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鄕歌의 祭儀歌的 性格 硏究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yang-ga as a ritual so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1335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향가의 제의가적 성격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신라 향가는 '羅人尙鄕歌者尙矣盖詩頌之類歟故往往能感動天地鬼神者 非一'이라는 짤막한 논평에서 보듯 연원이 매우 오래되고 천지귀신을 감동시킬 수 있는 신비한 힘을 지닌 노래로 오랜 기간에 걸쳐 신라인들의 많은 사랑을 받아왔다. 향가가 지니고 있는 이러한 독특한 특징은 흔히 향가의 마력, 주술성으로 이야기되었고 향가는 마력을 지닌 주가로 이해되어 왔다. 향가가 지니고 있는 이러한 주술적 힘은 향가가 제의에서 불린 제의가였다는 데 기인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향가에 주술성이 있다거나 향가가 제의에서 불린 제의가였다는 사실은 지적하면서도 정작 향가가 제의에서 어떠한 기능을 했는지에 대해서는 만족할 만한 해명을 하지 못하였다. 제의에서 불린 제의가와 주술적 성격의 노래인 주가를 동일시하여 제의에서 불린 노래 모두를 주가로 간주한 것이라든가 의례를 동반하지 않고 불린 노래까지를 모두 주가로 규정한 것이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선학들이 보여준 대표적인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제의나 주가에 대한 명확한 이해 없이 향가의 성격을 규정한 데서 비롯된 것이라 하겠다. 본 논문은 지금까지의 연구가 보여준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시도의 하나로 출발하였다.
      향가의 주술성은 향가가 제의에서 불려진 노래라는 데 근거하고 있다. 향가는 제의에서 발생하고 제의에서 불렸을 것으로 추정되는 노래이다. 따라서 향가의 실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 제의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향가가 불려진 당시의 제의의 모습이나 향가의 제의 발생설을 뒷받침해 줄만한 역사 기록은 존재하지 않는다. 때문에 향가가 향유되던 모습이나 향가의 연행방식을 재구하는 작업의 상당부분은 향가가 수록되어 있는 서사의 분석에 의존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제의문맥으로 해석되는 서사에 대한 정밀한 분석을 바탕으로 향가와 제의의 관계 및 제의에서의 향가의 기능을 밝혀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초기의 향가 작품으로 알려진 유리왕대 <兜率歌>와 <薯童謠>를 분석해 보았다. <도솔가>는 가사는 전하지 않지만 창작과 관련한 기록이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에 남아 있어 노래의 성격을 재구해 볼 수 있다. 위 기록들을 참고해 보면 <도솔가>는 대규모로 행해진 국가적 제의에서 불린 제의가였다. 한편 <서동요>는 서사 문맥에서 떼어 놓고 노래만을 분석해 보면 영웅의 탄생을 내용으로 하는 노래로 영웅의 탄생과 관계된 제의에서 불린 제의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초기 향가 작품들이 보여주는 이러한 제의가적 성격은 향가의 발생이 제의와 관련되며 향가는 바로 이러한 제의가적 성격을 바탕으로 하는 노래임을 알게 해 준다.
      구체적인 작품 분석에 들어가서는 <獻花歌>, <海歌>, <處容歌>, <安民歌>, <兜率歌>를 분석해 보았다. 이들 제의 문맥으로 해석되는 향가 배경설화의 분석에서는 제의가 표상화되는 방식과 등장인물이 행하고 있는 제의에서의 기능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 향가 배경설화의 서사는 사건의 시공간에 관한 기술, 주인공이 신격을 획득하는 과정에 관한 기술, 신격을 획득한 주인공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 관한 기술이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건의 시공간에 관한 기술은 설화의 시공간이 제의의 시공간임을 나타내며, 주인공이 신격을 획득하는 과정에 관한 기술은 주인공의 입사제의의 광경을 나타내며, 주인공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 관한 기술은 제의를 통해 혼란된 질서를 바로잡고 정상질서를 회복시키는 행위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또 이들 설화는 해결해야 할 문제의 발생 → 문제의 원인 및 문제해결방법(者)의 모색 → 누군가로부터 문제의 원인 및 문제 해결 방법을 지시 받음 → 지시대로의 실행 → 문제의 해결이라는 동일한 사건 전개방식에 따라 진행되는데 이들 설화가 이렇게 동일한 사건 전개과정을 보이는 것은 이들이 같은 사건을 서사화한 것임을 말해준다. 실제로 이들 배경설화의 서사가 전개되는 방식은 제의의 진행절차와 대응된다.
      제의는 일반적으로 청배- 찬신- 축원- 공수- 공수의 실행- 축원의 성취- 송신의 절차로 진행되는데 이러한 제의의 절차와 향가 배경설화의 사건 전개방식은 그대로 대응된다. 따라서 서사 문맥 속에 놓인 향가의 위치를 통해 향가가 제의 중 어떠한 절차에서 불렸으며 제의 중에 향가가 어떠한 기능을 담당했는가를 알 수 있다. 이들 향가의 제의가로서의 위상을 정리해 보면 <처용가>는 축원의 단계에서 불린 노래이고, <헌화가>와 <안민가>는 공수의 단계에서 불린 노래이며, <해가>와 <도솔가>는 공수의 실행 단계에서 불린 노래임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향가의 제의가적 성격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신라 향가는 '羅人尙鄕歌者尙矣盖詩頌之類歟故往往能感動天地鬼神者 非一'이라는 짤막한 논평에서 보듯 연원이 매우 오래되고 ...

      이 논문은 향가의 제의가적 성격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신라 향가는 '羅人尙鄕歌者尙矣盖詩頌之類歟故往往能感動天地鬼神者 非一'이라는 짤막한 논평에서 보듯 연원이 매우 오래되고 천지귀신을 감동시킬 수 있는 신비한 힘을 지닌 노래로 오랜 기간에 걸쳐 신라인들의 많은 사랑을 받아왔다. 향가가 지니고 있는 이러한 독특한 특징은 흔히 향가의 마력, 주술성으로 이야기되었고 향가는 마력을 지닌 주가로 이해되어 왔다. 향가가 지니고 있는 이러한 주술적 힘은 향가가 제의에서 불린 제의가였다는 데 기인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향가에 주술성이 있다거나 향가가 제의에서 불린 제의가였다는 사실은 지적하면서도 정작 향가가 제의에서 어떠한 기능을 했는지에 대해서는 만족할 만한 해명을 하지 못하였다. 제의에서 불린 제의가와 주술적 성격의 노래인 주가를 동일시하여 제의에서 불린 노래 모두를 주가로 간주한 것이라든가 의례를 동반하지 않고 불린 노래까지를 모두 주가로 규정한 것이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선학들이 보여준 대표적인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제의나 주가에 대한 명확한 이해 없이 향가의 성격을 규정한 데서 비롯된 것이라 하겠다. 본 논문은 지금까지의 연구가 보여준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시도의 하나로 출발하였다.
      향가의 주술성은 향가가 제의에서 불려진 노래라는 데 근거하고 있다. 향가는 제의에서 발생하고 제의에서 불렸을 것으로 추정되는 노래이다. 따라서 향가의 실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 제의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향가가 불려진 당시의 제의의 모습이나 향가의 제의 발생설을 뒷받침해 줄만한 역사 기록은 존재하지 않는다. 때문에 향가가 향유되던 모습이나 향가의 연행방식을 재구하는 작업의 상당부분은 향가가 수록되어 있는 서사의 분석에 의존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제의문맥으로 해석되는 서사에 대한 정밀한 분석을 바탕으로 향가와 제의의 관계 및 제의에서의 향가의 기능을 밝혀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초기의 향가 작품으로 알려진 유리왕대 <兜率歌>와 <薯童謠>를 분석해 보았다. <도솔가>는 가사는 전하지 않지만 창작과 관련한 기록이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에 남아 있어 노래의 성격을 재구해 볼 수 있다. 위 기록들을 참고해 보면 <도솔가>는 대규모로 행해진 국가적 제의에서 불린 제의가였다. 한편 <서동요>는 서사 문맥에서 떼어 놓고 노래만을 분석해 보면 영웅의 탄생을 내용으로 하는 노래로 영웅의 탄생과 관계된 제의에서 불린 제의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초기 향가 작품들이 보여주는 이러한 제의가적 성격은 향가의 발생이 제의와 관련되며 향가는 바로 이러한 제의가적 성격을 바탕으로 하는 노래임을 알게 해 준다.
      구체적인 작품 분석에 들어가서는 <獻花歌>, <海歌>, <處容歌>, <安民歌>, <兜率歌>를 분석해 보았다. 이들 제의 문맥으로 해석되는 향가 배경설화의 분석에서는 제의가 표상화되는 방식과 등장인물이 행하고 있는 제의에서의 기능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 향가 배경설화의 서사는 사건의 시공간에 관한 기술, 주인공이 신격을 획득하는 과정에 관한 기술, 신격을 획득한 주인공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 관한 기술이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건의 시공간에 관한 기술은 설화의 시공간이 제의의 시공간임을 나타내며, 주인공이 신격을 획득하는 과정에 관한 기술은 주인공의 입사제의의 광경을 나타내며, 주인공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 관한 기술은 제의를 통해 혼란된 질서를 바로잡고 정상질서를 회복시키는 행위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또 이들 설화는 해결해야 할 문제의 발생 → 문제의 원인 및 문제해결방법(者)의 모색 → 누군가로부터 문제의 원인 및 문제 해결 방법을 지시 받음 → 지시대로의 실행 → 문제의 해결이라는 동일한 사건 전개방식에 따라 진행되는데 이들 설화가 이렇게 동일한 사건 전개과정을 보이는 것은 이들이 같은 사건을 서사화한 것임을 말해준다. 실제로 이들 배경설화의 서사가 전개되는 방식은 제의의 진행절차와 대응된다.
      제의는 일반적으로 청배- 찬신- 축원- 공수- 공수의 실행- 축원의 성취- 송신의 절차로 진행되는데 이러한 제의의 절차와 향가 배경설화의 사건 전개방식은 그대로 대응된다. 따라서 서사 문맥 속에 놓인 향가의 위치를 통해 향가가 제의 중 어떠한 절차에서 불렸으며 제의 중에 향가가 어떠한 기능을 담당했는가를 알 수 있다. 이들 향가의 제의가로서의 위상을 정리해 보면 <처용가>는 축원의 단계에서 불린 노래이고, <헌화가>와 <안민가>는 공수의 단계에서 불린 노래이며, <해가>와 <도솔가>는 공수의 실행 단계에서 불린 노래임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Hyang-ga as a ritual song.
      Shilla's Hyang-ga has been deeply loved by Shilla People for a long time as songs, origins of which can be traced many centuries ago, having mysterious powers that moved spirit s of heaven and earth, as shown in a short statement of "Shilla people have respected Hyang-ga from the earliest times. Generally
      Hyang-ga is a kind of Si,Song, which has moved spirits of heaven and earth more often than not ."These unique characteristics of Hyang-ga have been regarded as it s magic power and incantation. The power of incantation of Hyang-ga has originated from the fact that it has been sung in ceremonies.
      However, most of literature on this field to date does not focus on what role Hyang-ga played in ceremonies but only on the power of incantation and ritual characteristics of Hyang-ga. Some literature has identified ritual songs with spells so that it has regarded all song of ceremonies as spells or it has taken songs without rites for ritual songs, which arises from misunderstanding of ritual songs and spells. This study attempts to make up for the weak points of existing studies.
      Incantation of Hyang-ga is based on the fact that it has been sung in rites. It is assumed that Hyang-ga has emerged and been practiced in rites. Therefore, under standing of rites is essential to reconstruct the real feature of Hyang-ga. However, no records exist either explaining what rites were like when Hyang-ga was sung or supporting the theory that tries to look for the origins of Hyang-ga in rites Consequently, effort s to reconstruct how Hyang-ga was enjoyed and how it was performed largely depends on analyzing stories that Hyang-ga belongs t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Hyang-ga and rites as well as the role of Hyang-ga in rites based on analysis of stories in the context of related rites.
      This study analyzes <Dosolga>(兜率歌) and <Seodongyo>(薯童謠), which are early works of Hyang-ga. Regarding <Dosolga>, no words of songs do not remain but some records of writing are found in 『Samgukyusa』 and 『Samguksagi』 to enable us to reconstruct the feature of these songs. The above records show that <Dosolga> was a ritual song in large-scale national ceremonies, while <Seodongyo> can be viewed as a ritual song in ceremonies related with heros, looking into the song it self, which was written on the subject of a hero's birth, apart from it s epic context. These characteristics of early Hyang-ga works as ritual songs display that the emergence of Hyang-ga is related with rites and Hyang-ga is based on these ritual characteristics.
      Looking at individual works such as <Hunhwaga>(獻花歌), <Heaga>(海歌), < Choyongga>(處容歌), <Anminga>(安民歌) and <Dosolga>(兜率歌), I focus on how rites are symbolized and what role each character played in rites in analyzing background stories of Hyang-ga in the context of rites. My analysis indicates that the structure of stories as background of Hyang-ga is a combination of a description of time and space of events and a description of how leading characters acquire godhood and how they solve the problems. The description of time and space of events shows that time and space of stories are those of rites. The description of how leading characters acquire godhood displays a scene of initiation (acquiring Godhood), while the description of how they solve the problems implies an act of transforming chaos to cosmos.
      In addition, these stories are based on the identical way of development : the occurrence of events → searching for causes and solutions → receiving directions for causes and solutions → following directions → solving problems. This implies that they are epics that arise from the same event s. In fact, the way of development of epics as background stories corresponds to the way of proceeding of rites. Generally, rites follow the procedure of obeisance, admiration, praying, receiving divine messages, performing, achieving, sending off gods, which exactly corresponds to the way of development of background stories of Hyang-ga. Consequently, where Hyang-ga is put in the context of stories tells when it was performed in the ritual proceedings and what role it played there. Looking at the status of Hyang-ga as a ritual song briefly, <Choyongga> was sung at the stage of praying, while <Hunhwaga> and <Anminga> was sung at the stage of receiving divine messages and <Haega> and <Dosolga> was sung at the stage of performing divine messages.
      번역하기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Hyang-ga as a ritual song. Shilla's Hyang-ga has been deeply loved by Shilla People for a long time as songs, origins of which can be traced many centuries ago, having mysterious powers that moved sp...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Hyang-ga as a ritual song.
      Shilla's Hyang-ga has been deeply loved by Shilla People for a long time as songs, origins of which can be traced many centuries ago, having mysterious powers that moved spirit s of heaven and earth, as shown in a short statement of "Shilla people have respected Hyang-ga from the earliest times. Generally
      Hyang-ga is a kind of Si,Song, which has moved spirits of heaven and earth more often than not ."These unique characteristics of Hyang-ga have been regarded as it s magic power and incantation. The power of incantation of Hyang-ga has originated from the fact that it has been sung in ceremonies.
      However, most of literature on this field to date does not focus on what role Hyang-ga played in ceremonies but only on the power of incantation and ritual characteristics of Hyang-ga. Some literature has identified ritual songs with spells so that it has regarded all song of ceremonies as spells or it has taken songs without rites for ritual songs, which arises from misunderstanding of ritual songs and spells. This study attempts to make up for the weak points of existing studies.
      Incantation of Hyang-ga is based on the fact that it has been sung in rites. It is assumed that Hyang-ga has emerged and been practiced in rites. Therefore, under standing of rites is essential to reconstruct the real feature of Hyang-ga. However, no records exist either explaining what rites were like when Hyang-ga was sung or supporting the theory that tries to look for the origins of Hyang-ga in rites Consequently, effort s to reconstruct how Hyang-ga was enjoyed and how it was performed largely depends on analyzing stories that Hyang-ga belongs t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Hyang-ga and rites as well as the role of Hyang-ga in rites based on analysis of stories in the context of related rites.
      This study analyzes <Dosolga>(兜率歌) and <Seodongyo>(薯童謠), which are early works of Hyang-ga. Regarding <Dosolga>, no words of songs do not remain but some records of writing are found in 『Samgukyusa』 and 『Samguksagi』 to enable us to reconstruct the feature of these songs. The above records show that <Dosolga> was a ritual song in large-scale national ceremonies, while <Seodongyo> can be viewed as a ritual song in ceremonies related with heros, looking into the song it self, which was written on the subject of a hero's birth, apart from it s epic context. These characteristics of early Hyang-ga works as ritual songs display that the emergence of Hyang-ga is related with rites and Hyang-ga is based on these ritual characteristics.
      Looking at individual works such as <Hunhwaga>(獻花歌), <Heaga>(海歌), < Choyongga>(處容歌), <Anminga>(安民歌) and <Dosolga>(兜率歌), I focus on how rites are symbolized and what role each character played in rites in analyzing background stories of Hyang-ga in the context of rites. My analysis indicates that the structure of stories as background of Hyang-ga is a combination of a description of time and space of events and a description of how leading characters acquire godhood and how they solve the problems. The description of time and space of events shows that time and space of stories are those of rites. The description of how leading characters acquire godhood displays a scene of initiation (acquiring Godhood), while the description of how they solve the problems implies an act of transforming chaos to cosmos.
      In addition, these stories are based on the identical way of development : the occurrence of events → searching for causes and solutions → receiving directions for causes and solutions → following directions → solving problems. This implies that they are epics that arise from the same event s. In fact, the way of development of epics as background stories corresponds to the way of proceeding of rites. Generally, rites follow the procedure of obeisance, admiration, praying, receiving divine messages, performing, achieving, sending off gods, which exactly corresponds to the way of development of background stories of Hyang-ga. Consequently, where Hyang-ga is put in the context of stories tells when it was performed in the ritual proceedings and what role it played there. Looking at the status of Hyang-ga as a ritual song briefly, <Choyongga> was sung at the stage of praying, while <Hunhwaga> and <Anminga> was sung at the stage of receiving divine messages and <Haega> and <Dosolga> was sung at the stage of performing divine messag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국문요약 = iv
      • I. 서론 = 1
      • 1. 연구 목적 및 연구사 검토 = 1
      • 2. 연구 방법 및 연구의 의의 = 9
      • 목차
      • 국문요약 = iv
      • I. 서론 = 1
      • 1. 연구 목적 및 연구사 검토 = 1
      • 2. 연구 방법 및 연구의 의의 = 9
      • II. 鄕歌와 祭儀의 관계, 그 논리적 기반 = 13
      • 1. 儒理王代<兜率歌>와 그 祭儀적 근거 = 13
      • 1) 三國遺事, 三國史記관련 기록의 검토 = 13
      • 2) 兜率의 의미와 <兜率歌>의 성격 = 20
      • 2. < 薯童謠>와 그 祭儀적 근거 = 24
      • 1) < 武王> 條의 의미 분석 = 25
      • (1) 탄생담의 의미 = 30
      • (2) 결연담의 의미 = 33
      • (3) 왕위 등극담의 의미 = 37
      • (4) 미륵사 창건담의 의미 = 40
      • 2) < 薯童謠>의 의미와 성격 = 41
      • Ⅲ. 鄕歌와 背景說話에 대한 祭儀的考察 = 52
      • 1. <水路夫人> 條의 <獻花歌>, <海歌> = 52
      • 1-1. <獻花歌> 배경설화의 의미와 노래의 성격 = 54
      • 1) <獻花歌> 배경설화의 의미 = 54
      • (1) 海汀, 晝饍과 제의의 시공간 = 54
      • (2) 水路夫人의 성격 = 57
      • (3) 꽃의 획득과 질서의 회복 = 59
      • 2) < 獻花歌>의 성격 = 64
      • 1-2. <海歌> 배경설화의 의미와 노래의 성격 = 69
      • 1) <海歌> 배경설화의 의미 = 69
      • (1) 臨海亭, 晝饍과 제의의 시공간 = 69
      • (2) 東海龍의 성격 = 70
      • (3) 용궁체험과 질서의 회복 = 74
      • 2) <海歌>의 성격 = 75
      • 2. < 處容郞望海寺> 條의 <處容歌> = 80
      • 1) <處容歌> 배경설화의 의미 = 84
      • (1) 汀邊, 晝歇과 제의의 시공간 = 84
      • (2) 雲霧冥와 신화적 카오스 = 87
      • (3) 處容의 성격 = 89
      • (4) 역신의 퇴치와 질서의 회복 = 93
      • 2) <處容歌>의 성격 = 94
      • 3. <景德王忠談師表訓大德> 條의 <安民歌> = 101
      • 1) <安民歌> 배경설화의 의미 = 102
      • (1) 歸正樓, 3월 3일과 제의의 시공간 = 103
      • (2) 五岳三山神의 출현과 신화적 카오스 = 107
      • (3) 忠談師의 성격 = 109
      • 2) <安民歌> 의 성격 = 112
      • 4. <月明師兜率歌> 條의 <兜率歌> = 118
      • 1) <兜率歌> 배경설화의 의미 = 118
      • (1) 朝元殿, 靑陽樓와 제의의 공간 = 120
      • (2) 二日竝現과 신화적 카오스 = 122
      • (3) 月明師의 성격 = 126
      • 2) <兜率歌> 의 성격 = 132
      • Ⅳ. 鄕歌 背景說話 記述方式의 특징 및 鄕歌의 祭儀歌的 位相 = 137
      • 1. 향가 배경설화의 공통구조 = 137
      • 1) 入社祭儀를 통한 神性의 획득 = 138
      • 2) 제의의 실행을 통한 질서의 회복 = 142
      • 2. 향가 배경설화 기술방식의 특징 및 향가의 제의가적 성격 = 144
      • 1) 향가 배경설화의 사건 전개 과정 = 144
      • 2) 제의의 절차 = 146
      • 3) 제의 절차에 따른 사건 전개와 향가의 제의가적 위상 = 150
      • (1) <獻花歌> ; 공수의 노래 = 150
      • (2) <海歌> ; 공수 실행의 노래 = 152
      • (3) <處容歌> ; 축원의 노래 = 154
      • (4) <安民歌> ; 공수의 노래 = 157
      • (5) <兜率歌> ; 공수 실행의 노래 = 159
      • Ⅴ. 결론 = 162
      • 참고문헌 = 166
      • Abstract = 17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