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무안군 해수면 어업생산기반 및 낙지생산어가 어업실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Basis of Marine Fisheries Production and The Current State of Octopus Minor Fishery Households of Muan-Gu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89565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 전남대학교, 20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 수산과학과 , 2017. 8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639.2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광주

      • 형태사항

        107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전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최상덕
        참고문헌 포함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전남대학교 도서관(여수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우리나라 국민 일인 당 연간 수산물 소비량은 국민 소득의 향상과 건강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수산물 중 낙지 생산량은 지난 20여 년 전에 비해 약 37.1%가 감소하였고, 본 연구의 대상지인 무안군 역시 지난 10여 년 전에 비해 낙지 어획량이 약 49.7% 감소하였다. 하지만 국내 낙지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국내 생산량으로 공급이 부족하게 되자 낙지 수요에 있어서 중국 수입 의존도가 매우 높은 것이 현실이다.
      우리나라 낙지 어획량의 60% 이상이 전남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볼 때, 전남에서도 낙지의 주 생산지인 무안군과 신안군의 수산자원과 갯벌어장 환경의 관리가 지속적인 낙지 어획과 국내 낙지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전라남도는 천혜의 섬과 우리나라 전체의 42%의 갯벌이 분포 하는 등 풍부한 해양자원을 가지고 있다. 특히 무안군은 비교우위의 자원인 ‘갯벌’ 등을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어촌공동체를 영위하고 수산업 발전과 함께 안정적인 어업생산기반을 조성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남도 무안군 낙지생산어가를 중심으로 어업생산기반 조사를 통해 현재의 실태를 반영한 통계자료 및 기초자료를 확보하여 수산물 생산,
      어업경영 및 수산물 유통개선 등 수산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함으로써 어업생산력 향상과 어업인 소득증대 방안 등 지속가능한 낙지 어업생산기반 조성을 위한 전략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우선 무안군 관내의 어업권과 연안어업허가 그리고 신고어업을 분석해 수산업 현황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무안군 낙지 조업 방법에는 다양한 전통어업이 존재하는데, 낙지 조업 방법별 현황을 분석하였고, 무안군 낙지 어획량과 소득액을 파악하였다. 또한 무안군 낙지 판매 방법 및 전남지역 낙지 계통판매 실태를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지속가능한 낙지 어업생산기반 조성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지속가능한 어업생산기반 조성을 위해서는 두 가지 관점으로 살펴봐야 한다. 하나는 자연 · 환경적인 관점이고 다른 하나는 사회 · 경제적인 관점이다.
      하드웨어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자연 · 환경적인 관점은 바다라는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자원조성, 환경 보호 및 보존 활동이고, 소프트웨어 부분이라 할 수 있는 사회 · 경제적인 관점은 공동체의 기능, 어업질서의 확립, 사회 · 경제 활동을 포함한다. 자연 · 환경적인 관점과 사회 · 경제적인 관점의 구체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자연 · 환경적인 관점으로는 해양환경의 조성, 수산자원의 산란장 및 서식장 조성, 인공어초 · 바다숲 · 바다목장의 확대, 수산종묘방류, 총허용어획량(TAC) 제도, 금어기 설정, 갯벌의 보호 · 복원 및 이용, 해양보호구역의 관리 등을 들 수 있고, 사회 · 경제적인 관점으로는 자율관리어업 육성, 어촌계의 활성화, 계통 · 비계통의 유통문제개선, 불법어업으로부터 어업질서의 확립, 수산정책자금 지원제도, 직접지불제, 수협의 확대, 수산전문인력 육성, 귀어 · 귀촌정책, 어촌종합개발, 어항개발, 어촌체험마을 및 관광사업, 지역 수산물 브랜드화 등을 들 수 있다.
      번역하기

      (국문초록) 우리나라 국민 일인 당 연간 수산물 소비량은 국민 소득의 향상과 건강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수산물 중 낙지 생산...

      (국문초록)

      우리나라 국민 일인 당 연간 수산물 소비량은 국민 소득의 향상과 건강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수산물 중 낙지 생산량은 지난 20여 년 전에 비해 약 37.1%가 감소하였고, 본 연구의 대상지인 무안군 역시 지난 10여 년 전에 비해 낙지 어획량이 약 49.7% 감소하였다. 하지만 국내 낙지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국내 생산량으로 공급이 부족하게 되자 낙지 수요에 있어서 중국 수입 의존도가 매우 높은 것이 현실이다.
      우리나라 낙지 어획량의 60% 이상이 전남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볼 때, 전남에서도 낙지의 주 생산지인 무안군과 신안군의 수산자원과 갯벌어장 환경의 관리가 지속적인 낙지 어획과 국내 낙지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전라남도는 천혜의 섬과 우리나라 전체의 42%의 갯벌이 분포 하는 등 풍부한 해양자원을 가지고 있다. 특히 무안군은 비교우위의 자원인 ‘갯벌’ 등을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어촌공동체를 영위하고 수산업 발전과 함께 안정적인 어업생산기반을 조성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남도 무안군 낙지생산어가를 중심으로 어업생산기반 조사를 통해 현재의 실태를 반영한 통계자료 및 기초자료를 확보하여 수산물 생산,
      어업경영 및 수산물 유통개선 등 수산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함으로써 어업생산력 향상과 어업인 소득증대 방안 등 지속가능한 낙지 어업생산기반 조성을 위한 전략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우선 무안군 관내의 어업권과 연안어업허가 그리고 신고어업을 분석해 수산업 현황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무안군 낙지 조업 방법에는 다양한 전통어업이 존재하는데, 낙지 조업 방법별 현황을 분석하였고, 무안군 낙지 어획량과 소득액을 파악하였다. 또한 무안군 낙지 판매 방법 및 전남지역 낙지 계통판매 실태를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지속가능한 낙지 어업생산기반 조성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지속가능한 어업생산기반 조성을 위해서는 두 가지 관점으로 살펴봐야 한다. 하나는 자연 · 환경적인 관점이고 다른 하나는 사회 · 경제적인 관점이다.
      하드웨어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자연 · 환경적인 관점은 바다라는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자원조성, 환경 보호 및 보존 활동이고, 소프트웨어 부분이라 할 수 있는 사회 · 경제적인 관점은 공동체의 기능, 어업질서의 확립, 사회 · 경제 활동을 포함한다. 자연 · 환경적인 관점과 사회 · 경제적인 관점의 구체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자연 · 환경적인 관점으로는 해양환경의 조성, 수산자원의 산란장 및 서식장 조성, 인공어초 · 바다숲 · 바다목장의 확대, 수산종묘방류, 총허용어획량(TAC) 제도, 금어기 설정, 갯벌의 보호 · 복원 및 이용, 해양보호구역의 관리 등을 들 수 있고, 사회 · 경제적인 관점으로는 자율관리어업 육성, 어촌계의 활성화, 계통 · 비계통의 유통문제개선, 불법어업으로부터 어업질서의 확립, 수산정책자금 지원제도, 직접지불제, 수협의 확대, 수산전문인력 육성, 귀어 · 귀촌정책, 어촌종합개발, 어항개발, 어촌체험마을 및 관광사업, 지역 수산물 브랜드화 등을 들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3. 연구 범위 4
      • 4. 연구 방법 5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3. 연구 범위 4
      • 4. 연구 방법 5
      • Ⅱ. 무안군 일반현황 6
      • 1. 일반 현황 6
      • 2. 어촌계의 의의 및 현황 9
      • Ⅲ. 무안군 수산업 현황 16
      • Ⅳ. 무안군 낙지생산어가 어업실태 34
      • 1. 어업생산의 구조 34
      • 2. 조사개요 50
      • 3. 조사방법 51
      • 4. 낙지생산어가의 어업실태 52
      • 5. 시사점 (문제점) 62
      • Ⅴ. 지속가능한 낙지 어업생산기반 조성을 위한 전략 63
      • 1. 목적 및 발전방향 63
      • 2. 추진 전략 65
      • 참고문헌 80
      • Abstract 84
      • 부록 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