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아동이 인식하는 방임 및 학대 수준에 미치는 가구 소득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가구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공변인으로 통제한회귀분석 결과를 공변인을 이용하여 산출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아동이 인식하는 방임 및 학대 수준에 미치는 가구 소득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가구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공변인으로 통제한회귀분석 결과를 공변인을 이용하여 산출한...
본 연구는 아동이 인식하는 방임 및 학대 수준에 미치는 가구 소득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가구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공변인으로 통제한회귀분석 결과를 공변인을 이용하여 산출한 경향점수가중치를 적용한 결과와 비교하고 재확인하였다. 분석에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초등학교 1학년패널의 6차년도와 7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부모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나 가구의 구조적 요인을 공변인으로 통제한 회귀분석 결과는 가구 소득수준이 아동이 인지한 방임 수준에부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며 이러한 결과는 경향점수가중치를적용하였을 때에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둘째, 공변인을 통제한 회귀분석 결과에서 가구 소득수준은 아동이 인지한 학대 수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이는 경향점수가중치를 적용한 결과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방임의 경우, 부모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가구의 구조적 요인이 동일할 때 중위 미만의소득을 보이는 가구의 아동은 중위 이상의 소득을 보이는 가구의 아동에비해 방임 수준을 높이 인지하였다. 가구소득의 증대가 아동 방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본 연구는 아동학대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을고려했을 때 저소득가구의 소득증대 정책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모든 소득계층이 동일하게 학대의 위험에 노출되어있음을 확인한 본 연구결과는 신체 및 정서학대를 예방하기 위한 법 및 제도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household income levels on the levels of child maltreatment perceived by children. We used regression models, controlling for covariates related to household income. Propensity score weights were yielded usin...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household income levels on the levels of child maltreatment perceived by children. We used regression models, controlling for covariates related to household income. Propensity score weights were yielded using these covariate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between traditional regression models and those weighted by the propensity score. First,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when covariates were controlled, the household income levels explained children’s perceived levels of neglect. This was also found in the model with propensity score weights. Second,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when covariates were controlled, the household income levels did not explain the children’s perceived levels of abuse. The same result was also found in the model with propensity score weights. Thu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ildren’s perceived levels of neglect was found between household income levels lower than the median income and household income levels higher than the median income. The levels and the coverage of cash and in-kind benefits were discussed. Changes in laws and systems that regulate parents’ use of corporal punishment was also suggested.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복지패널조사"
2 유홍준, "한국 직업지위 지수: 과거와 현재" 한국사회학회 40 (40): 153-186, 2006
3 e-나라지표, "학력별 임금 격차"
4 김미정, "정서학대 중단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부모학대행위자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5 : 185-205, 2013
5 엄미선, "저소득 한부모 가족의 양육부담과 사회적지지" 11 : 75-108, 2006
6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아동학대의 유형"
7 김수정, "아동학대의 사회경제적 비용 추계" 한국아동복지학회 (53) : 25-50, 2016
8 오승환, "아동학대와 아동의 생태학적 환경과의 관계" 5 (5): 47-60, 2001
9 도현석,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1
10 보건복지부, "아동학대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 2017
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복지패널조사"
2 유홍준, "한국 직업지위 지수: 과거와 현재" 한국사회학회 40 (40): 153-186, 2006
3 e-나라지표, "학력별 임금 격차"
4 김미정, "정서학대 중단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부모학대행위자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5 : 185-205, 2013
5 엄미선, "저소득 한부모 가족의 양육부담과 사회적지지" 11 : 75-108, 2006
6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아동학대의 유형"
7 김수정, "아동학대의 사회경제적 비용 추계" 한국아동복지학회 (53) : 25-50, 2016
8 오승환, "아동학대와 아동의 생태학적 환경과의 관계" 5 (5): 47-60, 2001
9 도현석,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1
10 보건복지부, "아동학대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 2017
11 박명숙, "아동학대 유발요인으로서 장애아동부모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1 : 311-327, 2002
12 정선영, "아동이 인지한 방임 및 학대 수준과 지역사회 특성의 관계" 한국사회정책학회 24 (24): 187-211, 2017
13 이경은, "아동에 대한 신체학대 중단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6 (16): 227-247, 2014
14 배화옥, "아동방임 재발유형과 관련요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5 (35): 455-474, 2015
15 이재연, "아동과 부모, 가족환경 특성에 따른 아동학대 실태 연구" 한국아동학회 24 (24): 63-78, 2003
16 김영지, "아동⋅청소년 권리에 관한 국제협약 이행 연구: 한국 아동⋅청소년 인권실태 2019 – 기초분석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17 주은수, "성향점수분석 방법을 활용한 Head Start 프로그램의 장기적 소득증대 효과 분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2 (42): 293-317, 2015
18 변수용,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가정배경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18 (18): 39-66, 2008
19 이준호, "맞벌이의 교육적 기회비용: 방과 후 자기보호(self-care)가 초등학생의 자기학습 통제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13 (13): 27-59, 2012
20 통계청, "맞벌이여부별 가구당 월평균 가계수지 (전국, 2인 이상)"
21 정선영,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여부가 저소득 가구의 경제적 어려움 감소에 미치는 영향 : 경향점수 가중치 방법을 통한 고찰" 한국사회정책학회 18 (18): 165-190, 2011
22 김화경, "경향점수를 이용한 학교급별 사교육 요인 분석: 수학 사교육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49-66, 2017
23 Austin, P. C., "Variance estimation when using 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ing (IPTW) with survival analysis" 35 (35): 5642-5655, 2016
24 Luster, T.,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values and parenting behavior: A test of the Kohn Hypothesis" 51 (51): 139-147, 1989
25 Wildeman, C., "The effect of lowering welfare payment ceilings on children’s risk of out-of-home placement" 72 : 82-90, 2017
26 Cancian, M., "The effect of additional child support income on the risk of child maltreatment" 87 (87): 417-437, 2013
27 Pelton, L. H., "The continuing role of material factors in child maltreatment and placement" 41 : 30-39, 2015
28 Rosenbaum, P., "The central role of the propensity score in observational studies for causal effects" 70 : 41-55, 1983
29 Berger, L. M., "Socioeconomic factors and substandard parenting" 81 (81): 485-522, 2007
30 Warren, J. R., "Soc ioec onomics tatus and health across the life course: A test of the social causation and health selection hypotheses" 87 (87): 2125-2153, 2009
31 Becker, G. S., "Nobel lecture: The economic way of looking at behavior" 101 (101): 385-409, 1993
32 Raissian, K. M., "Money matters: Does the minimum wage affect child maltreatment rates?" 72 : 60-70, 2016
33 Jusot, F., "Job loss from poor health, smoking and obesity: A national prospective survey in France" 62 (62): 332-337, 2007
34 Berger, L. M., "Income, family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violence toward children" 29 (29): 107-133, 2005
35 Sedlak, A. J., "Fourth national incidence study of child abuse and neglect (NIS-4): Report to congress, Executive summary"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dministration for Children and Families 2010
36 Doidge, J. C., "Economic predictors of child maltreatment in an Australian population-based birth cohort" 72 : 14-25, 2017
37 Berger, L. M., "Economic determinants and consequences of child maltreatment: OECD social. Employment and migration working papers" 11-, 2011
38 Parcel, T. L., "Early parental work, family social capital, and early childhood outcomes" 99 (99): 972-1009, 1994
39 Elder, G. H., "Children of the Great Depression: Social change of life experienc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4
40 Youssef, R. M., "Children experiencing violenceⅠ:Parental use of corporal punishment" 22 (22): 959-973, 1998
41 Sidebotham, P., "Child maltreatment in the “children of the nineties.”: A cohort study of risk factors" 30 (30): 497-522, 2006
42 Johnson, J. G.,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of social causation and social selection processes involved in the association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psychiatric disorders" 108 (108): 490-499, 1999
43 여성가족부, "2018년 한부모가족 실태조사" 2019
44 보건복지부, "2018 아동학대주요통계" 2019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방임 경험이 아동의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분석
아동양육시설 종사자의 가족중심실천 중요도 및 실행도에 관한 연구
아동보호체계 내 조기지원사례의 하위집단 분류와 재신고 특성
놀이친화적 환경이 아동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놀이공간 조성과 지역 유형에 따른 다집단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2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4 | 1.64 | 1.9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95 | 2.11 | 2.512 | 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