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판 DIT를 통한 청각장애아동과 가청아동 간의 도덕성 발달 특성 비교 = Comparing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Morality between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and Auditory Children by D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134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pplies the Defining Issues Test (DIT) fit for Korea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improving morality for children with a hearing impair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1 children with a hearing impairment who were integrated int...

      This research applies the Defining Issues Test (DIT) fit for Korea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improving morality for children with a hearing impair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1 children with a hearing impairment who were integrated into general schools and deaf and hearing-impaired schools in the 4th, 5th, 6th grade, and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and 118 children (without a hearing impairment) attending general schools. This research does not include students who have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Chi-Square statistics, T-test, and the ANOVA test were used to compare two groups in choice of action and moral judgment abil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with a hearing impairment also showed variability in the direction of behavioral choices for conflict situations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moral developmental comparisons according to the moral judgment power of the two groups. In this study, hearing impaired children, except for “patients’ begging”, suggested reasons for choosing behavior opposite to that of the auditory child. Further, it suggests implications for the deactivation of language schemes for children with a hearing impairment, the lack of literacy, and the lack of experience with various environments for DIT using the schema theo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청각장애아동과 가청아동 간의 도덕성 발달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판 DIT (Defining Issues Test)를 적용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청각장애학교와 일반학교에 통합 중인초등학...

      이 연구는 청각장애아동과 가청아동 간의 도덕성 발달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판 DIT (Defining Issues Test)를 적용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청각장애학교와 일반학교에 통합 중인초등학교 4, 5, 6학년과 중학교 1학년의 청각장애아동으로 부가장애가 없는 131명과 일반학교에 재학 중인 동일 연령의 가청아동 118명이다. 두 집단 간 행동선택과 도덕판단력 비교는 카이제곱검증과 독립표본 t검증 및 일변량 분산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 간 갈등상황에 대한 행동선택에서 청각장애아동과 가청아동 모두 행동선택의 방향이 일치되지않는 변이성이 나타났다. 둘째, 두 집단의 도덕판단력에 따른 도덕성 발달 비교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청각장애아동에게도 변이성이 나타나지만 ‘환자의 애원’을 제외하고 가청아동과상반된 행동선택을 보이는 원인에 대해 제시하였다. 또한 두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로 도식이론을 활용한 DIT에 대한 청각장애아동의 언어 도식 비활성화의 문제, 문해력 부족, 그리고 다양한 환경에 대한 경험의 부재에 관한 시사점을 제안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崔金植, "聾啞의 도덕성 발달에 관한 조사 연구" 圓光大學校 敎育大學院 1994

      2 權要漢, "聾兒童의 認知的 特性" 大邱大學校 大學院 1988

      3 문용린, "한국판 도덕판단력검사(KDIT) 세 가지 지수의 타당도 비교"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783-800, 2008

      4 문용린, "한국청소년의 도덕성발달진단을 위한 연구-도덕판단력 진단검사(DIT)를 위한 표준화연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1994

      5 문용린, "한국인의 도덕판단력 발달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281-299, 2008

      6 문용린, "한국인의 도덕성 발달 진단" 집문당 2011

      7 김안중, "한국아동의 도덕성 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82

      8 Lionel, E., "토털 커뮤니케이션: 구조와 전략" 한국학술정보 2002

      9 차윤웅, "초등학생의 도덕성 발달 수준과 지능 및 도덕적 행위 간의 관계" 忠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10 신용식, "초등학교 교육과정" 교육출판사 1988

      1 崔金植, "聾啞의 도덕성 발달에 관한 조사 연구" 圓光大學校 敎育大學院 1994

      2 權要漢, "聾兒童의 認知的 特性" 大邱大學校 大學院 1988

      3 문용린, "한국판 도덕판단력검사(KDIT) 세 가지 지수의 타당도 비교"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783-800, 2008

      4 문용린, "한국청소년의 도덕성발달진단을 위한 연구-도덕판단력 진단검사(DIT)를 위한 표준화연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1994

      5 문용린, "한국인의 도덕판단력 발달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281-299, 2008

      6 문용린, "한국인의 도덕성 발달 진단" 집문당 2011

      7 김안중, "한국아동의 도덕성 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82

      8 Lionel, E., "토털 커뮤니케이션: 구조와 전략" 한국학술정보 2002

      9 차윤웅, "초등학생의 도덕성 발달 수준과 지능 및 도덕적 행위 간의 관계" 忠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10 신용식, "초등학교 교육과정" 교육출판사 1988

      11 하영희, "청소년의 도덕행동에 관한 관련변인 연구 : 권장행동과 금지행동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1

      12 최성규, "청각장애아동의 도덕성 발달에 기초한 생활지도 방안" 21 (21): 3-20, 1998

      13 최성규, "청각장애아동과 건청아동의 조작형태 특성에 기초한 인지발달 비교 연구" 2 (2): 147-163, 2001

      14 강인구, "인성교육에서 도덕적 추론과 도덕적 직관의 통합"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3 (33): 73-97, 2015

      15 하치근, "언어 능력과 인지 능력의 상관관계" 한글학회 (287) : 5-43, 2010

      16 Kahneman, D., "생각에 관한 생각" 김영사 2012

      17 장희선, "도덕판단력검사(DIT)의 초등학생 이해도 분석 : 딜레마 이해와 검사수행절차 이해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18 원현주, "도덕적 자아와 도덕 행동 선택에 관한 연구 : Blasi의 도덕적 자아를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9

      19 문경호, "도덕적 의사결정에서 직관과 추론의 역할" 한국윤리교육학회 (44) : 85-115, 2017

      20 박종철, "도덕성 발달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를 분석" 15 (15): 25-41, 2010

      21 정창우, "도덕교육의 새로운 해법" 교육과학사 2009

      22 이근철, "도덕교육론" 보경문화사 1993

      23 임용경, "도덕과 교육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10

      24 서봉연, "도덕개념의 발달에 관한 연구" 배영사 1963

      25 서강식, "도덕․윤리과 수업모형" 양서원 1999

      26 정경순, "농학생의 도덕적 판단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86

      27 김종수, "농학생의 도덕성 발달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1987

      28 오영희, "고등학생들의 학업부정행위에 대한 지각, 경험, 관련 변인 분석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17 (17): 1-25, 2003

      29 尹敬淑, "고등학교 2학년 聾學生과 정상학생의 도덕판단 비교 연구 : 聾學生의 도덕성발달을 위한 교육환경 구성을 중심으로" 東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4

      30 朴贊炷, "韓國人의 道德判斷과 行動選擇에 관한 DIT適用 연구"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0

      31 Furth, H., "Thinking in deaf adolescents, language and formal operation" 2 : 195-202, 1969

      32 Rest, J. R., "The relation of moral judgement structures to decision-making in specific situation: The utilizer and nonutilizer dimension"

      33 Nass, M. L., "The development of conscience : A comparison of moral judgments of deaf and hearing children" 35 : 1073-1080, 1964

      34 Conrad, R., "The deaf schoolchild : Language and cognitive function" Harper &Row 1979

      35 Piaget, J., "The Moral judgment of the child" Kegan, Paul, Trench, & Trubner 1932

      36 Markoulis, D., "Socio-moral reasoning in congenital deaf children as a function of cognitive maturity" 20 (20): 79-93, 1991

      37 Vernon, M., "Relationship of language to the thinking process" 16 : 325-333, 1967

      38 Blasi, A., "Personality, identity, and charact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6-440, 2009

      39 Narváez, D., "Moral schemas and tacit judgement or how the Defining Issues Test is supported by cognitive science" 31 (31): 297-314, 2002

      40 Piaget, J., "Moral judgment of the child" Free Press 1965

      41 Rodda, M., "Language, cognition, and deafness" Erlbaum 1987

      42 Rest, J. R., "Judging the important issues in moral dilemmas : an objective measure of development" 10 : 491-501, 1974

      43 Fischbein, E., "Intuition in science and mathematics: An educational approach" D. Reidel Publisching Company 1987

      44 Rest, J. R., "Handbook of child Psychology:Cognitive development, Vol. 3" John Wiley & Sons 1983

      45 Narváez, D., "Expertise and the speed of moral information processing" 2001

      46 Frankena, W., "Ethics" Prentice Hall 1963

      47 Paul, P., "Education and deafness" Longman 1990

      48 Rest, J. R., "DIT2 : Devising and testing a revised instrument of moral judgment" 91 : 644-659, 1999

      49 최성희, "DIT 측정도구를 활용한 이동의 도덕성 발달" 15 (15): 141-158, 2010

      50 Rest, J. R., "Alchemy and beyond : Indexing the Defining Issues Test" 89 : 498-507, 1997

      51 Couch, C. G., "A test of Kohlberg's theory: The development of moral reasoning in deaf and hearing individuals"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1985

      52 DeCaro, P., "A cognitive-developmental investigation of moral reasoning in a deaf population" 197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교육학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nra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5-01-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peci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3 1.503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