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Porphyromonas gingivalis 자극된 RAW 264.7 cells에서 Weissella cibaria CMU의 항염 효과 = Anti-inflammatory effect of Weissella cibaria CMU in Porphyromonas gingivalis-stimulated RAW 264.7 cel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546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Weissella cibaria CMU (oraCMU), a probiotic strain isolated from the saliva of healthy children, on RAW 264.7 cells stimulated by Porphyromonas gingivalis (P. gingivalis). RAW 264.7 cells were treated with oraCMU at multiplicities of infection (MOI) of 0.1, 1, 10, and 100, and cell viability was assessed using an MTS assay. Nitric oxide (NO) production was measured using NO assay after treating RAW 264.7 cells with oraCMU at MOIs of 0.1, 1, and 10, followed by stimulation with P. gingivalis.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 was used to measure mRNA levels of the pro-inflammatory cytokines interleukin (IL)-1β and IL-6. To investigate the signaling pathway of 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expression, Western blotting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nuclear translocation of NF-κB and clarify the anti-inflammatory mechanism of oraCMU. The MTS assay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in cell viability at MOIs of 0.1, 1, 10, and 100. NO assay demonstrated that oraCMU treatment inhibited NO production in P. gingivalis-stimulated RAW 264.7 cells. Additionally, qRT-PCR analysis revealed reduced mRNA expression of IL-1β and IL-6 in P. gingivalis-stimulated RAW 264.7 cells treated with oraCMU. Western blot analysis further confirmed that oraCMU treatment inhibited NF-κB nuclear transloc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oraCMU exerts anti-inflammatory effects on P. gingivalis-stimulated RAW 264.7 cells and may be a potential candidate for the development of food and pharmaceutical products for periodontitis treatment.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Weissella cibaria CMU (oraCMU), a probiotic strain isolated from the saliva of healthy children, on RAW 264.7 cells stimulated by Porphyromonas gingivalis (P. gingivalis). RAW 264.7 cell...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Weissella cibaria CMU (oraCMU), a probiotic strain isolated from the saliva of healthy children, on RAW 264.7 cells stimulated by Porphyromonas gingivalis (P. gingivalis). RAW 264.7 cells were treated with oraCMU at multiplicities of infection (MOI) of 0.1, 1, 10, and 100, and cell viability was assessed using an MTS assay. Nitric oxide (NO) production was measured using NO assay after treating RAW 264.7 cells with oraCMU at MOIs of 0.1, 1, and 10, followed by stimulation with P. gingivalis.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 was used to measure mRNA levels of the pro-inflammatory cytokines interleukin (IL)-1β and IL-6. To investigate the signaling pathway of 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expression, Western blotting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nuclear translocation of NF-κB and clarify the anti-inflammatory mechanism of oraCMU. The MTS assay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in cell viability at MOIs of 0.1, 1, 10, and 100. NO assay demonstrated that oraCMU treatment inhibited NO production in P. gingivalis-stimulated RAW 264.7 cells. Additionally, qRT-PCR analysis revealed reduced mRNA expression of IL-1β and IL-6 in P. gingivalis-stimulated RAW 264.7 cells treated with oraCMU. Western blot analysis further confirmed that oraCMU treatment inhibited NF-κB nuclear transloc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oraCMU exerts anti-inflammatory effects on P. gingivalis-stimulated RAW 264.7 cells and may be a potential candidate for the development of food and pharmaceutical products for periodontitis treat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건강한 어린이의 타액에서 분리한 프로바이오틱스 균주인 Weissella cibaria CMU (oraCMU)가 Porphyromonas gingivalis (P. gingivalis)로 자극된 RAW 264.7 세포에 미치는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RAW 264.7 세포에 oraCMU를 multiplicity of infection (MOI) 0.1, 1, 10, 100으로 처리하여 MTS assay를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Nitric oxide (NO) 생성량을 측정하기 위해 RAW 264.7 세포에 oraCMU를 MOI 0.1, 1, 10으로 처리한 후 P. gingivalis로 자극하여 NO assay를 진행하였다. Interleukin (IL)-1β및 IL-6 pro-inflammatory cytokines의 발현은 qRT-PCR을 시행하여 mRNA 양을 측정하였다. 신호전달계에서 염증성 전사인자의 발현 경로를 확인하기 위하여 western blot을 통해 핵 내로의 NF-κB 이동을 확인하여 oraCMU의 항염증 기전을 연구하였다. MTS assay 결과 MOI 0.1, 1, 10, 100에서 세포 생존율은 유의한 변화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NO assay를 통해 P. gingivalis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oraCMU 처리에 의해 NO 생성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qRT-PCR을 통해 IL-1β와 IL-6의 mRNA 양을 측정한 결과 P. gingivalis에 의해 염증 반응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oraCMU 처리에 의해 pro-inflammatory cytokines의 발현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western blot 결과 핵 내의 NF-κB의 단백질 발현 또한 oraCMU 처리에 의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P. gingivalis에 의해 염증반응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oraCMU는 항염증 효과를 보였으며, 이를 토대로 향후 식‧의약품 소재 개발에서 치주염 개선 가능성이 있는 후보물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건강한 어린이의 타액에서 분리한 프로바이오틱스 균주인 Weissella cibaria CMU (oraCMU)가 Porphyromonas gingivalis (P. gingivalis)로 자극된 RAW 264.7 세포에 미치는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

      본 연구는 건강한 어린이의 타액에서 분리한 프로바이오틱스 균주인 Weissella cibaria CMU (oraCMU)가 Porphyromonas gingivalis (P. gingivalis)로 자극된 RAW 264.7 세포에 미치는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RAW 264.7 세포에 oraCMU를 multiplicity of infection (MOI) 0.1, 1, 10, 100으로 처리하여 MTS assay를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Nitric oxide (NO) 생성량을 측정하기 위해 RAW 264.7 세포에 oraCMU를 MOI 0.1, 1, 10으로 처리한 후 P. gingivalis로 자극하여 NO assay를 진행하였다. Interleukin (IL)-1β및 IL-6 pro-inflammatory cytokines의 발현은 qRT-PCR을 시행하여 mRNA 양을 측정하였다. 신호전달계에서 염증성 전사인자의 발현 경로를 확인하기 위하여 western blot을 통해 핵 내로의 NF-κB 이동을 확인하여 oraCMU의 항염증 기전을 연구하였다. MTS assay 결과 MOI 0.1, 1, 10, 100에서 세포 생존율은 유의한 변화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NO assay를 통해 P. gingivalis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oraCMU 처리에 의해 NO 생성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qRT-PCR을 통해 IL-1β와 IL-6의 mRNA 양을 측정한 결과 P. gingivalis에 의해 염증 반응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oraCMU 처리에 의해 pro-inflammatory cytokines의 발현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western blot 결과 핵 내의 NF-κB의 단백질 발현 또한 oraCMU 처리에 의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P. gingivalis에 의해 염증반응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oraCMU는 항염증 효과를 보였으며, 이를 토대로 향후 식‧의약품 소재 개발에서 치주염 개선 가능성이 있는 후보물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