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滿洲(長白山) 主人論’ : ‘만주 및 백두산의 역사적 주체’에 대한 중국의 인식론 = The Master Logic of Manchuria and Mountain Baekdu in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817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2000s, Chinese dynasties have ruled over Mt. Baekdu, so that ‘the culture of Mt. Baekdu’ belongs to the Chinese culture. This claim is called ‘the Baekdu Mountain Cultural Theory’. In recent years, China has been paying attention to ...

      Since the 2000s, Chinese dynasties have ruled over Mt. Baekdu, so that ‘the culture of Mt. Baekdu’ belongs to the Chinese culture. This claim is called ‘the Baekdu Mountain Cultural Theory’. In recent years, China has been paying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Baekdu Mountain and Sushen(肅愼) nation. As a result, it has been argued that the Sushen(肅愼) nation was ‘the master of Manchuria and its center, Baekdu Mountain’. According to this logic, the Sushen(肅愼) nations was formed in Baekdu Mountain as a living space, and the dynasties they built have worshiped and controlled Baekdu Mountain. In this process, the Sushen(肅愼) nations strengthened the consciousness of the homeland about Manchuria. Therefore, Chinese scholars argue the master of Manchu and its core, Baekdu Mountain is a Sushen(肅愼) nations.
      Furthermore, in China during the ‘12th Five-Year Plan’(2011∼2015), development strategies are being pursued to promote industry by utilizing historical culture and natural ecological resources of Mt. Baekdu. The strategy is ‘the Baekdu Mountain Culture Construction Project’. To this end, China is promoting various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projects by linking Baekdu Mountain and Manchu nation(滿族). This flow can be defined as ‘Post Northeast project(東北工程)’. However, this logic ignores the historical attribution rights and ethnic sentiments of neighboring countries to Manchuria and Mt. Baekdu. And it reveals the cultural imperialist tendencies to monopolize Baekdu Mountain, or ‘Neo-Sinocentrism(新中華主義)’.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00년대부터 중국에서는 “중국의 역대 왕조가 장백산을 관할해왔으므로 ‘長白山文化’는 中華 문화권에 속한다.”는 ‘長白山文化論’을 본격적으로 제기하고 있다. 그 결과 중국 동북 ...

      2000년대부터 중국에서는 “중국의 역대 왕조가 장백산을 관할해왔으므로 ‘長白山文化’는 中華 문화권에 속한다.”는 ‘長白山文化論’을 본격적으로 제기하고 있다. 그 결과 중국 동북 지역에서는 백두산이 뜨거운 話頭로 떠오르고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백두산 담론이 숙신계 민족의 역사적 역할 및 위상 논리와 맞물리면서, 장백산문화의 귀속권 차원을 넘어 “시공간적으로 만주와 그 핵심인 장백산의 역사적 주인이 누구였느냐?”라는 지역 문화 이론으로까지 비약되고 있다. 이른바 ‘滿洲(長白山) 主人論’이 그것이다. 이것은 肅愼-勿吉-挹婁-靺鞨-女眞-滿洲族으로 이어지는 肅愼系 민족들이 장백산을 터전으로 삼아 형성되었고, 이들이 건국한 왕조들이 장백산을 숭배하고 관할해왔으며, 이 과정에서 만주에 대한 故土 의식을 강화시켰으므로, 만주와 그 핵심인 장백산의 주인은 숙신계 민족이다.”라는 주장이다.
      더 나아가 ‘제12차 5개년 계획’ 기간(2011∼2015)에는 백두산의 역사 문화 및 자연 생태 자원을 동북 지역 산업 진흥의 추동력으로 삼아야 한다는 경제 논리가 부상했다. 이것의 일환으로 ‘白頭山工程’이라고 할 수 있는 ‘長白山文化建設工程’이 추진되고 있다. 이 공정과 맥을 같이 해서 중국 동북 지역에서는 백두산 및 숙신계 민족과 관련된 다양한 역사 문화 관광 사업들이 추진되면서, ‘만주(장백산) 주인론’은 실생활에서 체현되고 있다. 이제 중국 동북 지역에서는 단순히 斷代史 중심의 역사 귀속권을 논하는 ‘동북공정’의 차원을 넘어, 다양한 역사・문화・민족・경제 논리와 素材가 응축된 ‘동북공정의 새로운 패러다임’, 즉 ‘포스트(Post) 동북공정’이 펼쳐지고 있는 셈이다.
      그런데 ‘만주(장백산) 주인론’에서는 숙신계 민족이 만주 및 그 핵심인 장백산의 주인이라 하여, 만주 및 백두산에 대한 주변국의 역사적 귀속권이나 민족적 정서를 무시한 채 중국 특유의 ‘문화 독점주의’ 혹은 ‘문화 영토 제국주의’의 냄새를 풍기고 있다. 심지어 거기에서는 전통 시대의 중화주의로 회귀하려는 새로운 국가적 움직임, 즉 ‘新中華主義’의 성향마저 드러내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정민, "청조 발상지 악다리성(鄂多理城) 논의에 대한 재검토–‘둔화설’의 타당성을 중심으로–" 동북아역사재단 (52) : 287-325, 2016

      2 윤휘탁, "중국의 ‘백두산의 중국화’ 전략" 동북아역사재단 (48) : 197-254, 2015

      3 윤휘탁, "중국의 ‘백두산공정’ — ‘長白山文化建設工程’에 관한 試論 —" 중국근현대사학회 (78) : 85-120, 2018

      4 이훈, "만주족 이야기: 만주의 눈으로 청 제국사를 새로 읽다" 너머북스 2018

      5 "高麗史 卷3 二十三, 成宗 10年條"

      6 麦德维杰夫, "阿穆爾下游女眞文化的一些發現" (2) : 1984

      7 朱宏啓, "關于對渤海歷史硏究的幾點探討" 4 : 2010

      8 張碧波, "長白山與太伯山考論" (2) : 2002

      9 喩權中, "長白山神話與中國東北諸族的文化取向" (1) : 2003

      10 劉玉民, "長白山滿族人蔘文化與滿族剪紙" (4) : 2002

      1 박정민, "청조 발상지 악다리성(鄂多理城) 논의에 대한 재검토–‘둔화설’의 타당성을 중심으로–" 동북아역사재단 (52) : 287-325, 2016

      2 윤휘탁, "중국의 ‘백두산의 중국화’ 전략" 동북아역사재단 (48) : 197-254, 2015

      3 윤휘탁, "중국의 ‘백두산공정’ — ‘長白山文化建設工程’에 관한 試論 —" 중국근현대사학회 (78) : 85-120, 2018

      4 이훈, "만주족 이야기: 만주의 눈으로 청 제국사를 새로 읽다" 너머북스 2018

      5 "高麗史 卷3 二十三, 成宗 10年條"

      6 麦德维杰夫, "阿穆爾下游女眞文化的一些發現" (2) : 1984

      7 朱宏啓, "關于對渤海歷史硏究的幾點探討" 4 : 2010

      8 張碧波, "長白山與太伯山考論" (2) : 2002

      9 喩權中, "長白山神話與中國東北諸族的文化取向" (1) : 2003

      10 劉玉民, "長白山滿族人蔘文化與滿族剪紙" (4) : 2002

      11 李文生, "長白山槪覽" 吉林人民出版社 2010

      12 劉厚生, "長白山文化論說" 吉林文史出版社 1994

      13 王季平, "長白山志" 吉林文史出版社 1989

      14 陳維, "長白山峻秀群峰的文化解讀" 20 (20): 2003

      15 尹郁山, "長白山史話" 吉林文史出版社 2005

      16 脫脫, "金史 卷35" 上海古籍出版, 上海書店 1986

      17 脫脫, "金史 卷35" 上海古籍出版, 上海書店 1986

      18 脱脱, "金史" 中華書局 1975

      19 楊明谷, "鄂多里城考" (1) : 2006

      20 "遼史 百官志, 聖宗 統和 30年條"

      21 黄任遠, "赫哲那乃阿伊努原始宗教研究" 黑龍江人民出版社 2003

      22 衣保中, "論長白文化的内涵與特色" (6) : 1997

      23 張佳生, "論滿族詩歌對長白山的歌頌" (5) : 2009

      24 董万斋, "論滿族三仙女神話的形成與價値" (3) : 1992

      25 何雨, "論東北滿族民間故事中的母神崇拜" 35 (35): 2015

      26 李自然, "試談淸代的長白山封禪及其特點" 9 (9): 2000

      27 "舊滿洲檔 天聰九年 5月 6日條"

      28 "舊满洲檔 第九册 天總9년條" 故宮博物院 1969

      29 郝慶雲, "肅愼系長白山觀念透析" (4) : 2003

      30 王新第, "略談滿族的匀硯超與舜新業多氏炙尤令奮" (5) : 2000

      31 王松林, "滿淸皇族與生女眞王族源流考" 3 : 2009

      32 汪亭存, "滿族長白山崇拜論析" (4) : 2009

      33 石光偉, "滿族薩滿跳神研究" 吉林文史出版社 1992

      34 實瑋, "滿族第一發祥地斡朵憐故城遺址的發現" (2) : 2002

      35 瀛雲萍, "滿族究竟發源於何地" (2) : 1986

      36 高唯生, "滿族發祥地汗王山" 6 : 2013

      37 劉大志, "滿族族源神話與“滿洲”族稱" (1) : 2007

      38 金成光, "渤海族興衰簡析" 4 : 2010

      39 趙東升, "清皇室發源地及清肇祖探討" (1) : 2003

      40 李健才, "清皇室始祖居地的鄂多里城考" (6) : 2006

      41 範垂政, "清始祖所居鄂多哩城考" (2) : 1985

      42 "淸聖祖實錄 卷36"

      43 "淸太祖高皇帝實錄 卷1" 中華書局 1986

      44 "淸太祖武皇帝實錄 崇德元年(1636)條"

      45 自然, "淸代長白山封禪及其對滿族社會文化的影響" (4) : 2000

      46 李自然, "淸代長白山封禪及其對滿族社會文化的影響" (4) : 2000

      47 李自然, "淸代統治者祭祀長白山的實質是封禪" (3) : 1999

      48 "欽定滿洲祭神祭天典禮(遼海叢書)" 遼瀋書社 1985

      49 "朝鮮王朝實錄 英祖 111卷 44년(1768), 영인본 44책"

      50 "朝鮮王朝實錄 英祖 109卷 43년(1767), 영인본 44책"

      51 孟森, "明清史論著集刊 續編" 中華書局 1986

      52 尹輝鐸, "新中華主義: ‘중화민족 大家庭 만들기’와 한반도" 푸른역사 2006

      53 董万崙, "探索滿文文献,揭開清始祖傳說之謎" (5) : 1999

      54 閆超, "從薩滿敎的崇拜看其生態環保因素" (4) : 2006

      55 "山海經 下冊, 大荒北經 卷十七"

      56 "四庫全書總目" 中華書局 1983

      57 昭摙, "嘯亭雜錄" 中華書局 1980

      58 "吉林省國家安全領導小組朝韓對我國長白山圖謀的調硏報告"

      59 "吉林省人民政府網"

      60 張云樵, "吉林滿族的淵源及衍變考略" (2) : 1992

      61 劉厚生, "古代渤海文化的奇葩" (2) : 1999

      62 趙志忠, "北方民族與薩滿敎" (3) : 2005

      63 趙阿平, "依蘭古城歷史文化內涵探析" (4) : 2009

      64 張佳生, "乾隆時期滿族的民族意識與長白山" (1) : 2009

      65 艾貴生, "中華十大名山 장백산을 찾아서 走進長白山" 中國大百科全書出版社 2004

      66 中國吉林省革命委員會外事辦公室, "中朝,中蘇,中蒙有關條約,協定,議定書滙編"

      67 尹輝鐸, "中國의 東北 文化疆域 認識 考察 - “長白山文化論”을 중심으로" 한국중국학회 (55) : 285-313, 2007

      68 愛新覺羅 恒紹, "一座孕育了民族歷史的長白山" 長白山滿族文化硏究會 6 : 2013

      69 董万崙, "『東北史綱要』中的滿語運用" 黑龍江省滿語研究所 (1) : 1989

      70 馬偉, "“滿洲”:从族名到地名考" (3) : 2013

      71 윤휘탁, "‘포스트(Post) 동북공정’ : 중국 東北邊疆戰略의 새로운 패러다임" 역사학회 (197) : 99-129, 2008

      72 조법종, "‘장백산문화론’의 비판적 검토" 백산학회 (79) : 397-418, 2007

      73 Yoon Hwy-Tak, "China's Northeast Project: Defensive or Offensive Strategy?" 16 (16): 2004

      74 윤휘탁, "China's Northeast Project and Korean History" 한국학중앙연구원 45 (45): 142-171, 2005

      75 宋和平, "<尼山薩滿>與滿族靈魂觀念" 敦化市長白山滿族文化硏究會 6 :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7-15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Historial Association of Soong-sil -> The Historical Association for Soong-Sil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 1.34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