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에서는 근대일본의 조선과 조선인에 대한 부정적이고 차별적인 이미지의 재현과 재생산에 관하여 만화라는 시각 장르에 초점을 두어 고찰하였다. 근대일본의 조선과 조선인에 대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266629
2019
-
001
KCI등재
학술저널
37-73(37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근대일본의 조선과 조선인에 대한 부정적이고 차별적인 이미지의 재현과 재생산에 관하여 만화라는 시각 장르에 초점을 두어 고찰하였다. 근대일본의 조선과 조선인에 대한 ...
이 논문에서는 근대일본의 조선과 조선인에 대한 부정적이고 차별적인 이미지의 재현과 재생산에 관하여 만화라는 시각 장르에 초점을 두어 고찰하였다. 근대일본의 조선과 조선인에 대한 이미지를 만화를 통해 재현한 단행본 출판물이 많지 않은 가운데 우스다 잔운과 도리고에 세이키에 의해 출판된 『조선만화』는 독특하고 특별한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함께 1927년에 오카모토 잇페이가 발표한 신문연재만화 「조선만화행」도 조선과 조선인에 대한 이미지 재현 문제에 많은 시사점을 주는 텍스트라는 점에서 중요한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들 두 텍스트의 비교분석을 통해 텍스트 내에서 재현하는 조선과 조선인에 대한 이미지는 아주 대조적인 방법으로 전개되고 있었다는 점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비교분석에 의해 근대일본의 조선과 조선인에 대한 이미지 재현과 재생산의 문제성을 지적하면서 타자인식의 한계와 일본적 오리엔탈리즘 시선의 한계도 동시에 재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focused on the visual genre of cartoon about the reproduction and the representation of the negative and discriminative images of the Joseon dynasty and Koreans in modern Japan. There are not many book publications that reproduce the ...
In this paper, I focused on the visual genre of cartoon about the reproduction and the representation of the negative and discriminative images of the Joseon dynasty and Koreans in modern Japan. There are not many book publications that reproduce the images of Joseon and Koreans in modern Japan through comics. “Joseon manga”, published by Usuda Zanun and Torigoe Seiki, is a unique and special text. In addition, in 1927, Okamoto Ippei published a comic book series called “Joseon mangako”, which is an important text in that it offers lots of suggestions to the problem of image reproduction of Joseon and Koreans.
In this paper, I have mad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se two texts and found that the images of Joseon and Koreans reproduced in the texts unfolded in a very contrastive way. In addition, this comparative analysis has pointed out the problem of the reproduction and the representation of the images of Joseon and Koreans in modern Japan. It also provided us with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the limitations of both Japanese recognition of “the Others “and Japanese interpretation of Orientalism at the same time.
참고문헌 (Reference)
1 권혁희, "조선에서 온 사진엽서" 민음사 2005
2 최혜주, "잡지 ≪朝鮮≫(1908~1911)에 나타난 일본 지식인의 조선인식" 한국근현대사학회 (45) : 80-115, 2008
3 한상일, "일본, 만화로 제국을 그리다-조선병탄과 시선의 정치" 일조각 2006
4 김용의, "우스다 잔운(薄田斬雲)의 『조선만화(朝鮮漫畵)』에 묘사된 조선의 생활문화" 한국일본어문학회 1 (1): 367-386, 2011
5 강소영, "오카모토 잇페이(岡本一平)와 만화만문(漫画漫文), 그리고「조선만화행(朝鮮漫画行)」" 일본연구소 (74) : 7-28, 2017
6 정희정, "근대기 재한 일본인 출판물 朝鮮漫畵" 한국미술사연구소 (31) : 299-308, 2010
7 清水勲, "近代日本漫画百選" 岩波書店 1997
8 鳥越青岐, "美感なき国" 2 : 1908
9 薄田斬雲⋅鳥越青岐, "朝鮮漫画" 日韓書房 1909
10 薄田斬雲, "暗黒なる朝鮮" 日韓書房 1908
1 권혁희, "조선에서 온 사진엽서" 민음사 2005
2 최혜주, "잡지 ≪朝鮮≫(1908~1911)에 나타난 일본 지식인의 조선인식" 한국근현대사학회 (45) : 80-115, 2008
3 한상일, "일본, 만화로 제국을 그리다-조선병탄과 시선의 정치" 일조각 2006
4 김용의, "우스다 잔운(薄田斬雲)의 『조선만화(朝鮮漫畵)』에 묘사된 조선의 생활문화" 한국일본어문학회 1 (1): 367-386, 2011
5 강소영, "오카모토 잇페이(岡本一平)와 만화만문(漫画漫文), 그리고「조선만화행(朝鮮漫画行)」" 일본연구소 (74) : 7-28, 2017
6 정희정, "근대기 재한 일본인 출판물 朝鮮漫畵" 한국미술사연구소 (31) : 299-308, 2010
7 清水勲, "近代日本漫画百選" 岩波書店 1997
8 鳥越青岐, "美感なき国" 2 : 1908
9 薄田斬雲⋅鳥越青岐, "朝鮮漫画" 日韓書房 1909
10 薄田斬雲, "暗黒なる朝鮮" 日韓書房 1908
11 박양신, "明治시대(1868-1912) 일본 삽화에 나타난 조선인 이미지" 한국학중앙연구원 28 (28): 301-329, 2005
12 細木原青起, "日本漫画史" 雄山閣 1924
13 清水勲, "年表日本漫画史" 臨川書店 2000
14 清水薫篇, "岡本一平漫画漫文集" 岩波文庫 2011
15 "一平全集 第八巻" 先進社 1929
16 야마모토 사에, "『東京朝日新聞』에 연재한 오카모토 잇페이(岡本一平)의 <朝鮮漫画行>(1927): 신문 만화에 그려진 일본 통치하의 한국" 한국미술연구소 (38) : 185-209, 2014
17 박광현, "‘조선’을 그리다 - 100년 전 어느 만화저널리스트의 ‘조선’ -" 일본연구소 34 : 99-126, 2011
공간 이동과 재일코리안의 정주와 건강 -『大阪と半島人』와 『민중시보(民衆時報)』를 통한 오사카(쓰루하시(鶴橋))의 1930년대를 중심으로-
낙태 논쟁에서 신체의 자기 결정권과 “강한 자발성” -탐슨의 논변을 중심으로-
1950∼60년대 한국 정치학계의 미국 정치학 수용 양상 -‘행태주의(behavioralism)’ 정치학 수용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3-0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Humanities |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7-29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인문과학연구소 -> 인문학연구원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for Humanities -> Institute for Humanities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 | 0.4 | 0.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5 | 0.35 | 0.858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