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체용의약품과 생활화학제품의 사전환경위해성평가제도 도입ㆍ운용을 위한 법정책적 연구 = A Study on Legal Policies for Introduction of an Advance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System of Human Pharmaceuticals and Personal Care Product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405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use a lot of medicines and personal care products in our daily life. However, these ingredients have been detected in surface water, groundwater, and even drinking water. Also, trace amounts of ingredients have been reported to cause an adverse eff...

      We use a lot of medicines and personal care products in our daily life. However, these ingredients have been detected in surface water, groundwater, and even drinking water. Also, trace amounts of ingredients have been reported to cause an adverse effect like endocrine disruption, acute or chronic toxicity, mutagenicity to the environment. And except for some countries, environmental impacts are not proactively manage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advance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as a scientific and rational decision-making method that can anticipate and analyze the environmental impact based on the precautionary principle. Advance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system needs to be introduced in three aspects. First, as a sustainable principle for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based on the polluter pays principle and the precautionary principle. Second, the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 justice. Third, the system is required as a means of obtaining adequate and sufficient information.
      So, we explored the main components and the way to introduce the advance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system on human pharmaceuticals and personal care products through analysis of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yst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suggest that the basis for implementing the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by law, and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quantitative priority criteria to conduct an integrated risk assessment for existing products containing priority components. Also, 4 stages of the phase-tiered approach and supports for long term effects and combined toxicity studies by the government are needed. The cost of producing data should be borne by the enterprise, but the co-payment method needs to be considered. It is important to secure the information rather than to regulate it, and to reinforce the recovery of unused drugs or risk mitigation measures such as packaging and label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현대인들은 일상생활에서 수많은 종류의 의약품과 생활화학제품을 사용하고 있다. 이들 제품에 포함된 각종 화학성분들은 지표수, 지하수, 식수 등 우리 일상 속에서 다양하게 검출...

      오늘날 현대인들은 일상생활에서 수많은 종류의 의약품과 생활화학제품을 사용하고 있다. 이들 제품에 포함된 각종 화학성분들은 지표수, 지하수, 식수 등 우리 일상 속에서 다양하게 검출되고 있으며, 미량으로도 환경에 크고 작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그러나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는 이들 성분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적절히 평가 및 관리하기 위한 법적ㆍ제도적 장치를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역시 인체용의약품과 생활화학제품에 대해서 이들 제품과 성분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평가ㆍ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사전환경위해성평가제도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이 논문은 우리나라가 아직 사전환경위해성평가제도를 명시적으로 도입하지 않고 있는 인체용의약품과 생활화학제품을 중심으로, 국내외 관련 법제도의 현황과 내용에 대한 종합적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한 사전환경위해성평가제도의 구성요소를 비롯하여 제도의 바람직한 도입 및 운용 방안 등을 모색하였다.
      최근 인체용의약품과 생활화학제품에 포함된 각종 화학성분이 환경에 미치는 위해성과 악영향이 점차 심화ㆍ확대되어가고 있는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해당 제품과 성분들에 대한 사전환경위해성평가제도의 도입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법정책적으로는 인체용의약품과 생활화학제품에 대한 사전환경위해성평가제도의 도입ㆍ시행 근거를 법률로써 명확히 하고, 개별 성분에 대한 정량적 우선순위 기준을 마련하여 우선순위 성분이 함유된 제품을 중심으로 통합위해성평가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위해성평가에 있어서는 ‘4단계 위해성평가방법’ 및 ‘단계별 구간접근방식’(phase-tiered approach)을 적절히 혼합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정부는 우선순위 물질들에 대해 장기 영향과 복합 독성 등에 대한 연구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사전환경위해성평가에 필요한 자료의 생성 비용은 해당 기업체가 부담하도록 하되, 기업ㆍ경제활동을 지나치게 위축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충적으로 공동부담 방식을 도입하는 방안도 함께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제도의 도입ㆍ운용을 통한 구체적인 환경위해성 저감 방안으로는 포장ㆍ라벨링 표기와 같은 위해저감수단(RMM)이나 불용의약품 회수정책 강화 등도 고려되어야 한다. 끝으로, 사전환경위해성평가제도가 이들 제품의 생산과 소비에 대한 새로운 규제의 도입이나 기존 규제의 강화를 중심으로 운용되기보다는 미래지향적 관점에서 관련 정보의 확보와 통합관리를 통한 환경보호에 방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민아, "환경정책론" 도서출판 대영문화사 2017

      2 전재경, "환경정의 수립 및 환경인식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18

      3 문석기, "환경계획학" 보문당 2007

      4 이정전, "환경경제학" 박문사 2000

      5 최경호, "환경 중 의약물질의 신규 관리전략 마련을 위한 위해성 평가연구" 국립환경과학원 2013

      6 곽재식, "화학물질 관리규제가 기업의 지식재산에 미치는 영향 -한국, 미국, 유럽, 일본의 영업비밀 관련 규제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식재산연구원 13 (13): 95-136, 2018

      7 홍완식, "화학물질 관련법에 대한 입법평론" 한국입법학회 15 (15): 71-91, 2018

      8 이동영, "인체용의약품과 생활화학제품의 환경 위해 저감 방안에 관한 연구: 사전환경위해성평가제도 도입ㆍ운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9

      9 최경호, "사전환경위해성평가 제도 도입 방안 연구" 환경부 2016

      10 하대청, "사전주의의 원칙은 비과학적인가? : 위험 분석과의 논쟁을 통해 본 사전주의 원칙의 ‘합리성’" 한국과학기술학회 10 (10): 143-174, 2010

      1 강민아, "환경정책론" 도서출판 대영문화사 2017

      2 전재경, "환경정의 수립 및 환경인식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18

      3 문석기, "환경계획학" 보문당 2007

      4 이정전, "환경경제학" 박문사 2000

      5 최경호, "환경 중 의약물질의 신규 관리전략 마련을 위한 위해성 평가연구" 국립환경과학원 2013

      6 곽재식, "화학물질 관리규제가 기업의 지식재산에 미치는 영향 -한국, 미국, 유럽, 일본의 영업비밀 관련 규제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식재산연구원 13 (13): 95-136, 2018

      7 홍완식, "화학물질 관련법에 대한 입법평론" 한국입법학회 15 (15): 71-91, 2018

      8 이동영, "인체용의약품과 생활화학제품의 환경 위해 저감 방안에 관한 연구: 사전환경위해성평가제도 도입ㆍ운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9

      9 최경호, "사전환경위해성평가 제도 도입 방안 연구" 환경부 2016

      10 하대청, "사전주의의 원칙은 비과학적인가? : 위험 분석과의 논쟁을 통해 본 사전주의 원칙의 ‘합리성’" 한국과학기술학회 10 (10): 143-174, 2010

      11 대한민국 국회, "법제이론과 실제" 대한민국 국회 법제실 2016

      12 김양정,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시행에 따른 산업체의 비용부담과 대응 방안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15

      13 "U. S. EPA"

      14 Archer, E., "The fate of pharmaceuticals and personal care products (PPCPs), endocrine disrupting contaminants (EDCs), metabolites and illicit drugs in a WWTW and environmental waters" 174 : 2017

      15 WHO, "State of the Science of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2012"

      16 Wang, J., "Removal of pharmaceuticals and personal care products (PPCPs) from wastewater: A review" 182 : 2016

      17 ECHA, "Practical guide for SME managers and REACH coordinators, How to fulfil your information requirements at tonnages 1-10 and 10-100 tonnes per year" ECHA 2016

      18 Beek, T., "Pharmaceuticals in the environment-Global occurrences and perspectives" 35 : 2016

      19 Daughton, C. G., "Pharmaceuticals and personal care products in the environment: agents of subtle change?" 107 (107): 1999

      20 ITA, "Personal Care & Cosmetics Products Country Guide: Australia"

      21 Environment Canada, "Overview of the Ecological Assessment of Substances under the Canadian Environmental Protection Act, 1999"

      22 WHO, "Integrated Risk Assessment. WHO/INEP/ILO International Programme on Chemical Safety" WHO 2001

      23 Ågerstrand, M., "Improving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of human pharmaceuticals" 49 (49): 4-, 2015

      24 EMEA, "Guideline on the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of the medical products for human use" 2006

      25 U.S. FDA CDER, "Guidance for Industry Environmental Assessment of Human Drug and Biologics Applications"

      26 Stockholm County Council, "Environmentally Classified Pharmaceuticals, 2014-2015"

      27 enHealth, "Environmental health risk assessment-Guidelines for assessing human health risks from environmental hazards"

      28 Meiburg, A. S., "Emerging Contaminants and Environmental Health" 79 (79): 2018

      29 Ortiz de Garcia, S. A., "Ecotoxicity and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of pharmaceuticals and personal care products in aquatic environments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s" 23 (23): 2014

      30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Health, National Industrial Chemicals Notification and Assessment Scheme"

      31 Juliano, C., "Cosmetic Ingredients as Emerging Pollutants of Environmental and Health Concern" 4 (4): 2017

      32 Fox, M. A., "An Overview of Literature Topics Related to Current Concepts, Methods, Tools, and Applications for Cumulative Risk Assessment (2007-2016)" 14 (14): 2017

      33 Hoyett, Z., "A comparative evaluation of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strategies for pharmaceuticals and personal care products" 127 :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71 0.839 0.4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