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사염화탄소로 유발된 흰쥐의 급성간손상에 대한 비타민 E의 효과 = Effects of Vitamin E on Carbon Tetrachloride : Induced Acute Hepatotoxicity in the Ra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6640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간세포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손상을 받으면 세포 상호작용에 의해 각종 사이토카인 및 산소 유리기 등이 생성되면서 세포외기질이 손상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해 세포외기질이 이상증식이 ...

      간세포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손상을 받으면 세포 상호작용에 의해 각종 사이토카인 및 산소 유리기 등이 생성되면서 세포외기질이 손상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해 세포외기질이 이상증식이 유발되면 간섬유증으로 진행하게 된다. 단기적인 사염화탄소 투여시 급성 간손상을 일으켜 일시적인 간조직의 섬유화를 유발시킬 수 있고, 산화성 스트레스가 간섬유화의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되고 있지만, 그 기전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밝혀진 것이 없다. 간성상세포와 변환성장인자(TGF-β_(1))가 간섬유화를 유발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사염화탄소에 의한 급성 간손상시 간성상세포 골격표지자인 desmin과 세포증식에 관여하는 PCNA 항체를 이용하여 간성상세포의 활성도와 증식능을 관찰하였다. 또한 변환성장인자의 발현을 시간대에 따라 관찰하고, 비타민 E의 투여에 따른 변화를 비교 검토하여 항상화제인 비타민 E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염화탄소 투여에 따른 간성상세포의 활성도와 증식능의 변화는 사염화탄소를 투여한 Ⅰ군에서 사염화탄소 투여전과 비교시 시간이 지남에 따라 desmin과 PCNA발현이 증가되므로 간성상세포는 교원질을 생성하여 간섬유화를 일으킬 수 있는 세포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사염화탄소를 투여한 Ⅰ군에서 사염화탄소 투여전과 비교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환성장인자의 발현이 증가되었다. 변환성장인자는 간섬유화를 유도하는 사이토카인 중의 하나로 이것의 증가는 간성상세포를 자극하여 섬유화를 유발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자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비타민 E 투여에 따른 간성상세포의 활성도와 증식능의 변화는 비타민을 투여한 Ⅱ군과 비타민 E를 투여하지 않은 Ⅰ군에서 32시간대에 desmin과 PCNA의 발현이 증가되었으나, Ⅰ군에 비해 Ⅱ군에서 desmin 과 PCNA의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비타민 E투여에 따른 변환성장인자의 변화는 두 군 모두 32시간대에 발현이 증가되었으나, Ⅰ군에 비해 Ⅱ군에서 변환성장인자의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이는 항산화제인 비타민 E가 간성상세포와 변환성장인자의 활성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사염화탄소에 의한 급성간송상시 간성상세포와 변환성장인자는 간섬유화로 진행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산화성 스트레스에 의한 간손상시 항상화제인 비타민 E는 급성 간부전의 치료 및 만성 간손상에 의한 간섬유화의 예방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the liver is damaged from an insult, various cytokines and free oxygen radicals are released from that damage the extracellular matrix which in turn induces abnormal hyperplasia of the extracellular maxtrix leading to hepatic fibrosis. Short ter...

      After the liver is damaged from an insult, various cytokines and free oxygen radicals are released from that damage the extracellular matrix which in turn induces abnormal hyperplasia of the extracellular maxtrix leading to hepatic fibrosis. Short term administration of CCl_(4) induces acute hepatotoxicity and may cause transient hepatic fibrosis. Although oxygen stress is thought to be an important mediator of this process the exact mechanism is not yet known. Hepatic stellate cell and TGFβ_(1) are demonstrated to be important agents in the formation of hepatic fibrosis. Thu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changes in the hepatic stellate cell after induction of acute hepatoxicity with CCl_(4). desmin, a skeletal marker of hepatic stellate cell, and PCNA antibody that is related to cellular growth were used to determine the activity and growth potentionial of hepatic stellate cell. TGF-β_(1) expression was observed in relation to time and vitamin E administration. The effect of vitamin E, an anti-oxygen agent, was determined by immunohisto chemist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Desmin and PCNA expressions were increased after CCl_(4) treatment. This result demonstrated that stellate cell could induce hepatic fibrosis through the production of collagen.
      2. TGF-β_(1) activity was increased with time after CCl_(4) administration. This result showed that TGF-β_(1) w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hepatic fibrosis.
      3. Although desmin, PCNA, and TGF-β_(1) expressions were all increased at 32 hours in both the vitamin E administered and control groups, the levels were all significantly lower in the vitamin E administered group. These data demonstrated that vitamin E inhibits stellate cell and TGF-β_(1) activity.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stellate cell and TGF-β_(1) are important mediators of hepatic fibrosis after acute hepatotoxicity from CCl_(4). Vitamin E may be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acute hepatic damage from oxygen stress and prevention of hepatic fibrosis from chronic hepatic dama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List of Tables = ⅱ
      • List of Figures = ⅲ
      • Abstract = 2
      • Ⅰ. 서론 = 4
      • 목차 = ⅰ
      • List of Tables = ⅱ
      • List of Figures = ⅲ
      • Abstract = 2
      • Ⅰ. 서론 = 4
      • Ⅱ. 재료 및 방법 = 7
      • 1. 실험동물 및 실험군 설정 = 7
      • 2. 조직 처리 및 슬라이드 = 7
      • 3. 간조직 성상세포의 증식능 염색 = 8
      • 4. 간조직의 TGF-β_(1)에 대한 염색 = 9
      • 5. 통계처리 = 10
      • Ⅲ. 결과 = 11
      • 1. 사염화탄소 투여에 따른 간조직의 변화 = 11
      • 1) 성상세포 증식능 = 11
      • 2) 변환성장인자 발현 = 12
      • 2. 비타민 E의 투여에 따른 간조직의 변화 = 12
      • 1) 성상세포 증식능 = 12
      • 2) 변환성장인자의 발현 = 13
      • Ⅳ. 고찰 = 22
      • Ⅴ. 적요 = 27
      • 참고문헌 = 2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