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미디어 데이타 서비스 응용과 같이 대용량 데이타의 저장 및 처리를 필요로 하는 DBMS의 저장 장치로 기존의 디스크 뿐만 아니라 테이프 라이브러리 또는 광 디스크 쥬크 박스와 같은 3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2015365
1998
Korean
500
학술저널
179-192(1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멀티미디어 데이타 서비스 응용과 같이 대용량 데이타의 저장 및 처리를 필요로 하는 DBMS의 저장 장치로 기존의 디스크 뿐만 아니라 테이프 라이브러리 또는 광 디스크 쥬크 박스와 같은 3차...
멀티미디어 데이타 서비스 응용과 같이 대용량 데이타의 저장 및 처리를 필요로 하는 DBMS의 저장 장치로 기존의 디스크 뿐만 아니라 테이프 라이브러리 또는 광 디스크 쥬크 박스와 같은 3차 저장 장치가 고려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주기억장치 버퍼와 디스크로 구성된 저장 계층 구조를 갖는 DBMS에 3차 저장장치를 부착하고자할 때, 이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고려사항을 제시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ertiary storage devices such as tape libraries and optical jukeboxes are now employed as storage for the DBMS to store a huge volume of data that needs to be processed in applications like multimedia data services. In this paper, we present issue...
The tertiary storage devices such as tape libraries and optical jukeboxes are now employed as storage for the DBMS to store a huge volume of data that needs to be processed in applications like multimedia data services. In this paper, we present issues to be considered to efficiently incorporate the tertiary storage to the preexisting DBMS which conventional storage hierarchy that consists of the main memory buffers and the dis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