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노인의 관계적 공격성의 원인으로 사회경제적 박탈감에 주목하였으며, 사회경제적 박탈감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분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105672
2020
-
노인 ; 사회경제적 박탈감 ; 관계적 공격성 ; 분노 ; 매개효과 ; Elderly ; Socioeconomic Deprivation ; Relational Aggression ; Anger ; Mediated Effect
373
KCI등재
학술저널
1105-1125(2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의 관계적 공격성의 원인으로 사회경제적 박탈감에 주목하였으며, 사회경제적 박탈감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분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본 연구는 노인의 관계적 공격성의 원인으로 사회경제적 박탈감에 주목하였으며, 사회경제적 박탈감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분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으로 2019년 10월 한 달 동안 209명에게 설문 조사한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3.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Pearson 상관분석, Macro PROCESS,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노인의 사회경제적 박탈감은 분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사회경제적 박탈감과 분노는 모두 관계적 공격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사회경제적 박탈감은 관계적 공격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의 사회경제적 박탈감과 관계적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분노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노인의 관계적 공격성을 사회구조적 차원과 개인의 심리적 차원에서 통합적으로 모색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ed effects of ang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deprivation and relational aggression, considering socioeconomic deprivation as the cause of relational aggression in the elderly. The study sub...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ed effects of ang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deprivation and relational aggression, considering socioeconomic deprivation as the cause of relational aggression in the elderly. The study subjects were 209 people over 65 years old living in Busan City in October 2019 for a month, and their survey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With respect to the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Macro PROCESS, and bootstrapping were performed using SPSS 23.0 Program.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oeconomic deprivation in the elderly showed to positively affect the anger, significantly. Second, both socioeconomic deprivation and anger in the elderly showed to positively affect the relational aggression, significantly. Third, socioeconomic deprivation in the elderly showed to positively affect the relational aggression, significantly. Fourth, anger showed the mediated effect between socioeconomic deprivation in the elderly and the relational aggression, significantly. This study has the meaning to provide the experiences of integrative thinking on the relational aggression in the elderly in structural perspective of the society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 in the individual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찬우, "한국 노인의 일탈행동 형성과정과 여가활동을 통한 회복가능성 탐색" 한국운동재활학회 9 (9): 93-111, 2013
2 송예름,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과보호와 사이버불링과의 관계에서 관계적 공격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527-554, 2018
3 박민정, "청소년의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들" 가정과삶의질학회 22 (22): 95-104, 2004
4 전아영, "청소년의 거부민감성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분노반추의 매개효과" 한국웰니스학회 15 (15): 381-393, 2020
5 김정균, "중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비합리적 신념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5 (15): 791-810, 2014
6 변은실, "정서적 학대가 아동의 외현적 및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거부민감성의 매개 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8 (28): 1125-1149, 2016
7 배라영, "정서적 학대가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친구관계 문제, 거부민감성, 사회불안, 분노반추의 매개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32 (32): 29-52, 2018
8 허미경,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기질과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353-373, 2010
9 박미영, "여고생의 분노 및 대인관계위치와 집단따돌림 (괴롭힘) 행위와의 관계" 8 (8): 7-16, 2002
10 정현희,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과 아동의 내외통제성,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35 (35): 163-175, 1997
1 안찬우, "한국 노인의 일탈행동 형성과정과 여가활동을 통한 회복가능성 탐색" 한국운동재활학회 9 (9): 93-111, 2013
2 송예름,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과보호와 사이버불링과의 관계에서 관계적 공격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527-554, 2018
3 박민정, "청소년의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들" 가정과삶의질학회 22 (22): 95-104, 2004
4 전아영, "청소년의 거부민감성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분노반추의 매개효과" 한국웰니스학회 15 (15): 381-393, 2020
5 김정균, "중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비합리적 신념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5 (15): 791-810, 2014
6 변은실, "정서적 학대가 아동의 외현적 및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거부민감성의 매개 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8 (28): 1125-1149, 2016
7 배라영, "정서적 학대가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친구관계 문제, 거부민감성, 사회불안, 분노반추의 매개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32 (32): 29-52, 2018
8 허미경,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기질과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353-373, 2010
9 박미영, "여고생의 분노 및 대인관계위치와 집단따돌림 (괴롭힘) 행위와의 관계" 8 (8): 7-16, 2002
10 정현희,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과 아동의 내외통제성,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35 (35): 163-175, 1997
11 홍순혜, "아동의 강점과 학교폭력 피해 및 가해행동과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20 (20): 95-116, 2013
12 김동배, "시설거주 노인의 관계적 공격성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기초생활수급권자 입소노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3 (43): 203-227, 2012
13 송인한, "사회경제적 박탈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시민적 낙관의 매개효과" 서울연구원 12 (12): 33-51, 2011
14 김주희,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령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5 (35): 42-70, 2015
15 허종호, "사회경제적 박탈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학회 44 (44): 93-120, 2010
16 노혁, "빈곤청소년의 사회적 배제와 청소년복지정책의 방향"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6 (6): 23-43, 2009
17 이상록, "빈곤지위의 변화에 정신건강이 미치는 영향 -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1 (41): 277-311, 2010
18 박종란, "빈곤아동의 스트레스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2
19 박종란, "빈곤아동의 스트레스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2
20 김안나, "박탈과 우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3 (43): 81-105, 2016
21 이웅, "박탈경험과 불평등인식의 관계연구: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4 (34): 93-122, 2014
22 이상록, "물질적 결핍이 노년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7 (27): 365-387, 2016
23 홍상황, "또래괴롭힘 피해와 공격성과의 관계에서 또래 거부민감성과 적대적 귀인의 매개효과" 교육연구소 14 (14): 283-315, 2013
24 서연숙, "노인의 연령에 따른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노년학회 35 (35): 99-117, 2015
25 이보람, "노인의 생활만족에 대한 사회적 참여와 경제적 참여의 효과 비교"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351-377, 2016
26 이혜경, "노인의 사회적 배제 정도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46) : 315-336, 2009
27 황보람,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클라이언트 폭력경험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31 (31): 1-28, 2015
28 이경희, "노인복지관 사회교육 프로그램 참여 노인들의 교육욕구와 사회참여욕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29 임정우,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역기능적 분노표현을 매개변인으로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4 (14): 63-75, 2016
30 정영희, "기관이용 노인의 사회경제적 박탈 경험이 관계적 공격성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콘텐츠학회 18 (18): 267-282, 2018
31 정영희, "기관이용 노인의 사회경제박탈감 및 가족갈등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와 사회복지사 정서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2019
32 최지영, "관계적 공격성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2000년∼2013년" 한국인간발달학회 21 (21): 181-200, 2014
33 성윤아, "관계적 공격성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여성노인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513-521, 2018
34 탁장한, "과중채무자의 사회경제적 박탈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8 (48): 173-201, 2017
35 Bushman, B. J., "Threatened egotism, narcissism, self-esteem, and direct and displaced aggression : Does self-love or self-hate lead to violence?" 75 (75): 219-229, 1998
36 Robinson, K., "Socioeconomic deprivation and non-suicidal selfinjury in New Zealand adolescents : The mediating role of depression and anxiety" 46 (46): 126-136, 2017
37 Abas, M. A., "Socio-economic deprivation and duration of hospital stay in severe mental disorder" 188 (188): 581-582, 2006
38 Corr, P. J., "Social exclusion and the hierarchical defense system" 131 : 231-236, 2005
39 Baumeister, R. F., "Self-esteem, narcissism, and aggression : Does violence result from low self-esteem or from threatened egotism?" 9 (9): 26-29, 2000
40 Hester, T., "Resident-to-resident relational aggression and subjective well-being in assisted living facilities" 15 (15): 59-67, 2011
41 Crick, N. R., "Relational aggression, gender, and social‐psychological adjustment" 66 (66): 710-722, 1995
42 Young, E. L., "Relational aggression among students" 76 (76): 24-29, 2011
43 Young, E. L., "Relational aggression : Understanding, identifying, and responding in schools" 43 (43): 297-312, 2006
44 Van Dyne, L., "Psychological ownership and feelings of possession: Three field studies predicting employee attitude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25 (25): 439-459, 2004
45 Townsend, P., "Poverty in the United Kingdom: Asurvey of household resources and standards of living" Penguin Books 1979
46 Rhodewalt, F., "On self-aggrandizement and anger : A temporal analysis of narcissism and affective reactions to success and failure" 74 (74): 672-685, 1998
47 Einarsen, S., "Measuring exposure to bullying and harassment at work : Validity, factor structure and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Negative Acts Questionnaire-Revised" 23 (23): 24-44, 2009
48 Chon, K. K., "Korean adaptation of the state-trait inventory : Anger and blood pressure" 2 (2): 60-78, 1997
49 Craig, W. M., "Identifying and targeting risk for involvement in bullying and victimization" 48 (48): 577-582, 2003
50 Izard, C. E., "Human emotion" Plenum Press 1977
51 Crick, N. R., "Gender differences in children's normative beliefs about aggression : How do I hurt thee? Let me count the ways" 67 (67): 1003-1014, 1996
52 Dollard, J., "Frustration and aggression"
53 Björkqvist, K., "Do girls manipulate and boys fight? Developmental trends in regard to direct and indirect aggression" 18 (18): 117-127, 1992
54 Weich, S., "Contextual risk factors for the common mental disorders in Britain : a multilevel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place" 57 (57): 616-621, 2003
55 Bushman, B. J., "Chewing on it can chew you up : effects of rumination on triggered displaced aggression" 88 (88): 969-983, 2005
56 Świgost, A., "Approaches towards social deprivation: Reviewing measurement methods" 38 (38): 131-142, 2017
57 Berkowitz, L., "Aggression: Its causes, consequences, and control" Mcgraw-Hill Book Company 1993
58 Walker, S., "Aggression strategies among older adults : Delivered but not seen" 3 (3): 287-294, 1998
59 Siegel, A. W., "Adolescents' perceptions of the benefits and risks of their own risk taking" 2 (2): 89-98, 1994
60 Feindler, E. L., "Adolescent anger control: Cognitive-behavioral techniques" Pergamon Press 1986
61 Galen, B. R., "A developmental investigation of social aggression among children" 33 (33): 589-600, 1997
62 Pampalon, R., "A deprivation index for health and welfare planning in Quebec" 21 (21): 104-113, 2000
핵심역량에 기초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A Research on Mathematics Learning Burnout of Non-Mathematics College Students in China
예비 역사교사들의 모의수업 관찰문 내용 분석 : ‘역사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강좌를 중심으로
초등학생의 스마트미디어 활용능력과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 및 조절효과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42 | 1.436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