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고전 작품의 현대적 활용 가능성이라는 측면에서 영화 <쌍화점>을 분석한 것이다. 고전 작품에 대한 이해와 대중의 이미지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영화 <쌍화점>을 살펴봄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35679
2015
Korean
810
KCI등재
학술저널
261-292(32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고전 작품의 현대적 활용 가능성이라는 측면에서 영화 <쌍화점>을 분석한 것이다. 고전 작품에 대한 이해와 대중의 이미지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영화 <쌍화점>을 살펴봄으...
이 글은 고전 작품의 현대적 활용 가능성이라는 측면에서 영화 <쌍화점>을 분석한 것이다. 고전 작품에 대한 이해와 대중의 이미지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영화 <쌍화점>을 살펴봄으로써 고전문학의 현대적 콘텐츠로의 변용과 그 의미에 대해 분석하고, 활용의 다양성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려가요 <쌍화점>에 대한 문학적 해석과 영화 <쌍화점>의 창작 토대가 된 역사기록을 검토하고, 고려가요 <쌍화점>이 어떻게 영화 <쌍화점>으로 재탄생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영화 <쌍화점>은 고려 공민왕대의 역사 기록을 바탕으로 창작된 영화로 다양한 역사 기록이 영화 속 사건들로 재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역사 기록을 토대로 한 여타 역사 영화와 달리 <쌍화점>은 정치적, 역사적 사건보다는 궁이라는 특별한 공간에서 이루어진 세 남녀의 일탈적 사랑과 욕망에 집중함으로써 역사 기록이라는 팩트보다 남녀상열지사로서의 노래의 해석과 대중적 이미지에 기대어 공유되고 있다. ‘일탈적 성관계’, ‘여성의 성적 욕망에 대한 긍정’, ‘관음’은 바로 고려가요 <쌍화점>과 영화<쌍화점>이 교차되는 지점으로, 주제, 이미지, 구조 등 다양한 측면에서 고전작품의 현대적 매체로의 확장 가능성을 시사해 주고 있다. 영화 <쌍화점>은 일탈적 성관계, 그러한 현장을 훔쳐보는 목격자, 성적 공간에 대한 상상과 소문의 확대, 성적 욕망의 확산이 이루어지는 담론의 현장에 대한 묘사라는 점에서 고려가요 <쌍화점>의 외연을 넓힌 영화이며, 고전 가요의 현대 서사물로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aper was designed to analyze the movie <The Frozen Flower: 쌍화점> in the aspects of modern utilization of Classics. The movie <The Frozen Flower> was examined in understanding classics and utilizing public images in order to analy...
The paper was designed to analyze the movie <The Frozen Flower: 쌍화점> in the aspects of modern utilization of Classics. The movie <The Frozen Flower> was examined in understanding classics and utilizing public images in order to analyze the transformation of classics as modern contents and its meaning and to explore the diversity of utilization. Literary interpretation of Goryeo-gayo <SSangWhaJum> and the historic record of creativity foundation of the movie <The Frozen Flower> were reviewed and how the song is adapted into the movie was studied. The movie <The Frozen Flower> was created on the basis of the historic record of King Gongmin era of Goryeo dynasty and the film reconstructed various historical events. However, instead of focusing on the political and historical events like any other historical films based on the true story of historic record, <The Frozen Flower> highlighted the intertwining story of an aberrant love triangle and their desire in a special space, such as palace. Therefore, the movie was remade in the sense of love song between male and female and shared as popular images rather than relying on the facts of historic record. ‘Deviated sexual relationships’, ‘affirmation regarding sexual desire of female’ and ‘voyeurism’ are known as the points of intersection that Goryeo-gayo <SSang -WhaJum> and the movie <The Frozen Flower> are interrelated, hence its various aspects such as themes, images, structures and etc. suggests the possibility of the classic works' extension to the modern media. By depicting deviated sexual relationships, voyeuristic witness of the scene, imagination of sexual area, expansion of rumors, and the place of discourse where the extended sexual desire is realized, the movie <The Frozen Flower> expanded denotation of Goryeo-gayo <SSang WhaJum> and i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flexible utilization of classical popular song as modern narrativ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병욱,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2008
2 김기덕, "팩션영화의 유형과 ‘대중적 몰입’의 문제" 역사문화연구소 (34) : 455-494, 2009
3 "처음으로 사극 선보인 유하 감독 인터뷰, “이야기의 끝까지 가보고 싶었다.”"
4 정하제, "유하 감독의 <쌍화점>: 몸의 욕망을 통한 인간관계의 얽힘" 현대미학사 64 : 215-219, 2009
5 영화진흥위원회, "연도별 박스오피스"
6 김진택, "쌍화점, 다섯 개의 시선" 다인아트 149-188, 2010
7 김유경, "쌍화점 연구" 열상고전연구회 10 : 5-37, 1997
8 윤성현, "속요의 아름다움" 태학사 2007
9 안시환, "섹스에 압도당한 역사의 관능"
10 김영수, "삼장․사룡 연구 재고"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회 17 : 131-154, 2000
1 정병욱,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2008
2 김기덕, "팩션영화의 유형과 ‘대중적 몰입’의 문제" 역사문화연구소 (34) : 455-494, 2009
3 "처음으로 사극 선보인 유하 감독 인터뷰, “이야기의 끝까지 가보고 싶었다.”"
4 정하제, "유하 감독의 <쌍화점>: 몸의 욕망을 통한 인간관계의 얽힘" 현대미학사 64 : 215-219, 2009
5 영화진흥위원회, "연도별 박스오피스"
6 김진택, "쌍화점, 다섯 개의 시선" 다인아트 149-188, 2010
7 김유경, "쌍화점 연구" 열상고전연구회 10 : 5-37, 1997
8 윤성현, "속요의 아름다움" 태학사 2007
9 안시환, "섹스에 압도당한 역사의 관능"
10 김영수, "삼장․사룡 연구 재고"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회 17 : 131-154, 2000
11 김정선, "동성애에 대한 한국 영화의 시각적 프레임(visual frames): <왕의 남자>, <쌍화점>, <서양골동 양과자점 앤티크>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4) : 89-117, 2012
12 안정복, "동사강목"
13 "국역 고려사" 경인문화사 2008
14 이용주, "공민왕대의 자제위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4 : 73-136, 1984
15 함복희, "고전문학의 문화콘텐츠화" 중앙어문학회 (46) : 91-120, 2011
16 "고려사절요"
17 최 철, "고려국어가요의 해석" 연세대학교출판부 1996
18 하경숙, "고려가요 <쌍화점>의 후대전승과 현대적 변용" 온지학회 (31) : 315-346, 2012
19 정운채, "「악장가사」의 <쌍화점>과「시용향악보」의 <쌍화곡>과의 관계 및 그 문학사적 의미" 건국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26 : 55-78, 1994
20 정운채, "<쌍화점>의 주제" 49 : 21-45, 1993
21 양희찬, "<쌍화점>의 구조에 대한 재고" 국어국문학회 33 : 283-302, 1999
22 여증동, "<쌍화점> 고구(기 삼)-대본 해석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회 53 : 323-349, 1971
23 황보관, "<雙花店>의 시상구조와 소재의 의미" 한국고전연구학회 0 (0): 301-326, 2009
24 이정선, "<雙花店>의 구조를 통해 본 性的욕망과 그 의미" 대동문화연구원 (71) : 113-141, 2010
25 임주탁, "<三藏><蛇龍>의 생성 맥락과 함의" 한국시가학회 (16) : 122-153, 2004
전주시 역사문화자원의 활용과 도시재생 - 전주 한옥마을을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4 | 0.54 | 0.5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58 | 0.973 | 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