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논문에서는 도심공동화의 원인과 심각성을 재조명하고,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도시 구조 이론을 접목하여 분석함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도심공동화에 대한 분석 후 실질적 사례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562406
2010
Korean
350
학술저널
30-72(4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논문에서는 도심공동화의 원인과 심각성을 재조명하고,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도시 구조 이론을 접목하여 분석함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도심공동화에 대한 분석 후 실질적 사례인...
이 연구논문에서는 도심공동화의 원인과 심각성을 재조명하고,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도시 구조 이론을 접목하여 분석함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도심공동화에 대한 분석 후 실질적 사례인 대전광역시의 현황을 이론적으로 다루었다. 도심노후화와 도심공동화는 도시가 성장하는 과정 속에서 필수불가결한 과정이다. 뿐만 아니라 도심공동화 현상은 거듭되는 도심의 악순환을 발생시켜 도시의 불균형적인 성장을 유도하므로 개선될 필요가 있기에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론적 틀로 이해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므로 도심공동화의 문제와 시행되고 있는 정책의 고찰을 통해 도심공동화가 해결될 수 있는 방향성을 모색해 보도록 한다.
도심공동화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한 가지는 도시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도시생태학적 과정이 원인이고, 또 한 가지는 해당 도시가 가지는 특수한 성질에 의한 것이다. 도심공동화가 문제가 되는 이유는 도심의 경제적 기능을 상실하게 되어 주거기능을 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신도심과의 양극화를 조성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도심공동화가 문제가 되는 이유는 도시마다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그 해결책도 다양하여 정책적 접근이 어려워 거듭되어 악화되는 현상을 보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도심의 경제적 기능을 회복하고 이를 통해 주거 기능 회복을 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구도심과 신도심의 균형을 회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하지만 문제의 다양한 원인에 따른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도심공동화의 이해가 요구되기에 내부구조에 대한 이론, 즉 동심원구조와 입찰지대이론을 통하여 도심공동화 현상을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도심공동화 현상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 패전광역시’의 현황을 조사하고, 그 사례를 내부구조론에 따라 분석해 봄으로써 도심공동화 현상을 분석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해 보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현재 시행되고 있는 도시재개발 정책을 이해하고, 문제점을 살펴봄으로써 도심공동화 문제의 접근방식에 대해 고찰해 봄으로써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고찰해 보는 것으로 마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