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l now, the emotion of sadness reflected in Sowol’s poetry has been understood as an emotional expression of discontinuous world view. Like the tendency of romanticism in the poetry of 1920s, Sowol’s poetry is composed based on the poet’s pai...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741690
2013
Korean
810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347-374(28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til now, the emotion of sadness reflected in Sowol’s poetry has been understood as an emotional expression of discontinuous world view. Like the tendency of romanticism in the poetry of 1920s, Sowol’s poetry is composed based on the poet’s pai...
Until now, the emotion of sadness reflected in Sowol’s poetry has been understood as an emotional expression of discontinuous world view. Like the tendency of romanticism in the poetry of 1920s, Sowol’s poetry is composed based on the poet’s painful awareness of ‘human being/nature, subject/ object, self/world, individual/society, and civilization/nature.’ However, Sowol does not stop at emotionally expressing a sense of loss for the self from the absurdity of the modern world. Through the medium of sadness, he shows that the origin of the world, which was thought to be lost, can be felt emerging faintly here and there even now. Instead of vaguely longing for an ideal world outside reality to heal the pain, he insists that the sacred essence of life, which is hard to be experienced in daily life, emerges only when one endures all disgrace and pain and attempts to arrive at the saddest moment of reality. The negativity of reality (sadness) is trans- formed from a target that must be conquered to a foundation of happiness and a positive opportunity for joy. Sowol’s ‘Jyoheun Seulpeum (Good Sadness)’ shows the moment of perceptional change when the poet realize the fact that the richness of life, which seemed to have been lost, still subsist as existence. Such reasoning of sadness creates the poetic structure that allows openness of meaning, in which the meaning of binary oppositional concepts are not determined by either side but that the polarity(discontinuity) itself is nullified. Through this unique poetic structure, Sowol’s poetry does not present meanings such as ‘meeting/ parting, happiness/sadness, brightness/darkness, and life/death’ as oppositional to each other but reveals that they mutually embrace each other and form the relationship of ‘one (totality).’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상일, "현대물리학과 한국철학" 고려원 1991
2 오세영, "한의 논리와 그 역설적 의미" 문학사상 12-, 1976
3 김상일, "초공간과 한국문화" 교학연구사 1999
4 이경훈, "청년과 민족 ― 『學之光』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44 : 269-303, 2003
5 이기훈, "일제하 청년담론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6 고석규, "여백의 존재성" 책읽는 사람 1993
7 김윤식, "식민지의 허무주의와 시의 선택" 5 : 1973
8 김우창, "시와 정치 , In 세계의 문학" 겨울 1979
9 김상일, "수운과 화이트헤드" 지식산업사 2001
10 구중서, "소월의 의식세계, 시정신에 대한 확인, In 미발표소월시집" 중앙일보사 1978
1 김상일, "현대물리학과 한국철학" 고려원 1991
2 오세영, "한의 논리와 그 역설적 의미" 문학사상 12-, 1976
3 김상일, "초공간과 한국문화" 교학연구사 1999
4 이경훈, "청년과 민족 ― 『學之光』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44 : 269-303, 2003
5 이기훈, "일제하 청년담론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6 고석규, "여백의 존재성" 책읽는 사람 1993
7 김윤식, "식민지의 허무주의와 시의 선택" 5 : 1973
8 김우창, "시와 정치 , In 세계의 문학" 겨울 1979
9 김상일, "수운과 화이트헤드" 지식산업사 2001
10 구중서, "소월의 의식세계, 시정신에 대한 확인, In 미발표소월시집" 중앙일보사 1978
11 서진영, "소월의 '魂'과 그 공동체적 의미 고찰 - 시론 <詩魂>을 중심으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7) : 69-87, 2006
12 윤영천, "소월시의 현실인식, In 한국근대문학사론" 한길사 1982
13 김준오, "소월 시정과 원초적 인간-소월의 감정의식론, In 김소월 연구" 새문사 1982
14 이명재, "소월 시의 심층과 시대인식-소월의 재조명 , In 식민지 시대의 시인연구" 시인사 1985
15 김태훈, "소월 시에 나타난 시간성의 의미 - 「먼 후일」을 중심으로 -" 우리말글학회 51 : 201-220, 2011
16 신범순, "샤머니즘의 근대적 계승과 시학적 양상-김소월을 중심으로," 시안사 18 : 37-53, 2002
17 김행숙, "문학이란 무엇이었는가" 소명 2005
18 신범순, "노래의 상상계-‘수사’와 존재생태기호학"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19 김정수, "김억 시론에 나타난 ‘詩魂의 恍惚’의 의미와 한계" 대동문화연구원 (78) : 289-315, 2012
20 전도현, "김소월의 시작방법과 시의식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21 신범순, "김소월의 <시혼>과 자아의 원근법, In 20세기 한국시론 1" 글누림 2006
22 오세영, "김소월, 그 삶과 문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23 김소월, "김소월 전집"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24 송희복, "김소월 연구" 태학사 1994
25 최동호, "김소월 시의 현재성-죽음의 시대와 혼의 형식, In 현대시의 정신사" 열음사 1985
26 신범순, "김소월 시의 여성주의적 이상향과 민요시적 성과 2"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33 : 237-281, 2008
27 신범순, "김소월 시의 여성주의적 이상향과 민요시적 성과 1"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32 : 2007
28 남기혁, "김소월 시의 근대와 반근대 의식" 한국시학회 (11) : 219-262, 2004
29 남기혁, "김소월 시에 나타난 경계인의 내면 풍경-새로 발굴된 초기시 세 편을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31) : 171-210, 2004
30 김옥성, "김소월 시에 나타난 ‘영혼’과 ‘꿈’의 역학" 한국현대문학회 (15) : 162-189, 2004
31 김정현, "김소월 시에 나타나는 '영혼'의 의미 연구 : 구술성의 '열린 체계'와 '기억'의 재현양상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32 이영섭, "김소월 시 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88
33 "개벽"
34 김우창, "감정주의-김소월의 슬픔 , In 궁핍한 시대의 시인" 민음사 1977
35 권희철,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1920년대 문학의 문답 지형도 - ‘불축제’ 계열시와 김소월 시의 관련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29) : 141-173, 2009
36 박숙자, "‘조선적 감정’이라는 역설" 현대문학이론학회 (29) : 49-64, 2006
37 소래섭, "1920~30년대 문학에 나타난 후각의 의미 ― 소월, 백석, 이상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81) : 69-93, 2009
아기장수전설의 서사가지(narrative tree)와 역사적 트라우마 극복의 선택지, 그리고 드라마〈각시탈〉의 아기장수전설 새로 쓰기
〈오륜가〉와 출처(出處)의 두 얼굴 : 주세붕의〈오륜가〉와 박인로의〈오륜가〉의 거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1998-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9 | 0.79 | 0.7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2 | 0.72 | 1.376 | 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