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제품디자인 개발 유형에 따른 디자인방법론 적용 가이드라인 = Guidelines for Applying Design Methodologie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Types of Product Desig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256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디자인 패러다임 또한 변화하고 진화해왔다. 산업화를 이끄는데 있어 제품디자인의 역할은 조형성을 넘어 통합적 사고를 통한 문제해결을 중심으로 변화해 왔고, 이에 다양한 제품디자인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통한 문제해결 능력이 요구됨에 따라 다양한 방법론들이 등장하고 적용되어왔다. 다양한 방법론의 등장으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 있는 논리적인 방안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복잡해진 제품개발 프로세스를 대응할 수 있는 방법론의 부재로 제품개발 프로세스별 상황이 고려되지 못하는 한계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품디자이너 관점에서 디자인방법론의 체계적인 접근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제품디자인 개발 유형 및 특성을 재분류 하고 제품개발 프로세스에 따라 적용 가능한 디자인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 과정으로 기술‧기능‧감성‧조형을 기준으로 혁신제품을 분석하여 제품디자인 개발 유형을 'SE유형', 'SEF유형', 'SEFT유형' 3가지로 분류하였다. 각 유형별 제품개발 프로세스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디자인방법론을 도출하기 위해 프리그룹핑과 동질성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값을 맵으로 구체화한 후 적용 패턴을 파악하였으며, 패턴을 기반으로 제품디자인 개발 유형에 따른 디자인방법론 적용 가이드라인을 플로차트로 제안하였다. 이는 제품개발 유형에 따른 제품개발 프로세스의 특성으로 고려한 디자인방법론을 제시한 연구결과로 혼재되어있는 디자인방법론의 사용시기를 제품개발 프로세스 별 상황에 따라 제안함으로서 제품디자이너들의 창의적인 사고를 통한 문제해결 능력이 요구되어질 때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되어지길 기대한다.
      번역하기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디자인 패러다임 또한 변화하고 진화해왔다. 산업화를 이끄는데 있어 제품디자인의 역할은 조형성을 넘어 통합적 사고를 통한 문제해결을 중심으로 변화해 왔고, 이...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디자인 패러다임 또한 변화하고 진화해왔다. 산업화를 이끄는데 있어 제품디자인의 역할은 조형성을 넘어 통합적 사고를 통한 문제해결을 중심으로 변화해 왔고, 이에 다양한 제품디자인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통한 문제해결 능력이 요구됨에 따라 다양한 방법론들이 등장하고 적용되어왔다. 다양한 방법론의 등장으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 있는 논리적인 방안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복잡해진 제품개발 프로세스를 대응할 수 있는 방법론의 부재로 제품개발 프로세스별 상황이 고려되지 못하는 한계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품디자이너 관점에서 디자인방법론의 체계적인 접근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제품디자인 개발 유형 및 특성을 재분류 하고 제품개발 프로세스에 따라 적용 가능한 디자인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 과정으로 기술‧기능‧감성‧조형을 기준으로 혁신제품을 분석하여 제품디자인 개발 유형을 'SE유형', 'SEF유형', 'SEFT유형' 3가지로 분류하였다. 각 유형별 제품개발 프로세스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디자인방법론을 도출하기 위해 프리그룹핑과 동질성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값을 맵으로 구체화한 후 적용 패턴을 파악하였으며, 패턴을 기반으로 제품디자인 개발 유형에 따른 디자인방법론 적용 가이드라인을 플로차트로 제안하였다. 이는 제품개발 유형에 따른 제품개발 프로세스의 특성으로 고려한 디자인방법론을 제시한 연구결과로 혼재되어있는 디자인방법론의 사용시기를 제품개발 프로세스 별 상황에 따라 제안함으로서 제품디자이너들의 창의적인 사고를 통한 문제해결 능력이 요구되어질 때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되어지길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sign paradigm has experienced transformation and evolution with the industrial development. The role of product design has been changed arraying its focus mainly on problem solving by integrative thinking beyond the formativeness. As there has been a rising demand of problem solving ability using innovative ideas on various product designs, a variety of methodologies have been appeared and applied. The study figured out limitations of insufficient considerations for different product development processes due to absence of methodologies to come up with more complex product development processes even though such various methodologies were deemed a logical way to draw innovative ideas. To this end, the study attempts to present design methodologies applicable to different product development processes through and after regrouping of the development types and nature as a way to better approach design methodologies systematically from the viewpoint of a product designer. As the concerning process, innovative products were analyzed based on technology, function and formativeness and also classified the development types into ‘SE’, ‘SEF’ and ‘SEFT’. Free grouping and homogeneity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to draw the design methodologies applicable to each type of development process.
      Base on the analysis results, application pattern was identified through map specification then guidelines for design methodology application was suggest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types of product design.
      As this study suggests an application tool of design methodologies according to the suitable situation of design development process including development types and timing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product design development process, it is expected that the suggested methodology could be used as an effective tool when it comes to the demand of problem solving ability by product designers’ innovative thinking.
      번역하기

      Design paradigm has experienced transformation and evolution with the industrial development. The role of product design has been changed arraying its focus mainly on problem solving by integrative thinking beyond the formativeness. As there has been ...

      Design paradigm has experienced transformation and evolution with the industrial development. The role of product design has been changed arraying its focus mainly on problem solving by integrative thinking beyond the formativeness. As there has been a rising demand of problem solving ability using innovative ideas on various product designs, a variety of methodologies have been appeared and applied. The study figured out limitations of insufficient considerations for different product development processes due to absence of methodologies to come up with more complex product development processes even though such various methodologies were deemed a logical way to draw innovative ideas. To this end, the study attempts to present design methodologies applicable to different product development processes through and after regrouping of the development types and nature as a way to better approach design methodologies systematically from the viewpoint of a product designer. As the concerning process, innovative products were analyzed based on technology, function and formativeness and also classified the development types into ‘SE’, ‘SEF’ and ‘SEFT’. Free grouping and homogeneity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to draw the design methodologies applicable to each type of development process.
      Base on the analysis results, application pattern was identified through map specification then guidelines for design methodology application was suggest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types of product design.
      As this study suggests an application tool of design methodologies according to the suitable situation of design development process including development types and timing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product design development process, it is expected that the suggested methodology could be used as an effective tool when it comes to the demand of problem solving ability by product designers’ innovative think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장 서 론
      • 제 1절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 제 2절 연구의 목적
      • 제 3절 연구의 구성 및 방법
      • 제 1장 서 론
      • 제 1절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 제 2절 연구의 목적
      • 제 3절 연구의 구성 및 방법
      • 제 2장 제품 개발 유형 및 디자인방법론에 관한 고찰
      • 제 1절 제품 개발 유형
      • 1. 개발 전략에 따른 제품 개발 유형
      • 2. 혁신성에 따른 제품 개발 유형
      • 3. 컨셉의 차이에 따른 제품 개발 유형
      • 제 2절 디자인방법론에 관한 고찰
      • 1. 디자인방법론의 개념
      • 2. 디자인방법론의 발전
      • 3. 디자인방법론의 종류
      • 4. 제품디자인 개발에 활용 가능한 디자인방법론
      • 제 3장 제품디자인 개발 유형에 따른 디자인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 제 1절 본 연구에서의 제품디자인 개발 유형
      • 제 2절 제품디자인 개발 프로세스
      • 제 3절 제품디자인 개발 유형에 따른 디자인 개발 단계 특성
      • 제 4장 제품디자인 개발 유형에 따른 디자인방법론 적용 가이드라인
      • 제 1절 연구 방법 설계 및 분석
      • 1. 연구 방법 설계
      • 2. 디자인방법론 적용을 위한 연구 분석
      • 3. 디자인방법론 적용을 위한 연구 분석 결과
      • 제 2절 디자인방법론 적용 맵(MAP)
      • 1. 디자인방법론 적용 맵(Map)
      • 2. SE유형 디자인방법론 적용 패턴
      • 3. SEF유형 디자인방법론 적용 패턴
      • 4. SEFT유형 디자인방법론 적용 패턴
      • 제 3절 제품디자인 개발 유형에 따른 디자인방법론 적용 가이드라인
      • 1. SE유형 디자인방법론 적용 가이드라인
      • 2. SEF유형 디자인방법론 적용 가이드라인
      • 3. SEFT유형 디자인방법론 적용 가이드라인
      • 제 5장 결 론
      • 제 1절 연구 결과
      • 제 2절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