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우리나라 베이비부머세대 근로자의 경제요인, 사회요인, 조절요인이 주관적 건강평가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2012년도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실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971078
2015
Korean
310
KCI등재
학술저널
257-272(16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베이비부머세대 근로자의 경제요인, 사회요인, 조절요인이 주관적 건강평가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2012년도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실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베이비부머세대 근로자의 경제요인, 사회요인, 조절요인이 주관적 건강평가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2012년도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실시한 제4차 고령화연구패널(KLoSA) 자료를 이용하여 베이비부머세대 근로자 1,202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척도로 경제요인, 사회요인을 선정하여 주관적 건강평가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경제요인, 사회요인이 주관적 건강평가와의 관계에 민간의료보험가입이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Multi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베이비부머세대의 주관적 건강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는 연령, 학력, 주택소유, 친구만남, 전반적삶만족, 민간의료보험가입 등이었다. 그리고 경제요인, 사회요인이 주관적 건강평가와의 관계에서 민간의료보험가입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verify how the economic, social and moderating effect factors of baby boomer generation workers affect the subjective health evaluation. The subjective of this study was 1,202 workers of baby boomer generation by using the 4th data...
This study is to verify how the economic, social and moderating effect factors of baby boomer generation workers affect the subjective health evaluation.
The subjective of this study was 1,202 workers of baby boomer generation by using the 4th data of 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ing(KLoSA) from Korea Labor Institute in 2012. Economic and social factors were selected as scales to analyze if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in subjective health evaluation. Method of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verify whether the private health insurance has control effect over the relation between the subjective health evaluation and the economic & social factor. As a result of the study, age, education, home ownership, peer group meeting, overall satisfaction, private health insurance wer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ive health evaluation of baby boomer generation. Moreover private health care were turned out to have a moderation effect in relation between economic, social factor and subjective health evalu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혜련, "한국인의 건강행위 실천 수준" 10 : 15-24, 2000
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복지패널 4차년도 조사자료 User's Guide"
3 배상열, "한국 노인의 신체활동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0 (10): 255-266, 2010
4 이승미, "한국 노인의 사회계층별 건강상태와 사회적 지원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2 (22): 135-157, 2002
5 공선희, "한국 노인의 돌봄 자원과 돌봄 기대 : 생애구술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08
6 고대선, "체력과 운동참여가 노인들의 건강한 노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29 (29): 899-915, 2009
7 정민수, "지역사회역량이 주민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2006년 서울시 도봉구 주민 건강행태조사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학회 153 (153): 153-182, 2007
8 박재순, "중년후기 여성의 건강증진행위 모형구축"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5
9 고정옥, "중년여성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노후생활 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5 (5): 17-39, 2009
10 한경혜, "중년기 남녀의 사회적 관계망과 정신건강" 한국노년학회 23 (23): 155-170, 2003
1 김혜련, "한국인의 건강행위 실천 수준" 10 : 15-24, 2000
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복지패널 4차년도 조사자료 User's Guide"
3 배상열, "한국 노인의 신체활동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0 (10): 255-266, 2010
4 이승미, "한국 노인의 사회계층별 건강상태와 사회적 지원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2 (22): 135-157, 2002
5 공선희, "한국 노인의 돌봄 자원과 돌봄 기대 : 생애구술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08
6 고대선, "체력과 운동참여가 노인들의 건강한 노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29 (29): 899-915, 2009
7 정민수, "지역사회역량이 주민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2006년 서울시 도봉구 주민 건강행태조사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학회 153 (153): 153-182, 2007
8 박재순, "중년후기 여성의 건강증진행위 모형구축"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5
9 고정옥, "중년여성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노후생활 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5 (5): 17-39, 2009
10 한경혜, "중년기 남녀의 사회적 관계망과 정신건강" 한국노년학회 23 (23): 155-170, 2003
11 허은정, "중․고령자의 민간의료보험 가입 및 지출액 결정요인" 한국소비자학회 20 (20): 107-127, 2009
12 손용진, "장애 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장애중장년층과의 비교 연구를 통하여" 한국노인복지학회 25 (25): 49-74, 2004
13 박진경,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수준의 종단관계 분석" 서울대학교 2008
14 박순옥, "일,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지지에 관한 연구" 14 (14): 144-156, 2003
15 오영희, "우리나라 노인의 객관적 건강상태와 주관적 건강인식의 관련성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5
16 이정민, "연령층별 사회경제적 계층에 따른 건강행위 실천과 주관적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2 (12): 317-327, 2012
17 정순둘, "연령집단별 사회적 자본과 삶의 만족도 관계비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2 (32): 249-272, 2012
18 김홍록, "여성노인의 여가활동참가와 신체적 건강 및 행복감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671 (671): 671-680, 2008
19 김명숙, "여가활동이 노인건강에 미치는 영향과가족지지의 매개역할" 한국노인복지학회 35 (35): 35-54, 2013
20 허재헌, "서울시 노인의 사회경제적 수준별 활동제한 및 건강행태" 한국노년학회 28 (28): 87-104, 2008
21 강혜원, "서울시 남녀노인의 건강불평등:사회경제적 지위와 사회통합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1 (41): 164-201, 2007
22 류건식, "생명보험상품에 대한 소비자구매 성향분석" 58 : 199-224, 2001
23 김승곤, "사회경제적 지위와 노인의 주관적 건강" 한국노인복지학회 187 (187): 187-206, 2005
24 김진영,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의 관계:연령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1 (41): 127-153, 2007
25 어광수, "사회경제적 요인 및 심리적 요인이 노인의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림대학교 대학원 2003
26 송인한, "사회경제적 박탈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시민적 낙관의 매개효과" 서울연구원 12 (12): 33-51, 2011
27 박미진, "빈곤노인의 사회적 고립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인식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회 30 (30): 895-910, 2010
28 강성욱, "민간의료보험이 과연 의료이용을 증가시키는가: 내생성 통제를 이용한 검정"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16 (16): 139-159, 2010
29 이현복, "민간의료보험 가입자 특성과 가입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27 (27): 217-240, 2011
30 윤희숙, "민간의료보험 가입이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개발연구원 30 (30): 99-128, 2008
31 김성옥, "민간보험가입에서의 선택과 의료서비스이용" 2005
32 차승은, "농촌 노인의 지각된 건강과 신체·정신·사회적 건강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연령 집단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2 (22): 173-190, 2002
33 이소정, "노후설계서비스 지원체계 구축 및 운영방안" 보건복지부 2011
34 강현욱, "노인의 지각된 사회적지지와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3 (33): 57-68, 2009
35 이윤환, "노인의 주관적건강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회 18 (18): 110-125, 1998
36 천의영, "노인의 사회 연결망 유형과 건강상태와의 관련성" 한국간호과학회 40 (40): 88-98, 2010
37 윤경아, "노인의 고질적 긴장 요인, 사회적 지원과 주관적 안녕상태" 12 (12): 56-64, 1992
38 차승은, "노인의 결혼지위 점유에 따른 건강차이: 노년기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7 (27): 371-392, 2007
39 최영희, "노인의 건강행위 사정도구 개발" 27 (27): 601-613, 1997
40 이영희, "노인의 건강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 601-613, 2000
41 김영근, "노인의 건강에 대한 인식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중심으로-" 대한작업치료학회 16 (16): 99-110, 2008
42 이호성, "노인의 건강상태와 의료비부담 관련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4 (24): 163-179, 2004
43 박석돈, "노인복지론" 양서원 2008
44 신두만, "노인들의 보건지식과 건강증진 형태 관련 요인" 12 : 67-87, 2006
45 지선하, "노인 스스로 인지한 건강상태와 사망률에 관한 연구" 16 (16): 178-180, 1994
46 이선정, "노인 생활실태와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수원시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2009
47 주성주, "노부부와 홀로 사는 노인들 간의 일반 건강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노년학회 13 (13): 55-62, 1993
48 신현구, "노동시장 은퇴자의 은퇴 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 3 : 81-93, 2007
49 정명숙,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한국노인복지학회 249 (249): 249-274, 2007
50 전경숙, "노년기 건강의 사회적 요인의 성별 차이" 한국노년학회 28 (28): 459-475, 2008
51 김진희, "남녀 근로자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건강행위와 건강수준 분석" 연세대학교대학원 2005
52 강유진, "기혼여성의 저출산 정책요구도 및 관련요인" (15) : 2012
53 김남진, "규칙적인 운동 참여가 고령자의 주관적건강상태 및 사회적 활동에 미치는 영향" 39 (39): 149-158, 2000
54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보장을 위한 국민건강보험과 민간의료보험의 역할 설정방안" 2006
55 김동현, "국내 민간의료보험 시장의 역선택에 관한 실증연구" 경희대대학원 2008
56 이정화, "광주․전남 중년층의 노년기 인식과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노후준비: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 (20): 275-289, 2009
57 최 헌, "건강수준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7
58 M. Bergner, "measurement of health status" 23 (23): 696-704, 1985
59 "http://survey.keis.or.kr"
60 K. McGarry, "health and retirement do changes in health affect retirement expectations?"
61 P. A. Thoits, "Volunteer Work and Well-Being" 42 (42): 115-131, 2001
62 C. E. Ross, "The Links between Education and Health" 60 (60): 719-745, 1995
63 J. E. Ware, Jr, "Standards for validating health measures: definition and content" 40 : 473-480, 1987
64 P. M. Lantz, "Socioeconomic factors, health behaviors, and mortality : Results from a nationally representative prospective study of US adults" 279 (279): 1703-1708, 1998
65 G. G. Fillenbaum, "Social context and self-assessments of health among the elderly" 20 : 45-51, 1979
66 T. E. Seeman, "Social Ties and Health" 442-445, 1996
67 C. E. Ross, "Sex stratification and health lifestyle : Consequences for men's and women's perceived health" 35 (35): 161-178, 1994
68 K. F. Ferraro, "Self-ratings of health among the old and the old-old" 21 : 377-383, 1980
69 J. S. Fehir, "Self-rated health status, self efficacy, motivation, and selected demographics as determinants of health-promoting life style"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1989
70 E. L. Idler, "Self-rated health and mortality : A review of twenty-seven community studies" 38 : 21-37, 1997
71 L. Shi,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elf-assessed health" 35 (35): 1069-1078, 1997
72 M. Luoh, "Individual consequences of volunteer and paid work in old age : health and mortality" 43 : 490-509, 2002
73 M. Bergner, "Health status measures : An overview and guide for selection" 8 : 191-210, 1987
74 K. L. Ory, "Health promotion behavior,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 reported health of Appalachian elderly" 6 (6): 204-211, 1989
75 L. F. Berkman, "Health and Ways of Living: The Alameda County Study"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76 S. Arber, "Gender difference in health in later life : The new paradox?" 48 (48): 61-76, 1999
77 J. P. Hirdes, "Feactors associated with the maintenance of good self-rated health" 5 (5): 101-122, 1993
78 M. M. Farmer, "Distress and perceived health, mechanisms of health decline" 39 : 298-311, 1997
79 M. Shields, "Determinants of self-perceived health" 13 (13): 35-52, 2001
80 Rodin, J., "Deteminants of change in perceived health in a longitudinal study of older adults" 37 (37): 373-384, 1992
81 N. Humpel, "Australian baby boomer's expectation and plans for their old age" 25 (25): 3-8, 2006
82 W. C. Cockerham, "Aging and perceived health status" 38 (38): 249-355, 1983
83 N. Hoeymans, "Age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status and self-rated health in elderly man" 45 : 1527-1536, 1997
84 D. A. Cohen, "A structural model of health behavior : A paradigm approach to explain and influence health behaviors at the population level" 30 : 146-154, 2000
85 통계청, "2012년 사회통계조사 주요결과"
86 국민건강보험공단, "2008 년 한국의료패널 기초분석보고서 (1)" 2009
동료 조직정치지각과 동료지향 조직시민행동 및 이직의도 관계에서 정치적 기술의 조절효과
N-스크린 환경 도래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유료화 전략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5-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1 | 1.21 | 1.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9 | 1.25 | 1.573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