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이 인지한 가정학습환경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를 개발하여 타당화하는 것이다. 방법 가정학습환경 검사는 선행연구를 통해 가정에서 학습할 수 있는 환경...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이 인지한 가정학습환경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를 개발하여 타당화하는 것이다. 방법 가정학습환경 검사는 선행연구를 통해 가정에서 학습할 수 있는 환경...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이 인지한 가정학습환경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를 개발하여 타당화하는 것이다.
방법 가정학습환경 검사는 선행연구를 통해 가정에서 학습할 수 있는 환경에 대해 분석하고, 요인을 추출하여 가정학습환경에 필요한 세 가지 요소(부모-자녀 관계, 독서환경, 학습환경)으로 구성되었다. 본 검사는 가정학습을 하기 위한 환경으로 부모가 제공해야하는 환경을 측정할 수 있는 가정학습환경을 종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검사로써 Likert 5점 척도의 자기보고식으로 체크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학생 460명이었으며, 불성실한 데이터 10부를 제외하고 총 450부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7.0와 AMO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신뢰도 검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결과 가정학습환경의 하위요인 중 부모-자녀 관계의 신뢰도는 Cronbach α .905였고, 독서환경의 신뢰도는 Cronbach α .896이었으며, 학습환경의 신뢰도는 Cronbach α .899으로 전체 가정학습환경의 신뢰도는 Cronbach α .933으로 나타났다. 또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성을 입증하였으며, 판별타당도와 교차타당도를 분석하여 본 연구의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측정도구 개발을 통해 가정학습환경의 구성변인을 선정하고 그 타당도와 신뢰도를 입증함으로써 하위변인인 부모-자녀관계, 독서환경, 학습환경을 구성하고 설문문항을 개발함으로써 가정에서 부모가 자녀를 학습시킬 때 중요한 환경요소를 체크해 볼 수 있는 기초자료로 쓰일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주현옥,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부모애착관계가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호남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2021
2 이태상, "초등학교 아동의 독서 성향과 사고성향 및사고력의 관계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 이소희, "초등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독서성향과 독서태도에 관한 비교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4 마영화 ; 박성희, "초기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유형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분노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6 (26): 31-59, 2019
5 정예화 ; 정제영, "초·중·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5 (35): 1-20, 2017
6 송순옥,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 학교생활 스트레스, 희망감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7 최지은 ; 신용주,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관계, 또래 관계, 교사와의 관계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41 (41): 199-210, 2003
8 우채영, "청소년의 부정적 인간관계, 스트레스, 우울과 자살생각 간의 구조적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9 이향미 ; 정혜원, "청소년의 독서활동,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관계" 한국교육학회 57 (57): 233-257, 2019
10 권혁민, "영재아와 일반아의 독서성향과 진로태도성숙 및 자기주도적학습 특성의 관계"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 주현옥,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부모애착관계가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호남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2021
2 이태상, "초등학교 아동의 독서 성향과 사고성향 및사고력의 관계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 이소희, "초등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독서성향과 독서태도에 관한 비교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4 마영화 ; 박성희, "초기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유형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분노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6 (26): 31-59, 2019
5 정예화 ; 정제영, "초·중·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5 (35): 1-20, 2017
6 송순옥,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 학교생활 스트레스, 희망감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7 최지은 ; 신용주,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관계, 또래 관계, 교사와의 관계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41 (41): 199-210, 2003
8 우채영, "청소년의 부정적 인간관계, 스트레스, 우울과 자살생각 간의 구조적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9 이향미 ; 정혜원, "청소년의 독서활동,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관계" 한국교육학회 57 (57): 233-257, 2019
10 권혁민, "영재아와 일반아의 독서성향과 진로태도성숙 및 자기주도적학습 특성의 관계"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1 박상희, "아동독서교육론" 공동체 2008
12 조한범, "스포츠사회학 : 중학생의 여가 활동 참여와 자아정체감의 관계" 39 (39): 191-203, 2000
13 유은희, "성인자녀-부모의 정서적 유대와 가족생활변화의 적응" 33 : 5-29, 2010
14 홍세희 ; 조기현 ; 손수경 ; 김효진 ; 윤미리 ; 강윤경 ; 이현정, "부모‧교사 애착과 우울의 관계에서 청소년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5 (15): 23-46, 2018
15 이동훈, "부모 학습관여와 자녀의 성취목표가 학습유형 및 자기조절학습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16 박진아, "군집분석을 활용한 아동 및 초기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 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열린부모교육학회 12 (12): 1-19, 2020
17 홍지은,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습지원이 수업참여도를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2022
18 오태순, "가정의 독서환경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9 백순미, "가정 독서 환경이 자녀 독서 습관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3
20 Cayubit, R. F. O., "Why learning environment matters? An analysis on how the learning environment influences the academic motivation, learning strategies and engagement of college students" 25 (25): 581-599, 2022
21 Neal, K. L.,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ropensity to forgive, parents' propensity to forgive and parenting practices" George Mason University 2006
22 Lehrl, S., "The home learning environment and its role in shaping children’s educational development" 31 (31): 1-6, 2020
23 Bell, M, A., "Shard book reading in kindergarten : Nature and outcomes" University of Guelph(Canada) 1999
24 Skwarchuk, S. L., "Relations between the home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literacy and mathematics skills of eight-year-old Canadian children" 12 (12): 513-540, 2022
25 Kızıltaş, Y., "Reading motivation levels of bilingual primary school students : Suggestions for increasing reading motivation" 14 (14): 2459-2489, 2022
26 Grolnick, W. S., "Parents' involvement in children's schooling : A multidimensional conceptualization and motivational model" 65 (65): 237-252, 1994
27 Fan, X., "Parental involvement and students'academic achievement : A meta-analysis" 13 (13): 1-22, 2001
28 Henrich, C. C., "Parent involvement, motivation, and achievement over thetransition to middle school" Yale University 2001
29 Epstein, J. L., "Parent involvement : What research says to administrators" 19 (19): 119-136, 1987
30 Rogers, M. E., "Parent and adolescent perceptions of adolescent career development tasks and vocational identity" 45 (45): 34-49, 2018
31 Cooley, C. H., "Human nature and the social order" Routledge 2017
32 Fantuzzo, J., "Family involvement questionnaire : A multivariate assessment of family particip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92 (92): 367-376, 2000
33 Birgit Heppt, "Development of academic language comprehension of German monolinguals and dual language learners" Elsevier BV 62 : 101868-, 2020
34 Monique Sénéchal, "Continuity and Change in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as Predictors of Growth in Vocabulary and Reading" Wiley 85 (85): 1552-1568, 2014
35 Al-Qahtani, M. F., "Associations between approaches to study,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10 (10): 56-65, 2015
36 Robert H. Bradley, "Assessing the home environment during mid- and late-adolescence" Informa UK Limited 23 (23): 22-40, 2017
37 Rand D. Conger, "An Interactionist Perspective on the Socioeconomic Context of Human Development" Annual Reviews 58 (58): 175-199, 2007
38 Farmer, J. R., "A self-determination theory perspective on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hildhood home reading environment and Canadian young adult leisure reading" 46 (46): 429-452, 2022
39 Morrow, L. M., "A family literacy program connecting school and home : Effects on attitude, motivation, and literacy achievement" 89 (89): 736-742, 1997
대학생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진로결정 수준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COVID-19로 비대면⋅대면 이론 수업 및 실습을 진행한 간호대학생의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메타인지, 학습몰입, 임상수행능력
변이 추론 지도 연구: 초등학교 3~4학년 통계 단원을 중심으로
고등학생의 진로탄력성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