Music 21
      • 1. Eunhye Kim’s life 21
      • 2. Eunhye Kim’s music 25
      • IV. Analysis of Eunhye Kim’s Jeongsun Arari 36
      • 1. Arari IX for Piano 36
      • 2. Arari X for Violin, Daegeum and Piano 53
      • 3. Arari XI for 2 Flutes and Piano 69
      • 4. Arari XII for Chorus and Piano 82
      • 5. Arari XX for Flute and Marimba 89
      • 6. Arari XVII for F.Horn, Trombone, String Quartet and Piano 99
      • V. Performance Techniques of Arari IX for Piano 111
      • 1. The mastery of rhythms and meter 111
      • 2. The control of strength and tempo 120
      • 3. Touch and timbre 132
      • a. Arpeggio 132
      • b. Octave 135
      • c. Chords and interval 140
      • d. Ornaments 141
      • 4. Use of pedals 143
      • VI. Conclusion 153
      • References 156
      • Korean Abstract 15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