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단감 가해 노린재류와 뚱보기생파리의 생태 및 유인 물질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3039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단감을 가해하는 주요 노린재류와 노린재류의 기생자인 뚱보기생파리의 발생소장을 조사하고, 갈색날개노린재의 집합페로몬 담체별 휘발속도와 유인력을 조사하였으며, 애무늬고리장님노...

      단감을 가해하는 주요 노린재류와 노린재류의 기생자인 뚱보기생파리의 발생소장을 조사하고, 갈색날개노린재의 집합페로몬 담체별 휘발속도와 유인력을 조사하였으며,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의 유인물질을 탐색하였다. 2009년에는 경남 사천시의 녹차원과 경상대학교 캠퍼스에서 뚱보기생파리의 발생소장을 조사하였고, 2010년에는 경남 도내 11개 단감원에서 노린재류와 뚱보기생파리의 발생소장을 함께 조사하였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7월 넷째 주부터 발생량이 증가하여 8월 셋째 주에 가장 많은 발생량을 보였다. 갈색날개노린재의 경우 5월 둘째 주에 한차례 발생 한 후 7월과 8월에 걸쳐 발생량이 증가하였고 썩덩나무노린재는 9월말부터 그 발생량이 증가하였다.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는 단감의 신초가 자라기 시작하는 5월 중순에 발생하였다. 뚱보기생파리는 2009년에 5월 말과 10월 중순에 발생량이 증가하였고, 2010년에는 7월 둘째 주와 9월 둘째주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갈색날개노린재 집합페로몬의 담체별 휘발속도 및 유인력을 2010년 경상대학교 캠퍼스 내에서 실험하였다. Poly tube의 페로몬이 가장 빨리 휘발하였고, rubber septum의 페로몬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일정하게 감하였다. Poly tube 페로몬은 실험시작 4주 후 까지 갈색날개노린재에 대해 유인력을 나타내었고, PE-vial은 실험 시작 2주 후까지 유인력을 나타내었다.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의 유인물질을 찾기 위하여 2009년과 2010년에 야외에서 유인력을 검정하였고 실내에서 이들 물질에 대한 EAG (electro-antennogram) 반응을 조사한 결과, n-tridecane, acetaldehyde, methyl salicylate, ethyl decanoate 등이 유인 후보물질로 선정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asonal occurrences of major true bugs infesting sweet persimmon and a tachinid parasitoid were monitored. The monitoring on bean bug Riptortus pedestris (Fabricius) (Hemiptera: Alydidae), brown-winged stink bug Plautia stali (Scott) (Hemiptera: Pent...

      Seasonal occurrences of major true bugs infesting sweet persimmon and a tachinid parasitoid were monitored. The monitoring on bean bug Riptortus pedestris (Fabricius) (Hemiptera: Alydidae), brown-winged stink bug Plautia stali (Scott) (Hemiptera: Pentatomidae) and brown marmorated stink bug Halyomorpha halys (Stal) (Heteroptera: Pentatomidae) were done at 11 sweet persimmon orchards in Gyeongnam province in 2010. A tachinid Gymnosoma rotundatum (Diptera: Tachinidae) was monitored at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ampus and a green tea field in 2009 and at 11 sweet persimmon orchards in Gyeongnam province in 2010. R. pedestris was monitored using its own aggregation pheromone traps. P. stali, H. halys, and their parasitoid G. rotundatum was monitored using the aggregation pheromone traps of P. stali. The monitoring on a plant bug Apolygus spinolae (Meyer-Dur) (Hemiptera: Miridae) was done at sweet persimmon orchards using bare yellow sticky traps in 2010. Number of R. pedestris catches began to increase from the 4th week of July and reached at its peak at the 3rd week of August. P. stali showed a small peak on May the 2nd week, and its catch increased during July and August. Number of H. halys increased from late September. A. sipnolae occurred at middle May when new shoot of persimmon tree began to sprout. The tachinid parasitoid occurred in higher number during late May and middle October in 2009, however during the 2nd weeks of July and September in 2010.
      Volatility of the pheromone compound of the aggregation pheromone of P. stali, methyl (E,E,Z)-2,4,6-decatrienoate, loaded in different kinds of dispensers was tested using poly tube, PE-vial and rubber septum. The pheromone impregnated in poly tube dispenser volatilized fastest, and that in rubber septum was released most slowly. Poly tube and PE-vial pheromone lures attracted P. stali until four and two weeks after trap setup in the field, respectively.
      Field attractiveness of 34 compounds and EAG (electro-antennogram) response of A. spinolae to those compounds was tested both in the field and in the laboratory in 2009 and 2010. Through these experiments, four compounds, n-tridecane, 3-heptanone, trans-2-hexen-1-ol, and ethyl octanoate were selected as possible attractants for the bug species. Because the number of A. spinolae attracted to these compounds in this experiment was low, the attractiveness should be re-evaluated in the fiel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4
      • 재료 및 방법 7
      • 1. 단감원에서 노린재류의 발생소장 조사 7
      • (1) 조사 장소의 선정 7
      • (2) 발생소장 조사를 위한 집합 페로몬 루어의 제조 8
      • 서론 4
      • 재료 및 방법 7
      • 1. 단감원에서 노린재류의 발생소장 조사 7
      • (1) 조사 장소의 선정 7
      • (2) 발생소장 조사를 위한 집합 페로몬 루어의 제조 8
      • (3) 조사시기와 방법 9
      • 2. 뚱보기생파리의 발생소장 조사 10
      • 3. 갈색날개노린재 집합페로몬의 담체별 휘발속도와 유인력 검정 10
      • (1) 담체별 휘발속도 조사 11
      • (2) 담체별 유인력 조사 12
      • 4.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유인물질의 조사 12
      • (1) 후보물질 루어의 제작 12
      • (2) 후보물질의 야외 유인력 검정 14
      • (3) 후보물질에 대한 EAG반응 실험 15
      • 5. 통계분석 16
      • 결과 16
      • 1. 단감원에서 노린재류의 발생소장 16
      • 2. 뚱보기생파리의 발생소장 18
      • (1) 년도별 발생소장 18
      • (2) 암수별 발생소장 19
      • (3) 지역별 발생소장 21
      • (4) 암수 발생량 비교 23
      • 3. 갈색날개노린재 집합페로몬의 담체별 휘발속도 및 유인력 검정 23
      • (1) 담체별 휘발속도 23
      • (2) 휘발속도에 따른 유인력 변화 25
      • 4.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의 유인물질 조사 26
      • 고찰 3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