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秋史(추사)의 간화선,대혜종고,삼처전심에 대한 비판과 사상사적 의의 = Chusaь秋史(추사)`s Criticism against Kanwha - Chan看話禪(간화선),Dahui - Zonggao大慧宗高(대혜종고),Sanchu - Chuanxin三處傳心(삼처전심) and the Thought Historical Signific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321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a Buddhist in the mundane world Chusa(1786~1856) practiced uprightly preaching - chuan accord practice - experience, and on the basis of broad views and high intelligence as a historical research scholar endeavored to break down the conventional ignorance and distortion in Chan - Buddhism society at that time where did not recognize historical truth yet. His criticism against Chan - Buddhism centered on Kanwha-Chan看話禪·Dahui - Zonggao大慧宗高·Sanchu - Chuanxin 三處傳心. Especially on Sanchu - Chuanxin He already recognize that fiction. It could be said that the most of criticism contents were nearly the beginning in Korean Buddhism history. In that respect Chusa秋史 could be said a pioneer in this sphere. Chusa feeled keenly Kanwha - Chan``s evils, and having been anxious about Zhaoxian - Buddhism future, lamented with the anxiety and pity. His sharp criticism was original and prominent, and that was hardly productive in such general Chan - Buddhism society.
      번역하기

      As a Buddhist in the mundane world Chusa(1786~1856) practiced uprightly preaching - chuan accord practice - experience, and on the basis of broad views and high intelligence as a historical research scholar endeavored to break down the conventional ig...

      As a Buddhist in the mundane world Chusa(1786~1856) practiced uprightly preaching - chuan accord practice - experience, and on the basis of broad views and high intelligence as a historical research scholar endeavored to break down the conventional ignorance and distortion in Chan - Buddhism society at that time where did not recognize historical truth yet. His criticism against Chan - Buddhism centered on Kanwha-Chan看話禪·Dahui - Zonggao大慧宗高·Sanchu - Chuanxin 三處傳心. Especially on Sanchu - Chuanxin He already recognize that fiction. It could be said that the most of criticism contents were nearly the beginning in Korean Buddhism history. In that respect Chusa秋史 could be said a pioneer in this sphere. Chusa feeled keenly Kanwha - Chan``s evils, and having been anxious about Zhaoxian - Buddhism future, lamented with the anxiety and pity. His sharp criticism was original and prominent, and that was hardly productive in such general Chan - Buddhism socie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柳田聖山, "柳田聖山集 第二卷" 法藏館 1-796, 2001

      2 박건주, "하택신회의 어록 - 돈황문헌역주Ⅰ" 운주사 344-, 2009

      3 정병삼, "추사의 불교학" 한국민족미술연구회 24 : 1-60, 1983

      4 정병삼, "추사와 그의 시대" 돌베개 1-406, 2002

      5 정성본, "추사 김정희와 초의(草衣)선사의 교유(交遊)」- 선시(禪詩)와 다시(茶詩)를 중심으로" 추사연구회 10 : 59-118, 2012

      6 박철상, "조희룡의 『香雪館尺牘鈔存』으로 본 『石友忘年錄』의 성격에 대하여" 문헌과 해석사 22 : 1-219, 2003

      7 박재현, "조선후기의 선(禪)논쟁에 내포된 원형지향성" 불교학연구회 7 : 6-182, 2003

      8 박건주, "절관론 역주" 운주사 1-285, 2012

      9 "육조단경"

      10 "속고승전"

      1 柳田聖山, "柳田聖山集 第二卷" 法藏館 1-796, 2001

      2 박건주, "하택신회의 어록 - 돈황문헌역주Ⅰ" 운주사 344-, 2009

      3 정병삼, "추사의 불교학" 한국민족미술연구회 24 : 1-60, 1983

      4 정병삼, "추사와 그의 시대" 돌베개 1-406, 2002

      5 정성본, "추사 김정희와 초의(草衣)선사의 교유(交遊)」- 선시(禪詩)와 다시(茶詩)를 중심으로" 추사연구회 10 : 59-118, 2012

      6 박철상, "조희룡의 『香雪館尺牘鈔存』으로 본 『石友忘年錄』의 성격에 대하여" 문헌과 해석사 22 : 1-219, 2003

      7 박재현, "조선후기의 선(禪)논쟁에 내포된 원형지향성" 불교학연구회 7 : 6-182, 2003

      8 박건주, "절관론 역주" 운주사 1-285, 2012

      9 "육조단경"

      10 "속고승전"

      11 金東華, "선종사상사" 태극출판사 1-460, 1975

      12 신규탁, "선문수경(禪文手鏡)" 동국대학교출판부 1-179, 2012

      13 김영욱, "선문사변만어" 동국대학교출판부 1-192, 2012

      14 "능가아발다라보경"

      15 박건주, "능가경(7권본)" 운주사 1-639, 2010

      16 금장태, "논문 : 김정희의 불교인식과 선학(禪學) 논변" 종교문제연구소 (14) : 95-119, 2008

      17 "금강경"

      18 "국역, 완당전집(전 4권)"

      19 "경덕전등록"

      20 韓基斗, "韓國 禪思想에 있어 三種禪과 二種禪 間의 論爭点 考察… 特히 禪文手鏡 四漫語 禪文證正錄 禪源遡流 禪文再正錄의 論爭 中心問題에 關해서" 원광대종교문제연구소 1 : 49-77, 1971

      21 "阮堂先生全集(上·下)" 신성문화사 1-378, 1972

      22 "金秋史가 白坡和尙에게 보낸 辨妄證十五條" (재)선학원 36-46, 1932

      23 李鍾益, "證答白坡書를 通해 본 金秋史의 佛敎觀" 불교문화연구원 12 : 11-32, 1975

      24 "般泥洹經"

      25 李相鉉, "秋史의 佛敎觀" 민족문화추진회 13 : 159-203, 1990

      26 정병삼, "秋史의 佛敎學에 대한 자세" 추사연구회 10 : 11-36, 2012

      27 박철상, "秋史 자료의 정리현황과 향후 과제" 추사연구회 8 : 77-100, 2010

      28 "祖庭事苑"

      29 韓基斗, "東과 西의 思惟世界- 莊峰김지견박사화갑기념선우록" 민족사 699-725, 1991

      30 전재강, "書狀" 운주사 2004

      31 "御選語錄"

      32 "大梵天王問佛決疑經(7품본)"

      33 "大梵天王問佛決疑經(24품본)"

      34 "佛般泥洹經"

      35 "中本起經"

      36 杜繼文, "中國禪宗通史" 江蘇人民出版社 1-669, 2007

      37 영원, "『六妙法門』의 修行體系연구 - 『안반수의경』과 비교하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7

      38 "『조당집』 상·하"

      39 신규탁, "『선문수경』을 둘러싼 선 논쟁을 다시 시작하면서" 추사연구회 10 : 37-57,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5-14 학회명변경 한글명 : 재단법인 선학원 부설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1 1.36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