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손춘섭, "현대국어 호칭어의 유형과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33 : 95-129, 2010
2 홍민표, "한일 부부호칭의 대조언어학적 연구" 43 : 301-317, 1999
3 "한국콘텐츠진흥원 방송대본 열람"
4 려증동, "한국가정언어" 시사문화사 1985
5 신정숙, "한국 전통사회 부녀의 호칭어와 존비어" 65․66 : 199-213, 1974
6 김혜숙, "한국 사회와 호칭어" 역락 245-284, 2005
7 왕한석, "한국 사회와 호칭어" 역락 2005
8 안태숙, "표준 화법에 관한 국민의 국어사용 실태 조사" 국립국어원 2010
9 국립국어연구원, "표준 화법 해설"
10 이창덕, "표준 화법 개선 및 보완을 위한 기초 연구" 국립국어원 2009
1 손춘섭, "현대국어 호칭어의 유형과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33 : 95-129, 2010
2 홍민표, "한일 부부호칭의 대조언어학적 연구" 43 : 301-317, 1999
3 "한국콘텐츠진흥원 방송대본 열람"
4 려증동, "한국가정언어" 시사문화사 1985
5 신정숙, "한국 전통사회 부녀의 호칭어와 존비어" 65․66 : 199-213, 1974
6 김혜숙, "한국 사회와 호칭어" 역락 245-284, 2005
7 왕한석, "한국 사회와 호칭어" 역락 2005
8 안태숙, "표준 화법에 관한 국민의 국어사용 실태 조사" 국립국어원 2010
9 국립국어연구원, "표준 화법 해설"
10 이창덕, "표준 화법 개선 및 보완을 위한 기초 연구" 국립국어원 2009
11 국립국어원, "표준 언어 예절"
12 통계청, "통계로 본 광복 70년 한국 사회의 변화"
13 서정수, "존대말은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가?(I)-부름말과 가리킴말-" 165 : 31-69, 1979
14 황문환, "조선시대 언간 자료의 부부간 호칭과 화계" 한국학중앙연구원 (17) : 121-139, 2007
15 양영희, "인칭대명사의 기능 변화 유형과 원인- 중세의 3인칭에서 현대의 2인칭화로 -" 우리말글학회 38 : 59-83, 2006
16 이무영, "예절바른 우리말 호칭" 여강 1994
17 려증동, "여자가 시집가서 사용해야 되는 말에 대하여" 효성여대 10 : 1981
18 이옥련, "언간의 친척 및 부부 호칭어"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28 : 101-121, 1989
19 문교부, "생활예절"
20 구현정, "분야별 화법 분석 및 향상 방안 연구-가정 내 대화 화법-" 국립국어원 2014
21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
22 이옥련, "국어 부부호칭의 사회언어학적 고찰"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26 : 193-213, 1987
23 김태엽, "국어 부름말의 문법" 우리말글학회 29 : 107-127, 2003
24 민현식, "광복 70돌맞이 말글 정책의 회고와 전망" 한글학회 9-44, 2015
25 서정수, "가정에서의 부름말과 가리킴말" 142-148, 1983
26 이능화, "朝鮮女俗考" 民俗苑 1985
27 Braun, Friederike, "Terms of address: Problems of patterns and usage in various languages and cultures" Mouton de Gruyter 1988
28 Brown, Penelope, "Politeness: Some universals in language us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29 Tylor, Edward Burmett, "On a method of investigating the development of institutions; applied to laws of marriage and descent" 18 : 245-269, 1989
30 Agha, Asif, "Language and social re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31 Tannen, Deborah, "Gender and conversational intera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32 박정운, "2인칭 여성 대명사 자기의 발달과 사용" 7 (7): 151-178,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