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가와 융의 사상으로 본 우르술라 르 귄의『어스시의 마법사』 = Reading Ursula K. Le Guin`s A Wizard of Earthsea in the Context of Taoism and Jungian Theo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378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우르술라 K. 르 귄의 어스시 3부작 중 첫 부분인 『어스시의 마법사』를 도가사상과 칼 융의 그림자 및 전일성 이론을 토대로 분석한 것이다. 초월 적인 도가 사상의 특성으로 인해...

      본 논문은 우르술라 K. 르 귄의 어스시 3부작 중 첫 부분인 『어스시의 마법사』를 도가사상과 칼 융의 그림자 및 전일성 이론을 토대로 분석한 것이다. 초월 적인 도가 사상의 특성으로 인해 그 이론을 체계적으로 조직화하기는 어렵지만, 기본적으로 도가 사상의 목적은 도의 상태를 달성하는 것, 또는 우주의 이치와 흐 름을 경험하고 이해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도가 사상의 가장 큰 가치인 자제력 과 무행위에 대한 강조는 『어스시의 마법사』에서 주인공인 게드가 마법을 배우는 과정을 통해 반복하여 드러난다. 도가 사상과 융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는 게드의 적을 융의 그림자로 해석하고, 게드가 마법학교의 학생으로서 받는 교 육을 침묵과 무행위라는 도가적인 가르침으로 간주한다. 본 연구는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첫째, 작가인 르 귄과 소설의 배경, 둘째, 작품 내 드러난 융의 그림자 이론과 도가 사상의 균형에 관한 연구, 셋째, 신화적인 화법에 관한 연구, 넷째, 작품에 나타난 성장소설의 요소 분석이다. 작품 의 줄거리는 호머나 버질의 서사시에서 사용이 되는 대서사적인 화법과 구조를 따 라 진행이 된다. 『어스시의 마법사』가 서사적인 구조를 따르고 있기는 하나 주인공 게드는 그리스, 로마 신화의 슈퍼영웅이 아니라 오히려 반영웅으로 묘사된다. 따라서 게드가 경험하는 모험은 개인적인 명예나 영광을 추구하기 위해서 시작된 것이 아니라, 자신의 실수와 무지에 의해 어쩔 수 없이 시작된다. 본 연구는 자신 의 적뿐만 아니라 자신의 진정한 정체성을 발견하고자 하는 게드의 노력을 융의 이론과 도가 사상에서 공통적으로 말하는 전일성을 추구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규정하고, 전일성을 추구하는 과정을 통해 게드가 청소년에서 어른으로 성공적으로 성장했음을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ssay analysed Ursula K. Le Guin`s A Wizard of Earthsea(1968), which is the first part of Earthsea Trilogy in the frame of Taoism and Jungian theories such as shadow and wholeness. Although Taoism is a transcendental philosophy whose doctrine is ...

      This essay analysed Ursula K. Le Guin`s A Wizard of Earthsea(1968), which is the first part of Earthsea Trilogy in the frame of Taoism and Jungian theories such as shadow and wholeness. Although Taoism is a transcendental philosophy whose doctrine is not systematically organised, its main goal is to understand the state of Tao, the flow of the universe. The values of Taoism such as self-control and non-action are repeatedly taught as Ged learns magic. In the context of Taoism and Jungian theories, this essay defines the unknown enemy as the Jungian shadow and the education Ged as a young magic student receives Taoist lessons of silence and non-action. This research is divided into four parts: background to fiction and the author, Jungian shadow and Taoist balance shown in the fiction, the mythopoetic narrative, and characteristics of a Bildungsroman, or a coming-of-age novel. The plot of the novel follows structures of the epic narrative which is seen in Homer or Virgil. Although it follows the epic structure, Ged is not depicted as a super hero, but rather anti-hero whose adventure is not initiated by personal glory or honour, but by his mistake and ignorance. In this essay, Ged`s struggle to discover the true identity of his enemy - and also his - is considered as a psychic journey to achieve the Jungian/Taoist wholeness, and at the same it is considered that Ged made a successful transformation from adolescence into adulthoo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샌포드, 존, "융 심리학, 악, 그림자" 한국심층심리연구소 2010

      2 "http://www.ursulakleguin.com/Earthsea.html"

      3 Selinger, Bernard, "Ursula K. Leguin and the Future of Discourse" 6 (6): 48-51, 1985

      4 Spivack, Charlotte, "Twayne’s United States Authors Series" Twayne 1984

      5 Montler, Timothy, "Traditional Personal NAmes in Klallan (Lecture note) for the session of American Indian Personal Names: A Neglected Lexical Genre" SSILA

      6 Bain, Dena C, "The Tao Te Ching as Background to the Novels of Ursula K.Le Guin, In Harold Bloom" Chelsea House 1986

      7 Whitmont, Edward C, "The Symbolic Quest" Princeton UP 1978

      8 Jung, C. G, "The Portable Jung, In Joseph Campbell" Penguin 1976

      9 Lao Tzu, "Tao Te Ching" Pengui 1963

      10 Ransom, Amy J, "Recent Scholarship on Ursula K. Le Guin: Oziewicz’s One Earth, One People; Rochelle’s Communities of the Heart; Burns’s Le Guin and The Dispossessed; Bernado’/Murphy’s Le Guin: A Critical Companion" 36 : 2009

      1 샌포드, 존, "융 심리학, 악, 그림자" 한국심층심리연구소 2010

      2 "http://www.ursulakleguin.com/Earthsea.html"

      3 Selinger, Bernard, "Ursula K. Leguin and the Future of Discourse" 6 (6): 48-51, 1985

      4 Spivack, Charlotte, "Twayne’s United States Authors Series" Twayne 1984

      5 Montler, Timothy, "Traditional Personal NAmes in Klallan (Lecture note) for the session of American Indian Personal Names: A Neglected Lexical Genre" SSILA

      6 Bain, Dena C, "The Tao Te Ching as Background to the Novels of Ursula K.Le Guin, In Harold Bloom" Chelsea House 1986

      7 Whitmont, Edward C, "The Symbolic Quest" Princeton UP 1978

      8 Jung, C. G, "The Portable Jung, In Joseph Campbell" Penguin 1976

      9 Lao Tzu, "Tao Te Ching" Pengui 1963

      10 Ransom, Amy J, "Recent Scholarship on Ursula K. Le Guin: Oziewicz’s One Earth, One People; Rochelle’s Communities of the Heart; Burns’s Le Guin and The Dispossessed; Bernado’/Murphy’s Le Guin: A Critical Companion" 36 : 2009

      11 Lieberman, Robert(dir), "Legend of Earthsea" Hallmark Entertainment and Bender-Brown Productions 2004

      12 Tsai, Shu Fen, "Le Guin’s Earthsea Cycle: An Ecological Fable of Healing the Wounds" 29 (29): 143-174, 2003

      13 Stone, Dan, "Interview with Ursula K. Le Guin"

      14 Le Guin, "Earthsea Miniseries: Reply to Some Statements Made by the Film-Makers of the Earthsea Miniseries Before it was Shown"

      15 Le Guin, "A Wizard of Earthsea" Bantam Dell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11-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Fairy Tales and Translation -> Children’s Literature and Translation KCI등재
      2014-11-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Fairy Tales and Translation Research Institute -> Children's Literature and Translation Research Institure KCI등재
      2014-0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Fairy Tales and Transl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4-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Fairy tale and Traslation's Institute -> Fairy Tales and Translation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37 0.642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