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민속 분야의 검토와 전망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민속학에서 다루어지는 ‘사회’의 개념이 무엇이며 범위가 어디까지인지를 가늠하면서 한국민속학 연구사를 중심으로 사회민속을 고찰하는 내용과 이러한 연구사적 검토를 바탕으로 한국민속학에서 사회민속과 관련된 이제까지의 논의가 가질 수 있는 문제점과 앞으로의 전망에 대한 내용으로 요약할 수 있다.
      한국민속학에서 사회는 어떠한 민속현상이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는 마을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마을을 구성하고 있는 좀 더 작은 집단인 마을의 여러 조직, 친족집단, 가족 등이 이러한 민속현상을 지속해 주는 원동력이 된다. 그러므로 사회민속은 한국민속학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마을공동체를 이해하는데 가장 기초적이고 필수적인 분야이다. 다시 말해서 어떠한 민속현상이라도 그것을 전승하는 전승주체가 있기 마련인데 그것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없이 밖으로 드러난 민속현상만을 보는 것은 속이 비어있는 껍데기를 살펴보는 것에 불과한 것이다. 즉 모든 민속현상의 이면에는 민속의 주체인 어떠한 집단과 관련된 다양한 측면의 사회민속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민속학의 여러 영역 중에서 사회민속 분야는 여전히 민속학에서 가장 핵심적이며 기초적인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민속학에서 현지조사는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현지조사를 하게 되면 민속학의 다른 영역을 조사하기 전에 현지조사지의 구성조직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회민속 조사를 우선적으로 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현지조사가 존재하는 한 사회민속은 여전히 중요한 요소로 자리매김 하게 된다. 다만 어디서 현지조사를 하는가에 따라서 사회민속에 대한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결국 마을의 민속을 다루든지 도시 공간 속의 민속을 다루든지 사회공동체가 형성되었다면 그 속에서 전승되고 있는 민속에 대한 관심은 지속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민속학에서 다루어지는 ‘사회’의 개념이 무엇이며 범위가 어디까지인지를 가늠하면서 한국민속학 연구사를 중심으로 사회민속을 고찰하는 내용과 이러한 연구사적 검토를 바...

      본 논문은 민속학에서 다루어지는 ‘사회’의 개념이 무엇이며 범위가 어디까지인지를 가늠하면서 한국민속학 연구사를 중심으로 사회민속을 고찰하는 내용과 이러한 연구사적 검토를 바탕으로 한국민속학에서 사회민속과 관련된 이제까지의 논의가 가질 수 있는 문제점과 앞으로의 전망에 대한 내용으로 요약할 수 있다.
      한국민속학에서 사회는 어떠한 민속현상이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는 마을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마을을 구성하고 있는 좀 더 작은 집단인 마을의 여러 조직, 친족집단, 가족 등이 이러한 민속현상을 지속해 주는 원동력이 된다. 그러므로 사회민속은 한국민속학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마을공동체를 이해하는데 가장 기초적이고 필수적인 분야이다. 다시 말해서 어떠한 민속현상이라도 그것을 전승하는 전승주체가 있기 마련인데 그것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없이 밖으로 드러난 민속현상만을 보는 것은 속이 비어있는 껍데기를 살펴보는 것에 불과한 것이다. 즉 모든 민속현상의 이면에는 민속의 주체인 어떠한 집단과 관련된 다양한 측면의 사회민속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민속학의 여러 영역 중에서 사회민속 분야는 여전히 민속학에서 가장 핵심적이며 기초적인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민속학에서 현지조사는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현지조사를 하게 되면 민속학의 다른 영역을 조사하기 전에 현지조사지의 구성조직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회민속 조사를 우선적으로 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현지조사가 존재하는 한 사회민속은 여전히 중요한 요소로 자리매김 하게 된다. 다만 어디서 현지조사를 하는가에 따라서 사회민속에 대한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결국 마을의 민속을 다루든지 도시 공간 속의 민속을 다루든지 사회공동체가 형성되었다면 그 속에서 전승되고 있는 민속에 대한 관심은 지속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largely focuses on two main contents. Firstly, the definition and sphere of “society” in the academic field of folklore are broadly described. Secondly, some possible future issues and prospects of ongoing arguments concerning social folklore are discussed.
      In Korean folklore, society generally includes all sorts of villages across the country where any forms of folkloric phenomena are still transmitted. Also these villages normally consist of much smaller scaled social units, such as various village organizations, kinship groups, families, etc. Hence, social folklore can be regarded as the most elementary and essential field in order to understand village communities in Korean folklore. In other words, any kind of folkloric phenomena is maintained and handed down by so called transmitting main groups in the village. For this reason, a systematic investigation of these social organizations precedes the analysis of diverse folk culture in the village.
      In Korean folklore, the field of social folklore is relatively neglected compared to other fields. However, new emerging issues of folklore today like urban folklore and folklore of oversea Koreans will possibly boost interest in social folklore and make it more popular. Furthermore fieldwork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alm in folklore. In the course of fieldwork social folklore is researched prior to other spheres of folklore in order to grasp the basic and precise structure of the place. Therefore, the field of social folklore is enormously valuable and strongly connected to folkloric fieldwork. Regardless of either villages or any kind of urban places, in established social communities the growing interest in transmitted folklore will surely arise.
      번역하기

      This article largely focuses on two main contents. Firstly, the definition and sphere of “society” in the academic field of folklore are broadly described. Secondly, some possible future issues and prospects of ongoing arguments concerning social ...

      This article largely focuses on two main contents. Firstly, the definition and sphere of “society” in the academic field of folklore are broadly described. Secondly, some possible future issues and prospects of ongoing arguments concerning social folklore are discussed.
      In Korean folklore, society generally includes all sorts of villages across the country where any forms of folkloric phenomena are still transmitted. Also these villages normally consist of much smaller scaled social units, such as various village organizations, kinship groups, families, etc. Hence, social folklore can be regarded as the most elementary and essential field in order to understand village communities in Korean folklore. In other words, any kind of folkloric phenomena is maintained and handed down by so called transmitting main groups in the village. For this reason, a systematic investigation of these social organizations precedes the analysis of diverse folk culture in the village.
      In Korean folklore, the field of social folklore is relatively neglected compared to other fields. However, new emerging issues of folklore today like urban folklore and folklore of oversea Koreans will possibly boost interest in social folklore and make it more popular. Furthermore fieldwork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alm in folklore. In the course of fieldwork social folklore is researched prior to other spheres of folklore in order to grasp the basic and precise structure of the place. Therefore, the field of social folklore is enormously valuable and strongly connected to folkloric fieldwork. Regardless of either villages or any kind of urban places, in established social communities the growing interest in transmitted folklore will surely aris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민속학에서 사회민속의 검토
      • Ⅲ. 한국민속학에서 사회민속의 전망
      • Ⅳ. 결론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민속학에서 사회민속의 검토
      • Ⅲ. 한국민속학에서 사회민속의 전망
      • Ⅳ.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