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시지각 요인에 따른 이모티콘 표현유형별 인지 차이에 관한 연구 :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y emoticon expression type according to visual perception factors: focus on kakaotalk emotic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0121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디지털 기기의 발전으로 인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가 등장하면서 커뮤니케이션방식이 급속하게 변화하는 시대이다. 특히, 현대인들에게 스마트기기는 일상에서 필수불가결한 대표적인 도구가 되면서 원거리에서도 메시지를 통한 정보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편리한 기능으로 인해 점점 사용이 많아지면서 비대면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해지는 가운데, 기능적이면서 정보적인 성격이 강조되는 현상이 늘어났다. 기존의 대면 커뮤니케이션으로 파악할 수 있었던 화자의 행동이나 표정을 통한 감성적 성격의 메시지 전달 기능은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등장한 방법으로 이모티콘은 대면 커뮤니케이션에서 알 수 있었던 감정 전달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인해 사용의 빈도가 증가하였다. 이제는 감정 전달의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써 다양한 형태로 발전된 이모티콘은 간단하게 활자를 조합한 간단한 표정부터 다양하면서도 개성있는 캐릭터로 감정을 표현하는 유형의 이모티콘도 나오게 되었다. 더 나아가 이에 그치지 않고, 조금 더 구체적인 상황이나 감정을 세분화하여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캐릭터 외적인 요소로 텍스트 및 보조적인 요소들까지도 더해져 점점 복잡해지고 있다. 하지만, 이모티콘에서 나타나는 여러 요소들이 증가하면서 형태가 점차적으로 복잡해지고, 스타일이 다양하게 되면서 본연의 기능인 전달하고자 하는 감정 메시지와 이모티콘의 시각적 표현이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는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제작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보여지는 좋은 이모티콘이 명료하면서도 정리된 디자인으로서 시지각 차원에서 기준으로 검토와 점검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SNS 어플리케이션 중 최대 이용자인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대상으로 표현요소와 표현유형에 따라 사례 분석을 실시했다. 각 표현유형에 따라 대표하는 5가지 이모티콘에 대해 게슈탈트 시지각 법칙을 바탕으로 한 ‘일관성’, ‘간결성’,‘친숙성’, ‘주목성’에 따라 사용자의 선호도를 온라인 설문 조사한 뒤, 앞의 사례 분석과 비교 분석한다.

      본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이론적 배경으로 이모티콘의 개념과 표현유형, 게슈탈트 시지각 법칙의 개념과 종류를 국내·국외 논문 및 문헌·간행물을 통해 이론적 고찰을 정리하였다.
      두 번째, 국내 SNS 중 카카오톡 이모티콘 중 5가지 표현유형을 대표하는 각 이모티콘을 판매순에 따라 선정하여 이모티콘이 가지고 있는 표현요소와 표현유형을 사례 분석하였다.
      세 번째, 웹사이트를 통한 자기기입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이모티콘 표현유형에 대한 선호도를 게슈탈트 시지각 법칙을 바탕으로 ‘일관성’, ‘간결성’, ‘친숙성’, ‘주목성’에 따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이모티콘 표현유형을 대표하는 각각의 이모티콘에서 사용된 캐릭터의 얼굴형은 둥근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모티콘의 체형은 둥근형과 역삼각형이 주로 사용되었다. 한편, 색 요소 중 색조는 밝거나 연한 색조가 많이 사용되었으며, 색상은 흰색, 빨강, 노랑 순으로 주된 컬러로 사용되었다. 한편, 보조요소로는 하트, 반짝임, 눈물이 주로 사용되고 있었다.
      두 번째, 게슈탈트 시지각 법칙의 특성에 해당하는 일관성과 주목성은 이모티콘을 중간형이나 사실형, 극단순형으로 나타내었을 때,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한편, 간결성과 친숙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는 통일성을 갖추면서 한 그룹으로 보여지거나, 각각의 요소가 시각적으로 쉽게 인지될 수 있는 특징을 보였다.
      하지만, 게슈탈트 시지각 법칙에 따른 이모티콘의 표현유형 선호도에 대한 연구로 시사하는 바가 있으나 다음과 같은 한계점이 있다.
      첫 번째, 이모티콘 플랫폼 중 카카오톡으로 한정한 상태에서 진행하였기 때문에, 다른 SNS 커뮤니케이션 이모티콘에 대한 연구를 통한 비교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두 번째, 표본의 수가 적고, 특정 세대에 다소 집중된 연구였기 때문에, 후속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세대에 따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이모티콘을 제작할 시 효과적이면서 시지각 측면에서 효율적인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이론적인 바탕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향후 나날이 발전하는 이모티콘 디자인 연구와 발전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이다.
      번역하기

      디지털 기기의 발전으로 인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가 등장하면서 커뮤니케이션방식이 급속하게 변화하는 시대이다. 특히, 현대인들에게 스마트기기는 일상에서 필수불가결한 대표적...

      디지털 기기의 발전으로 인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가 등장하면서 커뮤니케이션방식이 급속하게 변화하는 시대이다. 특히, 현대인들에게 스마트기기는 일상에서 필수불가결한 대표적인 도구가 되면서 원거리에서도 메시지를 통한 정보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편리한 기능으로 인해 점점 사용이 많아지면서 비대면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해지는 가운데, 기능적이면서 정보적인 성격이 강조되는 현상이 늘어났다. 기존의 대면 커뮤니케이션으로 파악할 수 있었던 화자의 행동이나 표정을 통한 감성적 성격의 메시지 전달 기능은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등장한 방법으로 이모티콘은 대면 커뮤니케이션에서 알 수 있었던 감정 전달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인해 사용의 빈도가 증가하였다. 이제는 감정 전달의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써 다양한 형태로 발전된 이모티콘은 간단하게 활자를 조합한 간단한 표정부터 다양하면서도 개성있는 캐릭터로 감정을 표현하는 유형의 이모티콘도 나오게 되었다. 더 나아가 이에 그치지 않고, 조금 더 구체적인 상황이나 감정을 세분화하여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캐릭터 외적인 요소로 텍스트 및 보조적인 요소들까지도 더해져 점점 복잡해지고 있다. 하지만, 이모티콘에서 나타나는 여러 요소들이 증가하면서 형태가 점차적으로 복잡해지고, 스타일이 다양하게 되면서 본연의 기능인 전달하고자 하는 감정 메시지와 이모티콘의 시각적 표현이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는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제작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보여지는 좋은 이모티콘이 명료하면서도 정리된 디자인으로서 시지각 차원에서 기준으로 검토와 점검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SNS 어플리케이션 중 최대 이용자인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대상으로 표현요소와 표현유형에 따라 사례 분석을 실시했다. 각 표현유형에 따라 대표하는 5가지 이모티콘에 대해 게슈탈트 시지각 법칙을 바탕으로 한 ‘일관성’, ‘간결성’,‘친숙성’, ‘주목성’에 따라 사용자의 선호도를 온라인 설문 조사한 뒤, 앞의 사례 분석과 비교 분석한다.

      본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이론적 배경으로 이모티콘의 개념과 표현유형, 게슈탈트 시지각 법칙의 개념과 종류를 국내·국외 논문 및 문헌·간행물을 통해 이론적 고찰을 정리하였다.
      두 번째, 국내 SNS 중 카카오톡 이모티콘 중 5가지 표현유형을 대표하는 각 이모티콘을 판매순에 따라 선정하여 이모티콘이 가지고 있는 표현요소와 표현유형을 사례 분석하였다.
      세 번째, 웹사이트를 통한 자기기입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이모티콘 표현유형에 대한 선호도를 게슈탈트 시지각 법칙을 바탕으로 ‘일관성’, ‘간결성’, ‘친숙성’, ‘주목성’에 따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이모티콘 표현유형을 대표하는 각각의 이모티콘에서 사용된 캐릭터의 얼굴형은 둥근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모티콘의 체형은 둥근형과 역삼각형이 주로 사용되었다. 한편, 색 요소 중 색조는 밝거나 연한 색조가 많이 사용되었으며, 색상은 흰색, 빨강, 노랑 순으로 주된 컬러로 사용되었다. 한편, 보조요소로는 하트, 반짝임, 눈물이 주로 사용되고 있었다.
      두 번째, 게슈탈트 시지각 법칙의 특성에 해당하는 일관성과 주목성은 이모티콘을 중간형이나 사실형, 극단순형으로 나타내었을 때,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한편, 간결성과 친숙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는 통일성을 갖추면서 한 그룹으로 보여지거나, 각각의 요소가 시각적으로 쉽게 인지될 수 있는 특징을 보였다.
      하지만, 게슈탈트 시지각 법칙에 따른 이모티콘의 표현유형 선호도에 대한 연구로 시사하는 바가 있으나 다음과 같은 한계점이 있다.
      첫 번째, 이모티콘 플랫폼 중 카카오톡으로 한정한 상태에서 진행하였기 때문에, 다른 SNS 커뮤니케이션 이모티콘에 대한 연구를 통한 비교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두 번째, 표본의 수가 적고, 특정 세대에 다소 집중된 연구였기 때문에, 후속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세대에 따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이모티콘을 제작할 시 효과적이면서 시지각 측면에서 효율적인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이론적인 바탕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향후 나날이 발전하는 이모티콘 디자인 연구와 발전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2
      • 3. 연구 범위 및 방법 2
      • Ⅱ. 이론적 배경 5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2
      • 3. 연구 범위 및 방법 2
      • Ⅱ. 이론적 배경 5
      • 1. 이모티콘 5
      • 가. 이모티콘 개념 고찰 5
      • 나. 이모티콘의 종류 7
      • 다. 이모티콘 표현요소 12
      • 라. 이모티콘 표현유형 17
      • 2. 시지각 19
      • 가. 시지각 19
      • 나. 게슈탈트 시지각 법칙 20
      • 다. 게슈탈트 시지각 법칙 관련 선행연구 27
      • 라.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한 시지각 요소 추출 29
      • Ⅲ. 이모티콘 표현유형별 사례 분석 33
      • 1. 분석범위 및 기준 33
      • 2. 분석 방법 34
      • 3. 분석 결과 34
      • Ⅳ. 시지각 요인에 따른 이모티콘 표현유형별 인지 차이 38
      • 1. 연구 모형 및 가설 설정 38
      • 가. 연구모형 38
      • 나. 연구 문제 및 가설 설정 39
      • 2. 설문조사 방법 40
      • 가. 설문 문항의 구성 40
      • 나. 조사기간 42
      • 다. 조사대상 42
      • 라. 분석방법 43
      • 3. 설문조사 결과 43
      • 가. 인구통계학적 분석 43
      • 나. 측정 도구의 신뢰도 44
      • 다. 이모티콘 표현유형에 따른 얼굴형, 체형, 색 인지 45
      • 라. 이모티콘 표현유형에 따른 시지각 요인 차이 46
      • 마. 가설 검증 및 결과 요약 50
      • 바. 사례 분석과 선호도 조사의 비교분석 50
      • Ⅴ. 결론 53
      • 참고문헌 55
      • 설문지 57
      • Abstract 6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