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동기시대 마제석촉 제작공정의 복원–서산 신송리유적 출토유물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Reconstruction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Stone Arrowheads in the Korean Bronze 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163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서산 신송리유적에서 확인된 마제석촉 제작 관련유물에 대한 관찰과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청동기시대 마제석촉 제작공정의 복원을 시도하였다. 우선 청동기시대 석촉 제작공정에 대한 선행연구를 정리하였으며, 수는 많지 않지만 유물관찰에 기초한 구체적인 공정복원 연구와 취락유적에서 유구와 관련시켜 제작조직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는 점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신송리유적 출토 석촉제작 관련유물을 크게 소재와 도구로 나누었으며, 전자를 원석과 장방형소재, 미완성품으로 후자를 대석과 고타구, 지석으로 각각 세분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석기 소재로 이용된 원석에 대해서는 유적 출토 박편과 주변 채집 석재에 대한 암석학적 분석을 통해서 당시인들이 유적 주변 소하천에서 원석을 조달했을 가능성이 높은 점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위 내용을 종합하여 원석의 획득 > 소재 성형 > 고타 / 거친 연마 > 정밀한 연마라는 제작 순서와 각 단계에 속한 유물들을 단계별로 정리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한반도 내부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을 포함한 넓은 지역에서 석기제작 전통을 비교연구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하겠다.
      번역하기

      이 글에서는 서산 신송리유적에서 확인된 마제석촉 제작 관련유물에 대한 관찰과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청동기시대 마제석촉 제작공정의 복원을 시도하였다. 우선 청동기시대 석촉 제작공...

      이 글에서는 서산 신송리유적에서 확인된 마제석촉 제작 관련유물에 대한 관찰과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청동기시대 마제석촉 제작공정의 복원을 시도하였다. 우선 청동기시대 석촉 제작공정에 대한 선행연구를 정리하였으며, 수는 많지 않지만 유물관찰에 기초한 구체적인 공정복원 연구와 취락유적에서 유구와 관련시켜 제작조직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는 점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신송리유적 출토 석촉제작 관련유물을 크게 소재와 도구로 나누었으며, 전자를 원석과 장방형소재, 미완성품으로 후자를 대석과 고타구, 지석으로 각각 세분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석기 소재로 이용된 원석에 대해서는 유적 출토 박편과 주변 채집 석재에 대한 암석학적 분석을 통해서 당시인들이 유적 주변 소하천에서 원석을 조달했을 가능성이 높은 점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위 내용을 종합하여 원석의 획득 > 소재 성형 > 고타 / 거친 연마 > 정밀한 연마라는 제작 순서와 각 단계에 속한 유물들을 단계별로 정리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한반도 내부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을 포함한 넓은 지역에서 석기제작 전통을 비교연구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reconstruc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stone arrowheads in the Korean Bronze Age based on the observation and analysis of artifacts unearthed at Sinsongri, Seosan prefecture. Following a review of earlier studies on this topic, the authors describe the character of artifacts using in arrowhead production, including both raw material and tools. Raw materials used comprise raw stone material, retouched regularly shaped material and unfinished stone arrowheads. Three types of tools are recognized: anvil stones, soft percussion tools and grinding ston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etrological comparison between flakes from an identified workshop and river pebbles collected 600m away from the Sinsongri site, raw stone material is considered to be gathered near the Sinsongri village. Furthermore, the production process of stone arrowheads is divided into four stages: 1) gathering stone raw material; 2) knapping regularly shaped material using bipolar flaking; 3) soft percussion and rough grinding; 4) fine grinding. Finally, we stress that the reconstruction of manufacturing processes play an important role in studying the circulation of stone tools and the structure of the Bronze Age social network, not only inside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on the Chinese continent and Japanese islands.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reconstruc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stone arrowheads in the Korean Bronze Age based on the observation and analysis of artifacts unearthed at Sinsongri, Seosan prefecture. Following a review of earlier studies on this topic, th...

      This paper aims to reconstruc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stone arrowheads in the Korean Bronze Age based on the observation and analysis of artifacts unearthed at Sinsongri, Seosan prefecture. Following a review of earlier studies on this topic, the authors describe the character of artifacts using in arrowhead production, including both raw material and tools. Raw materials used comprise raw stone material, retouched regularly shaped material and unfinished stone arrowheads. Three types of tools are recognized: anvil stones, soft percussion tools and grinding ston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etrological comparison between flakes from an identified workshop and river pebbles collected 600m away from the Sinsongri site, raw stone material is considered to be gathered near the Sinsongri village. Furthermore, the production process of stone arrowheads is divided into four stages: 1) gathering stone raw material; 2) knapping regularly shaped material using bipolar flaking; 3) soft percussion and rough grinding; 4) fine grinding. Finally, we stress that the reconstruction of manufacturing processes play an important role in studying the circulation of stone tools and the structure of the Bronze Age social network, not only inside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on the Chinese continent and Japanese island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공주대학교 문화재 보존과학과, "해미–갈산간 도로부지내 문화유적 출토 토기와 토층의 자연과학적 분석, In 서산 신송리유적" 충청문화재연구원 2010

      2 이인학, "청동기시대 취락 내 석기 제작 양상 검토" 6 : 2009

      3 손준호, "청동기시대 석기 생산 체계에 대한 초보적 검토" 호남고고학회 36 : 37-62, 2010

      4 황창한, "청동기시대 마제석촉의 지역성 연구" (사)한국매장문화재협회 (13) : 5-24, 2012

      5 손준호, "청동기시대 마제석기 연구" 서경문화사 2006

      6 황창한, "울산지역 청동기시대 편마암류 석기의 산지연구" (사)한국매장문화재협회 9 (9): 323-353, 2010

      7 이홍종, "연기 송담리·송원리 유적" 한국고고환경연구소 2010

      8 나건주, "서산 신송리유적" 충청문화재연구원 2010

      9 지민주, "서산 신송리 유적 청동기시대 취락에서 관찰되는 석기제작과정, In 서산신송리 유적" 충청문화재연구원 2010

      10 홍주희, "북한강 유역 청동기시대 취락의 전개와 석기제작시스템의 확립" 5 : 2009

      1 공주대학교 문화재 보존과학과, "해미–갈산간 도로부지내 문화유적 출토 토기와 토층의 자연과학적 분석, In 서산 신송리유적" 충청문화재연구원 2010

      2 이인학, "청동기시대 취락 내 석기 제작 양상 검토" 6 : 2009

      3 손준호, "청동기시대 석기 생산 체계에 대한 초보적 검토" 호남고고학회 36 : 37-62, 2010

      4 황창한, "청동기시대 마제석촉의 지역성 연구" (사)한국매장문화재협회 (13) : 5-24, 2012

      5 손준호, "청동기시대 마제석기 연구" 서경문화사 2006

      6 황창한, "울산지역 청동기시대 편마암류 석기의 산지연구" (사)한국매장문화재협회 9 (9): 323-353, 2010

      7 이홍종, "연기 송담리·송원리 유적" 한국고고환경연구소 2010

      8 나건주, "서산 신송리유적" 충청문화재연구원 2010

      9 지민주, "서산 신송리 유적 청동기시대 취락에서 관찰되는 석기제작과정, In 서산신송리 유적" 충청문화재연구원 2010

      10 홍주희, "북한강 유역 청동기시대 취락의 전개와 석기제작시스템의 확립" 5 : 2009

      11 손준호, "마제석촉의 변천과 형식별 기능 검토" 한국고고학회 (62) : 90-113, 2007

      12 나건주, "당진 자개리유적(I)" 충청문화재연구원 2006

      13 나건주, "당진 자개리 1유적 출토 마제석촉의 제작과정 및 형식학적 검토" 3 : 2006

      14 庄田愼矢, "남한 청동기시대의 생산활동과 사회"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7

      15 황창한, "靑銅器時代 石器 製作의 兩極技法 硏究 (제작실험을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회 63 (63): 27-46, 2009

      16 北九州市敎育委員會, "門田遺跡: 北九州市八幡西区大字金剛所在の弥生時代集落遺跡"

      17 田中英司, "石器實測法情報を 描く技術" 雄山閣 2004

      18 庄田慎矢, "瑞山新松里遺跡における 磨製石器製作工程の 復元" 東アジア考古學會 2012

      19 황창한, "無文土器時代 磨製石鏃 製作技法 硏究" 호남고고학회 20 : 33-56, 2004

      20 장용준, "有節柄式石劍으로 본 無文土器時代埋葬儀禮의 共有" 한국고고학회 (72) : 36-71, 2009

      21 粟田薫, "弥生時代 石器の 技術的 硏究" 真陽社 2010

      22 村田裕一, "工具—砥石, In 考古資料大観" 小學館 2002

      23 杉山浩平, "埼玉県行田市 小敷田遺跡出土の サヌカイト 製打製石器 について" 93 (93): 2009

      24 王志刚, "吉林省集安市临江墓东侧靑銅時代 房址出土石制品 初步 硏究" 2010 (2010): 2010

      25 安在皓, "南韓 前期無文土器의 編年 : 嶺南地方의 資料를 中心으로"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2

      26 Eriksen, B. V., "Foreword, In Lithic Technology in Metal Using Societies" Jutland Archaeological Society 7-,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89 1.572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