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박물관학 연계전공 졸업생의 진로 선택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36148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2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71.42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narrative inquiry on the career choice experience of dual-major museology graduates

      • 형태사항

        viii, 116장 ; 26 cm

      • 일반주기명

        부록: 1. 연구 참여 동의서, 2. 내러티브 기술 동의서
        지도교수: 정혜연, 서제희
        국·영문초록수록
        참고문헌: 장 106-111

      • UCI식별코드

        I804:11064-000000029303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iscover the educational meaning of dual-major museology graduates by examining the story of their academic achievement process and career choice experience as well as to promote understanding of their concerns. This study started with the researcher’s thoughts on her personal career choice experience from her childhood to the present. Through the life stories of four research participants including the researcher, this study provides the story of the academic progress and career choices of S University ‘Dual Major Museology’ graduates who completed their studies to advance into a career in the field of museums.
      The research questions set based on the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xperience of academic achievement of museology dual majors’? This question has meaning in discovering that the study participants feel differently about completing museology according to their different growth backgrounds and experiences in their first major. The second question is ‘What is the career choice and employment experience of the museology dual majors’? This study aimed to reflect on the lives of the study participants from their college days to the present and their career choice process, and to promote an understanding of their concerns about their career path. Lastly, through the question of ‘What is post-graduation life like for the museology dual majors?’, this research could find educational meanings from the common experiences among the research participants.
      To recruit suitable research participants, one dual major museology alum who frequently shares career concerns with the researcher was directly selected. Two other research participants were introduced by the professor in the major,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ersonal interviews, telephone interviews, and instant messengers. Recorded materials were transcribed and organized and kept in a personal folder to protect privacy. The researcher examined the background of growth, academic achievement, career choice, and social advancement through narratives told by graduates of museology dual majors who had different first majors. Their common experiences, emotions, and the concerns about choosing a career path were mainly described in the research.
      The following educational meanings could be found in the common narratives derived from the study participants’ experiences. First, the necessity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is required at for museology dual majors. Through the interviews, they expressed that they had less experience and practice than theoretical learning in museology studies, hoping for more practical opportunities to grow into preliminary museum professionals. Second,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systematic career education is required from universities. If students feel the need, they should take responsibility for continuing career education as a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after graduation. Third, the study participants spent time for self-reflection through the eyes of others while composing research text and cultivated a mature self. That they found growth in the process of forming and sharing a narrative came to the study participants as an education.
      Finally,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study is not intended to evaluate or to find improvements in S University’s dual major program in museolog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ritten thanks to the courage and sincerity of the participants, will help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of museology graduates with no choice but to face reality in choosing a career, and to give social and institutional interest in it. Moreover,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higher education will provide students of museology with opportunities to explore various career paths and serve as a compass that can guide them as they move toward their dreams.


      Keywords: Museology, educational experience, qualitative research, narrativeinquiry, career education, higher educ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discover the educational meaning of dual-major museology graduates by examining the story of their academic achievement process and career choice experience as well as to promote understanding of their concerns. This study started ...

      This study aimed to discover the educational meaning of dual-major museology graduates by examining the story of their academic achievement process and career choice experience as well as to promote understanding of their concerns. This study started with the researcher’s thoughts on her personal career choice experience from her childhood to the present. Through the life stories of four research participants including the researcher, this study provides the story of the academic progress and career choices of S University ‘Dual Major Museology’ graduates who completed their studies to advance into a career in the field of museums.
      The research questions set based on the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xperience of academic achievement of museology dual majors’? This question has meaning in discovering that the study participants feel differently about completing museology according to their different growth backgrounds and experiences in their first major. The second question is ‘What is the career choice and employment experience of the museology dual majors’? This study aimed to reflect on the lives of the study participants from their college days to the present and their career choice process, and to promote an understanding of their concerns about their career path. Lastly, through the question of ‘What is post-graduation life like for the museology dual majors?’, this research could find educational meanings from the common experiences among the research participants.
      To recruit suitable research participants, one dual major museology alum who frequently shares career concerns with the researcher was directly selected. Two other research participants were introduced by the professor in the major,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ersonal interviews, telephone interviews, and instant messengers. Recorded materials were transcribed and organized and kept in a personal folder to protect privacy. The researcher examined the background of growth, academic achievement, career choice, and social advancement through narratives told by graduates of museology dual majors who had different first majors. Their common experiences, emotions, and the concerns about choosing a career path were mainly described in the research.
      The following educational meanings could be found in the common narratives derived from the study participants’ experiences. First, the necessity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is required at for museology dual majors. Through the interviews, they expressed that they had less experience and practice than theoretical learning in museology studies, hoping for more practical opportunities to grow into preliminary museum professionals. Second,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systematic career education is required from universities. If students feel the need, they should take responsibility for continuing career education as a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after graduation. Third, the study participants spent time for self-reflection through the eyes of others while composing research text and cultivated a mature self. That they found growth in the process of forming and sharing a narrative came to the study participants as an education.
      Finally,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study is not intended to evaluate or to find improvements in S University’s dual major program in museolog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ritten thanks to the courage and sincerity of the participants, will help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of museology graduates with no choice but to face reality in choosing a career, and to give social and institutional interest in it. Moreover,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higher education will provide students of museology with opportunities to explore various career paths and serve as a compass that can guide them as they move toward their dreams.


      Keywords: Museology, educational experience, qualitative research, narrativeinquiry, career education, higher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박물관학 연계전공 졸업생의 학업 성취 과정과 진로 선택 과정의 이야기를 살펴봄으로써 이에 담긴 교육적 의미를 발견하고 이들의 고민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는 연구자의 어린 시절부터 현재까지 이르는 지극히 개인적인 진로 선택 경험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연구자를 포함한 4인의 연구참여자들의 삶 이야기를 통해 박물관 분야 진로로 나아가기 위해 이수했던 S대학 ‘박물관학 연계전공’ 졸업생의 학업 이수와 진로 선택 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바탕으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박물관학 연계전공자의 학업 성취에 대한 경험은 어떠한가?’이다. 해당 문제는 연구참여자들의 각자 다른 성장배경과 제1전공의 경험에 따라, 박물관학 학업 이수에 대한 의미를 다르게 느끼고 있다는 점을 발견하는 데 의미가 있다. 둘째, ‘박물관학 연계전공자의 진로 선택과 취업 과정의 경험은 어떠한가?’이다. 연구참여자들의 대학 재학시절부터 현재까지의 삶을 되돌아보며 이들의 진로 선택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진로 선택에 대한 고민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박물관학 연계전공자의 졸업 후 삶은 어떠한가?’라는 문제를 통해 연구참여자들의 공통적인 경험으로부터 교육적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연구에 맞는 연구참여자를 섭외하기 위해 연구자와 평소 진로 고민을 자주 나누는 박물관학 연계전공 졸업생 동기 1명을 직접 섭외하였으며 해당 전공 소속 교수님으로부터 2명의 연구참여자를 소개받아 개인 면담, 전화 인터뷰, 메신저 등의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녹음 자료는 전사 및 정리하였으며 사생활 보호가 될 수 있도록 개인 폴더에 보관하였다. 연구자는 각자 다른 제1전공 출신의 박물관학 연계전공 졸업생들이 들려준 내러티브를 통해 성장 배경, 학업 성취 과정, 진로 선택 과정, 사회진출 현황 등을 검토하여 이들의 경험 속에서 공통적으로 겪은 경험과 감정, 진로 선택에 대한 고민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으로부터 나온 공통적인 내러티브에는 다음과 같은 교육적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첫째, 박물관 연계전공 차원에서 학습자 중심 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된다는 점이다. 이들은 면담을 통해 박물관학 이수 과정에서 이론 학습에 비해 체험과 실습 기회가 적었음을 토로하며 예비 박물관 전문인력으로서 성장할 수 있는 실무 기회 제공을 희망하였다. 둘째, 평생교육적 관점에서 대학으로부터 체계적인 진로교육 제공이 요구된다. 학생들이 필요를 느낄 경우 이들의 졸업 후에도 대학이 모니터링을 통해 고등교육 기관으로써 지속적인 진로 교육에 대한 책임감을 가져야 할 것이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은 연구 텍스트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타인의 시선을 통해 자기반성의 시간을 보내고 성숙된 자아를 만들어 나갔다. 내러티브를 구성하고 공유하는 과정 안에서 성장을 발견했다는 점으로 이 자체가 연구참여자들에게 교육으로 다가갔다.
      끝으로, 본 연구는 S대학의 박물관학 연계전공에 대한 평가나 개선점을 찾기 위한 목적이 아님을 밝힌다. 연구참여자들의 용기와 진심으로 구성된 이 연구를 통해 진로 선택에 있어 현실에 부딪힐 수밖에 없는 박물관학 졸업생들의 고충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사회적, 제도적인 관심을 가져주길 희망한다. 나아가 이 연구를 통해 고등교육이 학생들에게 다양한 진로를 모색할 기회를 제공하고, 이들이 꿈을 향해 나아갈 때 방향을 잡아줄 수 있는 나침반이 되기를 바란다.


      주요어: 박물관학, 교육적 경험, 질적 연구, 내러티브 탐구, 진로교육, 고등교육
      번역하기

      본 연구는 박물관학 연계전공 졸업생의 학업 성취 과정과 진로 선택 과정의 이야기를 살펴봄으로써 이에 담긴 교육적 의미를 발견하고 이들의 고민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고 ...

      본 연구는 박물관학 연계전공 졸업생의 학업 성취 과정과 진로 선택 과정의 이야기를 살펴봄으로써 이에 담긴 교육적 의미를 발견하고 이들의 고민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는 연구자의 어린 시절부터 현재까지 이르는 지극히 개인적인 진로 선택 경험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연구자를 포함한 4인의 연구참여자들의 삶 이야기를 통해 박물관 분야 진로로 나아가기 위해 이수했던 S대학 ‘박물관학 연계전공’ 졸업생의 학업 이수와 진로 선택 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바탕으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박물관학 연계전공자의 학업 성취에 대한 경험은 어떠한가?’이다. 해당 문제는 연구참여자들의 각자 다른 성장배경과 제1전공의 경험에 따라, 박물관학 학업 이수에 대한 의미를 다르게 느끼고 있다는 점을 발견하는 데 의미가 있다. 둘째, ‘박물관학 연계전공자의 진로 선택과 취업 과정의 경험은 어떠한가?’이다. 연구참여자들의 대학 재학시절부터 현재까지의 삶을 되돌아보며 이들의 진로 선택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진로 선택에 대한 고민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박물관학 연계전공자의 졸업 후 삶은 어떠한가?’라는 문제를 통해 연구참여자들의 공통적인 경험으로부터 교육적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연구에 맞는 연구참여자를 섭외하기 위해 연구자와 평소 진로 고민을 자주 나누는 박물관학 연계전공 졸업생 동기 1명을 직접 섭외하였으며 해당 전공 소속 교수님으로부터 2명의 연구참여자를 소개받아 개인 면담, 전화 인터뷰, 메신저 등의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녹음 자료는 전사 및 정리하였으며 사생활 보호가 될 수 있도록 개인 폴더에 보관하였다. 연구자는 각자 다른 제1전공 출신의 박물관학 연계전공 졸업생들이 들려준 내러티브를 통해 성장 배경, 학업 성취 과정, 진로 선택 과정, 사회진출 현황 등을 검토하여 이들의 경험 속에서 공통적으로 겪은 경험과 감정, 진로 선택에 대한 고민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으로부터 나온 공통적인 내러티브에는 다음과 같은 교육적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첫째, 박물관 연계전공 차원에서 학습자 중심 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된다는 점이다. 이들은 면담을 통해 박물관학 이수 과정에서 이론 학습에 비해 체험과 실습 기회가 적었음을 토로하며 예비 박물관 전문인력으로서 성장할 수 있는 실무 기회 제공을 희망하였다. 둘째, 평생교육적 관점에서 대학으로부터 체계적인 진로교육 제공이 요구된다. 학생들이 필요를 느낄 경우 이들의 졸업 후에도 대학이 모니터링을 통해 고등교육 기관으로써 지속적인 진로 교육에 대한 책임감을 가져야 할 것이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은 연구 텍스트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타인의 시선을 통해 자기반성의 시간을 보내고 성숙된 자아를 만들어 나갔다. 내러티브를 구성하고 공유하는 과정 안에서 성장을 발견했다는 점으로 이 자체가 연구참여자들에게 교육으로 다가갔다.
      끝으로, 본 연구는 S대학의 박물관학 연계전공에 대한 평가나 개선점을 찾기 위한 목적이 아님을 밝힌다. 연구참여자들의 용기와 진심으로 구성된 이 연구를 통해 진로 선택에 있어 현실에 부딪힐 수밖에 없는 박물관학 졸업생들의 고충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사회적, 제도적인 관심을 가져주길 희망한다. 나아가 이 연구를 통해 고등교육이 학생들에게 다양한 진로를 모색할 기회를 제공하고, 이들이 꿈을 향해 나아갈 때 방향을 잡아줄 수 있는 나침반이 되기를 바란다.


      주요어: 박물관학, 교육적 경험, 질적 연구, 내러티브 탐구, 진로교육, 고등교육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국문초록 ⅰ
      • 목차 ⅳ
      • 표 목차 ⅷ
      • 목 차
      • 국문초록 ⅰ
      • 목차 ⅳ
      • 표 목차 ⅷ
      • 그림 목차 ⅷ
      • I.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 문제와 방법 4
      • 3. 용어의 정의 5
      • 1) 박물관학 5
      • 2) 연계(융합)전공 6
      • 4. 선행연구 고찰 6
      • 1) 듀이의 ‘교육적 경험’에 대한 선행연구 6
      • 2) 박물관학에 대한 선행연구 7
      • 3) 박물관 진로에 관한 선행연구 8
      • Ⅱ. 이론적 배경 11
      • 1. 박물관학 연계전공의 배경과 특징 11
      • 1) 박물관학 11
      • 2) S대학 박물관학 연계전공 16
      • 3) S대학 박물관학 연계전공 교과 과정 17
      • 2. 교육적 경험의 의미 25
      • 1) 경험의 개념 26
      • 2) 경험의 두 가지 양태 28
      • 3) 교육적 경험 29
      • III. 연구 방법 32
      • 1. 내러티브 탐구방법론 32
      • 2. 연구참여자 선정 및 개인적 특성 33
      • 3. 자료수집 및 절차 36
      • 4. 연구에 대한 윤리적 고려 37
      • 5. 연구의 범위와 한계 39
      • IV. 박물관학 연계전공 졸업생의 진로 찾기 41
      • 1. 연구자 이야기 41
      • 1) 대학 진학 이전의 경험 41
      • 2) 대학 재학 시절 이야기 43
      • (1) 무언가 잘못되었다는 느낌 43
      • (2) 결핍된 정체성과 소속감 44
      • 3) 학부 졸업 이후의 삶 46
      • (1) 박물관학이 뭐예요? 46
      • (2) 현실에 부딪혀 시작한 아동미술교육 48
      • (3) 왜 박물관 취업에 도전해야만 했나 49
      • (4) 박물관에서 살아남기 50
      • (5) 여유가 생기면 도전할게요 52
      • 2. 푸름이 이야기 53
      • 1) 대학 진학 이전의 경험 53
      • 2) 대학 재학 시절 이야기 55
      • (1) 보존과학을 배우고 싶었어 55
      • (2) 참된 연계전공을 한다는 기분 56
      • (3) 실습 과목에 대한 고충 57
      • (4) 박물관 취업을 내려놓기까지 58
      • 3) 학부 졸업 이후의 삶 60
      • (1) 열리지 않는 취업문 60
      • (2) 의지만 있다면 언제든 61
      • 3. 레디 이야기 64
      • 1) 대학 진학 이전의 경험 64
      • 2) 대학 재학 시절 이야기 65
      • (1) 우연함에서 시작된 관심 65
      • (2) 인문학도가 느끼는 박물관학 67
      • (3) 박물관 진로를 꿈꾸며 68
      • 3) 학부 졸업 이후의 삶 69
      • (1) 뒤늦은 권태기, 그리고 방황 69
      • (2) 뭐가 됐든 안정적이고 싶어요. 72
      • 4. 긍정이 이야기 75
      • 1) 대학 진학 이전의 경험 75
      • 2) 대학 재학 시절 76
      • (1) 탄탄대로 다져온 학업길 76
      • (2) 사학과인가?, 박물관학인가? 77
      • (3) 꿈을 향해 쌓은 경험치 80
      • 3) 학부 졸업 이후의 삶 82
      • (1) 끊임없는 공부 82
      • (2) 할 수 있는 일을 찾아서 84
      • (3) 가벼우면서도 열정적인 마음으로 86
      • Ⅴ. 박물관학 연계전공 졸업생의 진로 선택 경험에 대한 교육적 의미 88
      • 1. “연계전공으로 희망 피우기”: 박물관학 연계전공생으로서의 삶 88
      • 2. “현실에 부딪히는 박물관 취업”: 박물관 취업 진입에 대한 고찰 90
      • 3. “최선의 선택임을 이해”: 현재의 삶 인정하기 91
      • 4. “놓지 못하는 희망의 끈”: 포기하지 못하는 자들 92
      • Ⅵ. 결론 및 제언 100
      • 참고문헌 106
      • 부록 109
      • <부록1> 연구 참여 동의서 112
      • <부록2> 내러티브 기술 동의서 113
      • Abstract 1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