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수교사 관련 연구 동향 및 방향 탐색: 2008부터 2017년까지 = The Current Research Tren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Studies and their Future Directions: From 2008 to 2017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134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special education teaching is one of critical factors that decide the quality of such educ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ystematically analyze studies during the last 10 years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is study also sugges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To meet these purposes, this study analyzed 541 studies in KCI journals from 2008 to 2017. Studies were analyzed based on research purposes, methods, and contents. The research contents were supplementally analyzed based on seven categories according to rank. According to the key finding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lated studies persistently increased during the last 10 years. Second, the percentages of studies about exploring current situations and proposing improvement points were overwhelmingly high. Third, survey and qualitative methods were most frequently used. Fourth, there were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studies on the teaching profession, teachers’educational perspectives, curriculum, and subject education. On the other hand, research on school organization, culture, policies, and systems were relatively low at 9%. In the discussion, implications of the key result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suggested.
      번역하기

      As special education teaching is one of critical factors that decide the quality of such educ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ystematically analyze studies during the last 10 years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is study also suggests fut...

      As special education teaching is one of critical factors that decide the quality of such educ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ystematically analyze studies during the last 10 years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is study also sugges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To meet these purposes, this study analyzed 541 studies in KCI journals from 2008 to 2017. Studies were analyzed based on research purposes, methods, and contents. The research contents were supplementally analyzed based on seven categories according to rank. According to the key finding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lated studies persistently increased during the last 10 years. Second, the percentages of studies about exploring current situations and proposing improvement points were overwhelmingly high. Third, survey and qualitative methods were most frequently used. Fourth, there were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studies on the teaching profession, teachers’educational perspectives, curriculum, and subject education. On the other hand, research on school organization, culture, policies, and systems were relatively low at 9%. In the discussion, implications of the key result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sugges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특수교사가 특수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핵심요인 중 하나로 밝혀진 상황에서 이 연구는 최근10년 간 수행된 특수교사 관련 연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후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이를 위해 우선 2008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에 실린 초․중등 특수교사 관련 연구541편을 선별하였다. 이후 대상 연구를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연구 내용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연구 내용의 경우에는 하위 7개 항목을 순위별로 상세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보면, 첫째, 최근 10년 간 특수교사 관련 연구가 꾸준히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목적은 ‘실태 분석및 개선안 도출’ 연구가 88.9%로 매우 높았다. 셋째, 연구 방법은 조사 연구와 질적 연구가 많았으며, 넷째, 연구 내용에서는 교직전문성 및 교직관 관련 연구와 교육과정 및 교과교육이 상대적으로많았다. 반면 학교조직․문화, 주요 정책․제도에 관한 연구가 각각 9%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주요 결과에 대한 함의와 향후 특수교사 관련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특수교사가 특수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핵심요인 중 하나로 밝혀진 상황에서 이 연구는 최근10년 간 수행된 특수교사 관련 연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후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수교사가 특수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핵심요인 중 하나로 밝혀진 상황에서 이 연구는 최근10년 간 수행된 특수교사 관련 연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후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이를 위해 우선 2008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에 실린 초․중등 특수교사 관련 연구541편을 선별하였다. 이후 대상 연구를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연구 내용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연구 내용의 경우에는 하위 7개 항목을 순위별로 상세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보면, 첫째, 최근 10년 간 특수교사 관련 연구가 꾸준히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목적은 ‘실태 분석및 개선안 도출’ 연구가 88.9%로 매우 높았다. 셋째, 연구 방법은 조사 연구와 질적 연구가 많았으며, 넷째, 연구 내용에서는 교직전문성 및 교직관 관련 연구와 교육과정 및 교과교육이 상대적으로많았다. 반면 학교조직․문화, 주요 정책․제도에 관한 연구가 각각 9%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주요 결과에 대한 함의와 향후 특수교사 관련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현석, "한국 교육행정학 분야 문헌고찰연구 동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4 (34): 1-24, 2016

      2 강은영, "학습장애 영역의 질 높은 중재연구 적용을 위한 제안: 문헌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49 (49): 131-156, 2014

      3 김자경, "특수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집단적 교사효능감,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교육발전연구소 27 (27): 43-58, 2017

      4 구신실, "특수학교 교사의 교직선택 동기와 교직헌신도의 관계" 한국특수아동학회 17 (17): 189-210, 2015

      5 최영하, "특수학교 교사문화에 대한 현직교사의 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발달장애학회 7 (7): 135-152, 2003

      6 교육부, "특수교육대상자의 사회통합 실현을 위한 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18-’22) 계획" 교육부 2017

      7 강혜정, "특수교육 여건 조성이 교사의 전문성과 상담에 미치는 영향" 3 (3): 37-56, 2010

      8 곽승철, "특수교육 교사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1 (51): 79-99, 2008

      9 박유정, "특수교사의 자질 및 전문성에 관한 국내외 연구 고찰"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4 (54): 407-433, 2015

      10 김은라, "특수교사의 심리적 소진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직무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0 (60): 47-68, 2017

      1 신현석, "한국 교육행정학 분야 문헌고찰연구 동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4 (34): 1-24, 2016

      2 강은영, "학습장애 영역의 질 높은 중재연구 적용을 위한 제안: 문헌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49 (49): 131-156, 2014

      3 김자경, "특수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집단적 교사효능감,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교육발전연구소 27 (27): 43-58, 2017

      4 구신실, "특수학교 교사의 교직선택 동기와 교직헌신도의 관계" 한국특수아동학회 17 (17): 189-210, 2015

      5 최영하, "특수학교 교사문화에 대한 현직교사의 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발달장애학회 7 (7): 135-152, 2003

      6 교육부, "특수교육대상자의 사회통합 실현을 위한 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18-’22) 계획" 교육부 2017

      7 강혜정, "특수교육 여건 조성이 교사의 전문성과 상담에 미치는 영향" 3 (3): 37-56, 2010

      8 곽승철, "특수교육 교사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1 (51): 79-99, 2008

      9 박유정, "특수교사의 자질 및 전문성에 관한 국내외 연구 고찰"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4 (54): 407-433, 2015

      10 김은라, "특수교사의 심리적 소진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직무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0 (60): 47-68, 2017

      11 배숙자, "특수교사의 교직헌신과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연민의 매개효과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9 (19): 231-250, 2017

      12 임해주, "특수교사 교직문화에 대한 연구 동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5 (15): 175-202, 2014

      13 김순진, "증거기반실제의 특수교육 현장 정착 방안"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4 (34): 231-252, 2018

      14 허유성, "좋은 특수교사의 특성 및 성장 패턴과 주요 변곡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학습장애학회 10 (10): 1-30, 2013

      15 김정연, "좋은 특수교사로의 성장과 관련된 요인 및 경험" 특수교육연구소 12 (12): 5-30, 2013

      16 김성애, "우리나라 특수교사의 자질 및 교사양성 과제에 관한 논의"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95-121, 2008

      17 성태제, "연구방법론" 학지사 2014

      18 윤혁, "업무강도와 교직경력이 초등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탈진감과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경로 비교" 한국통합교육학회 7 (7): 143-164, 2012

      19 이경태, "순회교육을 하고 있는 교사의소외에 대한 체험들" 한국열린교육학회 24 (24): 171-198, 2016

      20 송미진, "다차원 모형에 입각한 한국 특수교육정책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50 (50): 269-290, 2015

      21 윤옥한, "기업교육 연구 동향 분석: 기업교육 학회지(2000-2014)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기업교육학회 18 (18): 159-177, 2016

      22 이윤석, "교직과 교사" 학지사 2009

      23 이종승, "교육․심리․사회 연구방법론" 교육과학사 2009

      24 이희숙, "교사 특성이 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분석 - TIMSS 2007의 교사 전문성 계발 노력 변인을 중심으로 -"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243-266, 2011

      25 Darling-Hammond, L., "What matters most : A competent teacher for every child" 78 : 193-200, 1996

      26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What every special educator must know: Ethics,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special educators"

      27 Barnett, R., "The limits of competence: Knowledge, higher education and society" Open University Press 1994

      28 Babbie, R., "The basics of social research" Wadsworth Publishing 2008

      29 Hattie, J., "Teachers make a difference, What is the research evidence?"

      30 Avalos, B.,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over ten years" 27 (27): 10-20, 2011

      31 Darling-Hammond, L., "Teacher Education and the American Future" 6 (6): 35-47, 2010

      32 Cooper, H., "Synthesizing research: A guide for literature reviews" Sage Publications 1998

      33 Odom, S. L.,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 Scientific methods and evidence-based practices" 71 (71): 137-148, 2005

      34 Brownell, M. T., "Republication of"NCLB and the demand for highly qualified teachers : Challenges and solutions for rural schools"" 37 (37): 4-11, 2018

      35 Hawkins, R., "Preservice training in response to intervention : learning by doing an interdisciplinary field experience" 45 (45): 745-762, 2008

      36 Korthagen, F. A., "Linking practice and theory: The pedagogy of realistic teacher education" Routledge 2001

      37 Carlson, E., "Identifying attributes of high quality special education teachers" 27 (27): 350-359, 2004

      38 Isaac, S., "Handbook in research and evaluation: A collection of principles, methods, and strategies useful in the planning, design, and evaluation of studies in education and the behavioral sciences" Edits publishers 1995

      39 Varkey Foundation, "Global Teacher Status Index"

      40 Varkey Foundation, "Global Parents’ Survey"

      41 Becker, B. J., "Communities of scholars, research, and debates about teacher quality" 2003

      42 Deshler, D. D., "Adolesc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Unique challenges and reasons for hope" 28 (28): 122-125, 2005

      43 우이구,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방향 및 내용" 1-6,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교육학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nra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5-01-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peci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3 1.503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