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공외교로서 한국의 문화외교: 프랑스의 “영향력 외교”에 주목하여 = Korea's Cultural Diplomacy as Public Diplomacy : with Reference to “la Diplomatie d’influence” of Fr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311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starts its examination on the public diplomacy since its inception, and developments in the Cold War era and ensuing globalization. The writer purports to illustrate the case of France, the trade mark nation of culture and art, in using i...

      This article starts its examination on the public diplomacy since its inception, and developments in the Cold War era and ensuing globalization. The writer purports to illustrate the case of France, the trade mark nation of culture and art, in using its cultural influence as a unique tool in the area of public diplomacy. It is true that while the Soviet Union in the 1920s, the United States after 1945, and China in recent years have all emphasized cultural influence as a growth engine, However, France is unique in conducting the cultural diplomacy, in its own way to strengthen its external influence at a time when its national power was relatively declining.
      It is to be noted that public diplomacy of a given nation can be executed at a level both universal and specific. At the same time it is a common phenomenon that public diplomacy and soft power have become means of enhancing national competitiveness since the 1960s and 1980s. Yet the timing and methods of applying them vary depending on the given conditions of the country. In particular, France has introduced a new concept of “influence diplomacy” to revive French culture, thus cultural diplomacy, which is obvious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United States. In terms of the national wealth, or of national competitiveness, France has declined compared to the past, and has made its own efforts to promote the cultural industry by reorganizing a network of specialized organizations centered on the Institut Français. On this point the new French model gives rise to an emerging approach deserving a close appraisal in Korea.
      The Korean government officially declared 2010 as the “Year of Public Diplomacy”, setting out its 3 pillars as ‘political diplomacy, economic diplomacy, and public diplomacy. 6 years henceforth saw to it enactment of the Public Diplomacy Act of 2016. This year, in 2023, the Second Basic Plan for Public Diplomacy will be launched, so while the discussion on public diplomacy is short, Korea's image in the eyes of the world is higher than ever, as evidenced by the National Brand Index, among others. “cultural content powerhouse” is the word rightly dubbed to indicate solidifying trend toward culture. As a result the present paper examines the concept and development of public diplomacy and cultural diplomacy, especially in comparative perspectives with the Franco-Korean diplomatic practi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공공외교가 어떠한 배경에서 등장하여 냉전기, 세계화 시대를 지나며 어떤 모습으로 변모하였는지를 짚어보고, 이른바 문화예술의 나라라고 불리는 프랑스에서는 문화의 영향...

      이 글에서는 공공외교가 어떠한 배경에서 등장하여 냉전기, 세계화 시대를 지나며 어떤 모습으로 변모하였는지를 짚어보고, 이른바 문화예술의 나라라고 불리는 프랑스에서는 문화의 영향력을 어떻게 펼치고 있는지 살펴본다. 특히 1920년대의 소비에트연방과 1945년 이후의 미국, 그리고 최근의 중국이 성장동력으로 문화적 영향력을 강조하였다면, 프랑스는 국력이 쇠락한 시기에 문화외교를 통해 대외적인 영향력을 강화하였다는 점에서 그 특징을 갖고 있다.
      사실, 한 국가가 공공외교를 수행하는데 있어 보편성과 개별성 내지 특수성을 모두 갖게 마련이다. 1960년대, 1980년대를 지나면서 공공외교 및 소프트파워가 국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수단이 되었음은 공통적인 현상일 것이나 이를 적용하는 시기와 방식은 국가의 주어진 조건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난다. 특히 프랑스의 경우 미국과 차별된 그리고 과거에 비해 쇠락한 프랑스 문화, 문화외교를 부흥시키기 위해 “영향력 외교”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고 Institut Français를 중심으로 여러 전문기관과의 네트워크를 재편하여 문화산업의 진흥을 꾀하려는 나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 정부는 2010년을 “공공외교의 원년”으로 선포하고, 외교의 3대 축으로 정무외교, 경제외교 그리고 공공외교를 설정하고, 그로부터 6년 뒤인 2016년에 공공외교법을 제정하여 시행 중에 있다. 또한 2023년은 제2차 공공외교 기본계획이 새롭게 시작하는 해이다. 따라서 우리의 공공외교의 본격적 논의는 짧다고 할 수 있으나, 국가 브랜드 지수가 증명하듯 세계인이 생각하는 한국 이미지는 여느 때보다도 높다고 할 수 있으며, “문화콘텐츠 강국”으로서의 입지를 굳히고 있다. 소프트파워(Soft Power) 시대에서 스마트파워(Smart Power) 시대로 전환된 시기에 주목하며, 공공외교의 개념과 발전 그리고 문화외교, 프랑스와 한국의 문화외교의 특징을 통해 K-문화외교가 나아갈 방향을 살펴본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