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공공 보육시설인 국공립어린이집의 운영효율성 제고를 통해 보다 바람직한 국공립 어린이집의 운영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855612
용인 :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5
학위논문(박사) -- 단국대학교 대학원 , 행정학과 정책학전공 , 2015. 8
2015
한국어
362.732 판사항(22)
경기도
A Study on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Public Child-Care Centers
134 p. : 삽화,표 ; 30 cm.
단국대학교 학위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김재일
참고문헌 : p. 87-9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공공 보육시설인 국공립어린이집의 운영효율성 제고를 통해 보다 바람직한 국공립 어린이집의 운영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본 연구는 공공 보육시설인 국공립어린이집의 운영효율성 제고를 통해 보다 바람직한 국공립 어린이집의 운영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국공립어린이집 운영효율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정부와 지자체의 보조금, 지자체의 재정자립도, 보육 서비스의 질을 상정하고, 이들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첫째, 서울시 국공립어린이집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치 규명, 둘째, 정부보조금의 국공립어린이집 효율성에 대한 영향력 여부, 셋째, 자치구 재정자립도의 국공립어린이집 효율성에 대한 영향력 여부, 넷째, 국공립어린이집 효율성의 보육서비스 질에 대한 영향력 여부의 네 가지 연구문제로 설정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과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분석 방법으로서 자료포락분석(DEA: Data Envelopment Analysis)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DEA분석의 투입변수와 산출변수는 국공립 어린이집의 영유아 1인당을 기준으로 하는 비율 값을 상정하였다.
자료포락분석을 수행하면서 본 연구는 몇 가지 부가 사항들을 검토하였다. 첫째, 지방정부의 재정자립도와 관련된 부분이다. 국공립 어린이집을 지원하는 지방정부의 재정자립도와 국공립 어린이집의 효율성 간의 상관성을 추적한다. 둘째, 정부보조금과의 관련성이다. 국공립 어린이집의 효율성이 정부보조금의 규모에 어떤 영향을 받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한다. 셋째, 보육서비스의 질적 수준과의 관련성이다. 국공립 어린이집의 효율성이 보육서비스의 질적 수준과 어떤 관계를 지니는지를 검토한다. 한편 본 논문이 주요한 연구방법으로 채택한 자료포락분석은 DEAP를 활용하되 도식화와 기여도 분석에 대해서는 Frontier Analyst를 이용하였다.
다만, 자료포락분석의 세부적 모형 선택에 있어서는 두 가지 사항을 고려하였다. 첫째, 국공립어린이집의 성과 산출물이 정부가 설립주체라는 점은 근본적 제약을 지니고 있다는 점, 둘째, 성과 산출물이 대부분 서비스라는 점에서 실질적 체감이 어렵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투입기반(input-oriented)의 CCR, BCC모형을 부가적으로 사용하였다. 한편 재정자립도에 따른 효율성의 영향관계에 대한 분석은 일원분산분석(ANOVA)을 활용하였으며, 효율성과 보육서비스 질에 대한 영향관계에 대한 분석은 선형회귀분석(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들에 대한 통계분석은 SPSS와 Excel을 이용하였다. 다만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부보조금에 관한 요인분석은 토빗모형(Tobit Model)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 대상은 서울특별시 25개 자치구 내의 국공립어린이집으로 한정하여, 이들 중 평가인증을 획득하고 정부보조금을 받은 경험이 있는 어린이집이다. 이러한 이유는 이들 사례가 지방자치단체의 보조금, 재정자립도 등의 분석에 있어서 중범위(middle range) 수준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연구범위의 설정에 있어서 활용된 분석 자료는 보건복지부에서 제공하는 ‘아이사랑보육포털’을 이용하여 2013년 공식 통계자료를 취합하였다. 이에 따라 선정된 서울시 국공립어린이집은 총 25개 자치구 686개 국공립어린이집 중 73.6%인 505개소이다. 1차 선정된 505개 의사결정요소(DMU, Decision Making Unit) 중 분석통계 결과의 편파성을 극복하고 타당성이 확보하기 위해 최소값과 최대값의 차이가 큰 특징을 지닌 의사결정요소(DMU, Decision Making Unit) 86개소를 배제한 후, 분석대상으로 확정된 419개소를 의사결정요소(DMU, Decision Making Unit)로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각각의 연구문제에 대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서울시 국공립어린이집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치 규명 결과 상대적 효율성 지수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문제인 정부보조금의 국공립어린이집 효율성에 대한 영향력은 영유아 1인당 보조금은 CCR모형과 BCC모형 효율성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CCR모형 효율성에는 정(+)적 영향관계를, BCC모형 효율성에는 부(-)적 영향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셋째, 자치구 재정자립도의 국공립어린이집 효율성에 대한 영향력은 CCR모형분석 결과 F값이 .684이고, 유의도가 .603(p>.05), BCC모형분석 결과는 F값이 .1.402이었으며 유의도가 .233(p>.05)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영향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국공립어린이집 효율성이 보육서비스 질에 대한 영향력의 경우, CCR모형과 BCC모형 효율성은 보육서비스의 질과 유의한 수준에서 영향관계를 형성하고 있지 않았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고 이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하고 있다.
첫째, 현재 민간중심의 보육환경을 개선하고 공보육을 확대하기 위해 지속적인 국공립어린이집의 확대정책이 필요하다. 서울시 국공립어린이집의 상대적 효율성 지수가 다른 공공이나 민간부문에 비해 유사하거나 높은 편이며,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고 보다 점진적으로 보육기관의 효율성을 강화해 나갈 수 있도록 정부의 보다 깊은 관심과 지원이 요구된다.
둘째, 국공립어린이집의 비효율 투입 요소인 업무추진비, 급간식비 등 재정지출의 비효율 개선방안에 대해 신중한 대응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CCR모형과 BCC모형에서 모두 비효율의 요인으로 입증된 업무추진비의 적정한 예산편성과 지출을 통해 원장 및 관리책임자의 책임성을 강화해야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 보육서비스의 질을 평가하는 평가인증 점수와 어린이집의 효율성 점수 간에는 상관관계에 유의한 영향력이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린이집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평가인증제도의 개선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특히 정부·지방자치단체와 보육기관, 그리고 교사와 학부모 간의 협력과 이해가 바탕이 되는 평가인증제도의 개선이 시급한 지점이다.
넷째, 보육서비스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처우문제 해소, 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책임감 강화, 소명의식 제고를 위한 교육 및 훈련 등 보육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 또한 어린이집의 미션과 비전을 명확하게 하고 그를 위해 전 교직원이 리더십을 발휘함으로써 직무만족과 신뢰 축적을 시도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학부모를 비롯한 시민단체 등과의 협력을 통한 양질의 보육서비스 제공을 위한 협의체계의 활성화를 위한 정부 차원의 다각적인 시도가 요청된다.
다섯째, 시간연장형을 운영하는 국공립어린이집의 경우 기술적 비효율 요인들을 개선하기 위한 운영효율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국공립어린이집의 보육서비스의 특성에 맞는 운영시스템의 구축을 통해 기술적 문제와 규모에 따른 비효율 요인들을 개선토록 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연구 관심이 부족했던 국공립어린이집에 대한 계속 연구이며, 특히 그동안 선행연구로 발견되지 서울특별시 국공립어린이집을 대상으로 그 효율성과 영향요인들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함에 있어서 전국적 범위의 국공립어린이집 및 민간어린이집으로 확대·적용하여 보편성 있는 결론을 유추하는 작업에는 주의가 요망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안대희, "외식사업론", 서울: 기문사, 2002
2 김세웅, "대한민국 지방자치", 서울: 프리즘하우스, 2006
3 정형지, "제3세대 R&D 그 이후", 경덕출판사, 서울:경덕출판사, 2007
4 이두희, "공공관료제의 비효율성", 고시연구사. 33(11). pp. 334-338, 2006
5 김규정, "행정학원론. 법문사. 서울", 대한민국, 1998
6 곽구영, "지방재정 자립도 제고방안", 경동전문대학 논문집. 6. pp. 359-377, 1997
7 서영숙, "유보통합 이슈와 학계의 소리", 한국보육학회, 2014년도 학국보육학회 학술대회 발표자료.pp. 3-18, 2014
8 이동수, "한국 보육정책의 환경과 과제", 사회과학논총. 25(1). pp. 43-63, 2006
9 박종수, "“법원칙으로서의 재정효율성”", 한국토지공법학회, 토지공법연구. 43(1). pp. 615-639, 2009
10 강국진, 김익균, "“보육정책의 복지혼합적 고찰”", 한국보육학회, 한국보육학회지. 10(2). pp. 37-58, 2010
1 안대희, "외식사업론", 서울: 기문사, 2002
2 김세웅, "대한민국 지방자치", 서울: 프리즘하우스, 2006
3 정형지, "제3세대 R&D 그 이후", 경덕출판사, 서울:경덕출판사, 2007
4 이두희, "공공관료제의 비효율성", 고시연구사. 33(11). pp. 334-338, 2006
5 김규정, "행정학원론. 법문사. 서울", 대한민국, 1998
6 곽구영, "지방재정 자립도 제고방안", 경동전문대학 논문집. 6. pp. 359-377, 1997
7 서영숙, "유보통합 이슈와 학계의 소리", 한국보육학회, 2014년도 학국보육학회 학술대회 발표자료.pp. 3-18, 2014
8 이동수, "한국 보육정책의 환경과 과제", 사회과학논총. 25(1). pp. 43-63, 2006
9 박종수, "“법원칙으로서의 재정효율성”", 한국토지공법학회, 토지공법연구. 43(1). pp. 615-639, 2009
10 강국진, 김익균, "“보육정책의 복지혼합적 고찰”", 한국보육학회, 한국보육학회지. 10(2). pp. 37-58, 2010
11 홍봉영, "DEA를 이용한 소매점의 효율성측정", 경영학연구. 32(2). pp. 429-448, 2003
12 정세욱, "지방재정자립도: 그 의의와 문제점", 고시계. 28(1). pp. 131-143, 1982
13 김영모, "“아동보육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영유아보육학. 13. pp. 1-43, 1998
14 김인, "시설 유형별 보육서비스 질 비교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4(4). pp.147-182, 2004
15 오동현, "효율성 분석이론: DEA 자료포락분석법", 지필미디어, 서울: 지필미디어, 2012
16 김재홍, 김태일, "공공부문의 효율성 평가와 측정. 서울", 집문당, 2001
17 오영태, "“옹진군의 재정자립도에 관한 연구”", 기전문화연구. 18. pp. 515-573, 1987
18 김익균, "한국 보육정책과 보육이념의 형성과정", 아동보육연구. 1(1). pp. 1-23, 2005
19 강순화, "유아교육과 보육체제의 통합 방안 연구", 인하대학교. 박사논문, 2009
20 윤선구,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의 원인과 대안”", 사회와 철학 연구회, 사회와 철학. 5. pp. 155-188, 2003
21 김재환, "서울형 어린이집 공인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보육학회지. 9(4). pp. 43-72, 2009
22 오경숙, "보육시설 재정의 운영 실태 및 공평성 분석", 원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1
23 김미숙, 최충익, "“DEA를 활용한 공공체육시설 효율성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43(3). pp.275-288, 2008
24 우재순, "“환경사업의 특성과 효율성에 대한 연구”", 慶尙大學校 經營行政大學院, 최고관리자과정논문집. 2. pp.279-287, 1991
25 이재성, "지방행정의 생산성과 측정방법에 관한 고찰", 지방행정 연구. 2(2). pp. 39- 53, 1987
26 이규환, "한국도시행정론 : 이론과실제. 법문사. 서울", 대한민국, 1999
27 노재확, "“전자판매의 기술 효율성 효과 분석 연구”", e-비즈니스 연구. 12(1). pp. 311-327, 2011
28 박종화, 이종열, 윤대식, "도시행정론 : 이론과 정책. 대영문화사. 서울", 대한민국, 1999
29 김남희, 황해익, 정혜영, "“어린이집 평가인증제의 현안과 발전방안”",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6). pp. 461-490, 2013
30 서문희, 임유경, 이상헌, "국공립보육시설 위탁운영의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영유아보육학. 25. pp. 165-187, 2001
31 윤숙현(Yoon Suk Hyun), 이미정(Lee Mi Jeong), "우리나라 영유아보육정책의 변천과 발전방안", 한국보육학회, 한국보육학회지. 6(1).pp. 81-98, 2006
32 김성종, "지방공공서비스 공급의 생산효율성 구조분석", 한국지방자치학회보, 30. pp. 47-65, 2000
33 김남식, "“우리나라 보육정책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21세기사회복지학회, 21세기사회복지연구, 6(1),pp1-18, 2009
34 유금록, "공공병원의 효율성 평가의 방법론적 개선방안", 한국자치행정학보. 21(2).pp. 43-56, 2007
35 박익수, "지방재정자립도 측정방식의 개발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3
36 성덕현, "“DEA를 이용한 유제품 대리점의 효율성 평가”", 대한경영학회. 20(1). pp.191-212, 2007
37 김건위, 류영아, "“자료포락분석(DEA)을 이용한 보육시설 평가”",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방행정연구. 20(2).pp. 225-254, 2006
38 이미정, "공보육 확충정책과 공공형 어린이집 정책 고찰", 한국보육학회지. 12(4).pp. 1-24, 2012
39 이동규 , "정부출연연구기관의 효율성에 관한 DEA의 적용 ", 충남대학교 경상대학부설 경영경제연구소, 경영논집. 9(1). pp.89-123, 1993
40 박만희, "효율성과 생산성 분석. 한국학술정보(주). 서울", 대한민국, 2008
41 임명희, 이미정, "“민간보육시설 기본보조금제도에 대한 고찰”", 한국보육학회, 한국보육학회지. 9(1).pp. 1-15, 2009
42 차주현, "재정분권이 지방재정효율성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행정학보. 45(4). pp.117-151, 2011
43 표갑수, "“공보육을 위한 보육정책의 쟁점분석과 과제”", 사회과학논총. 24(2). pp. 57-83, 2004
44 김재준, "코스닥기업의 DEA효율성과 수익성의 관련성 연구", 세무회계연구. 14. pp.153~170, 2004
45 김경희, 이순배, "“한국과 선진국의 보육정책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인권사회복지학회, 인권복지연구, 10.pp61-84, 2011
46 서문희,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의 도입 필요성과 실시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연구보고서. pp. 1-9, 2001
47 이은진, 서영숙, "“국 공립 보육시설의 재정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영유아보육학. 16. pp. 127-151, 1998
48 김형수, 이미진, "“사회적 기업 육성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조선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서석사회과학논총,4(2), pp. 191-223, 2011
49 김찬수, 김건수, 정제련, "정부부문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성과관리 개선방향",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06.pp. 1-30, 2006
50 김민희, 나민주, "“DEA를 활용한 대학교육의 효율성 국제 비교 연구”", 교육재정경제연구. 14(2). 205-237, 2005
51 서영애, "“DEA를 이용한 한식프랜차이즈의 경영효율성 분석”", 한국관광학회, 관광학연구.30(1). pp. 295-315, 2006
52 이승용, "DEA(Data Envelopment Analysis)를 이용한 공기업의 효율성 측정", 한국공공관리학보. 24(4). pp. 51-71, 2010
53 김현숙, "“영유아 보육정책의 방향: 시장과 정부의 역할 분담”", 재정포럼. 11. pp. 6-23, 2005
54 이영석, "“현행 서울시 보육시설운영계획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영유아보육학. 3.pp. 143-155, 1995
55 김정민, 전영서, "“기술적 효율성에 근거한 국가경쟁력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조직학회, 9(2). pp.105-127, 2001
56 김영미, "보육서비스 행위자 분석을 통한 전달체계 개선방안 연구", 보건사회 연구.33(1). pp78-121, 2013
57 김혜금, "보육시설의 질에 대한 어머니와 보육시설장의 인식 비교", 한국보육지원학회, 한국보육지원학회지. 6(2), pp. 135-154, 2010
58 김유경, 정경희, "지역별 보육수요와 정책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서울", 대한민국, 1997
59 박보식, 사득환, "“신자유주의 복지정책의 효과: 한국과 영국의 비교분석”", 강원행정학회, 한국행정과정책연구. 4(1). pp. 25-46, 2006
60 박성일, "“중소도시 육성방안 : 중소도시의 재정자립도 제고방안”", 지방행정. 40(451).pp. 91-102, 1991
61 이용식, "“지방공공재 효율성 조건의 미시적 접근과 거시적 접근”", 지방행정연구. 7(3).pp. 91-101, 1992
62 김명순, 이미화, "영아를 위한 대화식 그림책읽기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아동학회, 한국아동학회지. 25(2). pp. 41-57, 2004
63 박명섭, 서상범, "“우선순위제약 DEA모델을 이용한 서비스조직의 성과평가”", 한국경영과학회, 경영과학. 23(2). pp. 93-107, 2006
64 우종필, 최인식, 이동한, "“DEA모형을 이용한 프랜차이즈 기업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한국중소기업학회, 중소기업연구. 35(2). pp. 213-244, 2013
65 김성종, "지방 공공 서비스 공급의 생산 효율성 극대화를 위한 정책방향", 월간 자치발전. 74. pp. 51-61, 2001
66 김건위, 최호진, "DEA기법 적용상의 유의점에 관한 연구: 지방행정분야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방행정연구. 19(3). pp. 213-244, 2005
67 국광호(Kwang-Ho Kook), 노선화, "DEA기법을 이용한 도시철도 운영기관의 안전 효율성에 관한 연구", 한국철도학회,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1(5). pp. 1262-1274, 2011
68 여준호, "일자리 증가가 지역 인구유입과 재정자립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50(4). pp.87-101, 2009
69 권경숙, 김윤경, "“국공립어린이집 운영과정에서 느끼는 원장들의 고충과 보람”", 미래유아교육학회,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4). pp. 45-71, 2013
70 김남수, 김용만, "“스포츠 마케팅을 통한 경기연맹(NGB)의 재정자립도 증진 방향”", 경원전문대학, 경원전문대학 논문집. 16(2). pp.435-447, 1994
71 심미승, 설선미, ""일,가정 양립정책 구축을 위한 지역사회복지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 한국정책학회보. 23(1). pp. 373-402, 2014
72 임명해, "평가인증을 통과한 보육시설에서 나타나는 어린이집의 후기 탐색", 학교교육연구. 7(2). pp. 79-93, 2012
73 조성명, "DEA모형을 활용한 강남구 국공립어린이집의 운영 효율성 분석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단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4
74 김태호, 송승민, "“광역시 도를 대상으로 보육산업의 연도별 지역별 효율성 측정”", 한국산업경제학회, 산업경제연구. 22(5), pp. 2555-2569, 2009
75 강유선, 곽승주, "“영아의 양육지원을 위한 정책 비교-한국?스웨덴?일본을 중심으로", 교육연구, 41. pp1-33, 2007
76 曺利鉉, "“지방공기업 경영효율성 제고를 위한 경영평가제도의 개선방안”", 韓國外國語大學校 公共政策硏究所, 공공재정연구. 13(1). pp. 95-106, 1995
77 황해익, 탁정화, 김미진,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네러티브 탐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3). pp. 163-184, 2012
78 전춘애, "어머니의 보육시설의 질적 기준에 대한 만족도와 중요성 인식 정도",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영유아보육학. 17. pp. 355-379, 1999
79 이철순, "한국 공연예술 시설의 재정자립도 기준에 따른 조직 운영 양태분석", 문화예술경영학연구. 2(1). pp. 73-87, 2009
80 김상민, "“DEA를 이용한 정부출연 기술개발사업의 효율성 평가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0
81 이동수, 박희서, 장기영, "보육시설 능률성 평가에 관한 연구 - AHP와 DEA 분석의 적용을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 1-25, 2008
82 현진권, "“보육재정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정책제언: 정부와 시장의 역할분담",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재정논의. 19(2). pp. 177-202, 2005
83 오연천, "지방재정자립도 산정방식의 한계와 지방재정력 측정지표의 활용방안", 행정논총. 26(2). pp. 2267-2293, 1988
84 정병호, "“영유아보육제도 개혁방안 - 보육제도의 구조적 문제점과 개혁방안”", 한국아동 인구 환경의원연맹 토론자료. pp. 1-40, 1998
85 김춘희, 박희수, 문승연, "“서비스 질의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적 분석 - 보육서비스를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회, 한국자치행정학보. 27(3). 145-164, 2013
86 봉민근, "“한국보육정책에 관한 연구. 서울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下,pp. 589-614, 2009
87 김태웅, 조성한, "“Data Envelopment Analysis 모형을 이용한 전력회사 효율성 분석에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경영연구소, 성균관대학교 경영연구소. pp. 1-22, 2000
88 이순배, 권기성, "“보육시설의 서비스 질이 클라이언트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27(1). pp. 101-127, 2011
89 김형수, 이재무,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영유아보육학. 80. pp. 109-129, 2013
90 백선희, "“우리나라의 보육정책 환경 변화에 따른 재정지원방식 논쟁의 재구조화”",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 57(1). pp5-29, 2005
91 박희숙, "DEA를 활용한 전국 영유아보육과의 효율성 분석 - 전문학사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보육학회지. 13(2). pp. 145-162, 2013
92 최혜진, 김미정, "직장보육시설 대학위탁 현황 및 위탁운영에 대한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인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링유아교육연구, 16(1). pp411-434, 2011
93 한정희, "“조직 및 시스템의 효율성 측정수단으로서 DEA활용의 문제점 분석 및 제안”", 경영과학연구. 30. pp. 193-207, 2004
94 곽미영, "아동복지시설(국공립보육시설)의 질 향상을 위한 평가인증을 위한 기초 연구", 21세기사회복지연구. 3(1). pp. 1-25, 2006
95 이재무, 송영선, "“사회연결망분석을 활용한 국공립어린이집 보육교사의 동료신뢰 형성요인”", 한국영유아보육학. 85. pp. 19-43, 2014
96 문광민, "중앙정부보조금과 지방정부 효율성: 패널문턱모형에 의한 비단조적 관계 분석", 한국행정학보. 45(4). pp. 85-116, 2011
97 곽영진, "“DEA를 이용한 공공도서관의 효율성 평가 : 충청지역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논문집. 5. pp. 141-165, 1998
98 유미숙, 이원선, "“국공립보육시설 시설장의 운영관리 역수행 실태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아동연구센터, 아동연구. 16(2). pp.117-141, 2003
99 이진욱, "DEA를 이용한 소상공인 자금지원사업의 효율성분석 및 개선방안 도출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3
100 정수경, "국공립 및 법인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학사학위취득을 위한 계속교육에 관한 인식", 유아교육학논집. 16(5). pp. 139-162, 2012
101 임동진, "“DEA를 통한 지방정부의 생산성 측정 : 인력 재정과 공공서비스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보. 34(4). pp. 217-255, 2001
102 채영란, "어린이집평가인증 전후에 따른 보육서비스 질에 대한 교사의 기대수준과 실행수준",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한국교육문제연구. 30(4). pp. 1-31, 2012
103 유금록, "“공공부문의 생산성 측정을 위한 비방사적 맘퀴스트 생산성지수의 측정방법과 적용”",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5. pp. 99-125, 2004
104 최정원, "서울시 보건소의 동태적 효율성에 관한 연구:자료포락분석-윈도우(DEA-Window)를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4(1). pp. 163-189, 2014
105 남궁근, 하혜수, "“DEA에 의한 공공서비스 투입자원 재배분방안 연구 : 경기도의 소방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조직학회보. 1(1). pp. 1-24, 2004
106 문춘걸, "자료포락분석법 및 그 변형기법을 통한 공공부문의 생산성 측정 한국 중소도시의 생산성 분석", 한국조세연구원, 재정포럼. 22. pp. 67-69, 1998
107 서호준, "공공부문에 대한 효율성 측정기법의 적용:국내 중소기업 신용보증기관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27(1). pp. 141-167, 2013
108 정대범, 정대범, "우리나라 전문대학의 효율성 평가 연구 : Delphi/AHP/DEA 혼합모형을 이용한 상대적 효율성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1
109 김현제, 윤원철, "“DEA기법과 토빗모형을 활용한 효율성 차이에 대한 분석: 서울시 고등학교의 교육성과를 대상으로”", 한국재정학회, 재정논집. 21(1). pp.97-114, 2006
110 이혜원, "“보육서비스 품질 제고를 위한 정책의 실효성 및 개선방안-평가인증제도와인가제한제를 중심으로”", 재정포럼. pp25-43, 2014
111 배준호, 신홍철, "“DEA모형을 활용한 외식 프랜차이즈의 경영효율성에 관한 연구: 국내 패밀리레스토랑 비교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관광학연구. 33(5). pp. 147-168, 2009
112 권오성, "“지방자치제도의 실시가 시 정부의 재정자립도에 미치는 영향: 59개 시 정부를 중심으로 한 실증연구”",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회 추계학술대회. 2003. pp. 45-58, 2003
113 윤경준, "“지방정부 서비스의 상대적 효율성 측정에 관한 연구 : 대도시보건소에 대한자료포락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5
114 류태규, 박종복, "“공공연구부문에서의 기술이전컨소시엄의 효과와 특성 연구 : 공공기술이전컨소시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기술혁신학회 ,, 기술혁신학회지, 10(4). pp. 284-309, 2007
115 서영주, 안현미, 조연숙, "거버넌스 체계를 통한 보육서비스 질 제고 방안 연구 : 서울시 안심보육 모니터링단 운영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2010(6). pp. 1262-1279, 2010
116 문춘걸, 박재완, "“DEA 기법을 활용한 공공부문 성과 측정 - 에너지관리공단의 경우 :DEA 기법을 활용한 공공부문 성과 측정”", 재정논집. 21(1). pp. 69-95, 2006
117 박진희, 임영록, "“대형할인점의 효율성 분석을 위한 DEA모형 적용에 관한 연구: 서울시 및 광역시 소재 할인점을 대상으로”", 한국유통경영학회, 유통정보학회지. 10(2). pp. 103-129, 2007
118 김형모, 이점자,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국공립 어린이집과민간어린이집 보육교사의 비교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2). pp. 101-120, 2012
119 안현미, "‘지역거점 국공립보육시설 모델’의 적용방안 연구 - 서울국공립보육시설연합회 시범사업 결과를 토대로 -", 한국영유아보육학. 56. pp. 256-278, 2009
120 김상봉, "“공공투자사업의 사회경제적 효율성 평가방법과 그 적용에 관한 연구: 일본의행정투자 및 공공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2(2). pp. 1-27, 2002
121 이재무, 김행열, "“국공립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창의성 및 협력에 관한 연구 - MBTI유형에 따른 차이와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 한국보육학회지. 13(4). pp.47-71, 2013
122 남윤인순,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 한국여성단체연합 “국공립어린이집 확충방안은무엇인가? : 보육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릴레이 토론회 2”", 대한민국 국회 연구보고서,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