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모성보호제도 도입의 결정요인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eterminants Influencing in Adopting Maternity Protection Policies in Korean Firms and their Impact on the Firms Perform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066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tudy on Determinants Influencing in Adopting Maternity Protection Policies Korean in Firms and their Impact on the Firm's Performance Gyu-Chang YuHyang-Ah Kim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under the circumstances which the proportion of the working women is increasing as well as the maternity protection is becoming an important key factor in Korea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eterminants influencing in adopting the maternity protection policy in firm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ity protection policy and the firm's performance. This study analyzed the survey data (WPS:workplace panel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Labor Institute in 2003 using regression analyses based on 1287 firms'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portion of female employees in firm, the stronger network among firms, and the larger size of firm, the higher possibility firms tend to adopt the maternity protection policies. Seco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extent of adopting the maternity protection policies and the firm's performance in terms of productivity and turnover. As conclusions, we discussed that while the Korean firms introduce the maternity protection policy to seek legitimacy such as the rational pressure, at the same time they also consider the efficiency such as the utilization of female resources in aspect of change on environment of workplace.
      번역하기

      A Study on Determinants Influencing in Adopting Maternity Protection Policies Korean in Firms and their Impact on the Firm's Performance Gyu-Chang YuHyang-Ah Kim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under the circumstances which the proportion of the working ...

      A Study on Determinants Influencing in Adopting Maternity Protection Policies Korean in Firms and their Impact on the Firm's Performance Gyu-Chang YuHyang-Ah Kim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under the circumstances which the proportion of the working women is increasing as well as the maternity protection is becoming an important key factor in Korea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eterminants influencing in adopting the maternity protection policy in firm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ity protection policy and the firm's performance. This study analyzed the survey data (WPS:workplace panel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Labor Institute in 2003 using regression analyses based on 1287 firms'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portion of female employees in firm, the stronger network among firms, and the larger size of firm, the higher possibility firms tend to adopt the maternity protection policies. Seco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extent of adopting the maternity protection policies and the firm's performance in terms of productivity and turnover. As conclusions, we discussed that while the Korean firms introduce the maternity protection policy to seek legitimacy such as the rational pressure, at the same time they also consider the efficiency such as the utilization of female resources in aspect of change on environment of workpla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고 동시에 여성근로자에 대한 모성보호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현실에서 기업 측면에서 어떤 기업들이 모성보호제도를 도입하고 있으며, 모성보호제도가 기업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분석을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연구원이 2003년에 실시한 사업체패널 조사 자료 중 인사담당자용 설문지와 부가조사로 실시된 산전후휴가 및 육아휴직 관련 실태조사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1,287개 기업의 자료를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기업일수록, 기업간 연결망이 강한 기업일수록, 그리고 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모성보호제도 도입에 적극적이었다. 둘째, 모성보호제도 도입 정도는 기업의 성과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며, 모성보호제도 도입에 적극적인 기업일수록 근로자 1인당 생산성(매출액)을 향상시키고, 근로자의 이직률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이 모성보호제도를 도입하는 것은 한편으로는 제도적인 압력과 같은 정당성을 추구하는 측면도 배제하기 어려우나, 최근 경영환경 변화와 맞물려 여성 인적자원의 적극적인 활용이라는 효율성을 추구하기 위한 측면이 강하였다. 결론에서는 연구 결과가 글로벌 경쟁체제에 직면하고 있는 한국 기업들에게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고 동시에 여성근로자에 대한 모성보호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현실에서 기업 측면에서 어떤 기업들이 모성보호제도를 도입하고 있으며...

      본 연구는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고 동시에 여성근로자에 대한 모성보호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현실에서 기업 측면에서 어떤 기업들이 모성보호제도를 도입하고 있으며, 모성보호제도가 기업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분석을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연구원이 2003년에 실시한 사업체패널 조사 자료 중 인사담당자용 설문지와 부가조사로 실시된 산전후휴가 및 육아휴직 관련 실태조사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1,287개 기업의 자료를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기업일수록, 기업간 연결망이 강한 기업일수록, 그리고 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모성보호제도 도입에 적극적이었다. 둘째, 모성보호제도 도입 정도는 기업의 성과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며, 모성보호제도 도입에 적극적인 기업일수록 근로자 1인당 생산성(매출액)을 향상시키고, 근로자의 이직률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이 모성보호제도를 도입하는 것은 한편으로는 제도적인 압력과 같은 정당성을 추구하는 측면도 배제하기 어려우나, 최근 경영환경 변화와 맞물려 여성 인적자원의 적극적인 활용이라는 효율성을 추구하기 위한 측면이 강하였다. 결론에서는 연구 결과가 글로벌 경쟁체제에 직면하고 있는 한국 기업들에게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기업의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의 유형 분류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31 (31): 1887-1915, 2003

      2 "팀제 도입요인으로서 합리성과 정당성에 관한 연구" 30 (30): 1009-1035, 2001

      3 "인력부족 시대의 도래와 여성인력 활용" (832) : 2005

      4 "연봉제의 도입과 효과에 관한 이론적 고찰" 7 (7): 47-86, 1999

      5 "여성정책결정과정에서의 정책네트워크 분석:근로여성의 모성보호 정책을 중심으로" 2002

      6 "여성인력에 대한 기업인식 조사" 2005년1월

      7 "여성근로자 보건관리지침 개발(1차 연도)-문헌을 통한 국내외 관련 기분 및 관리실태 조사"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02

      8 "여성근로자 모성보호의 현황과 정책방안: 모성관련 휴가 제도를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004

      9 "벤처기업의 인적자원관리 전략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25 (25): 33-64, 2001

      10 "고령화 시대의 노동시장과 고용정책" 한국노동연구원 2003

      1 "한국기업의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의 유형 분류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31 (31): 1887-1915, 2003

      2 "팀제 도입요인으로서 합리성과 정당성에 관한 연구" 30 (30): 1009-1035, 2001

      3 "인력부족 시대의 도래와 여성인력 활용" (832) : 2005

      4 "연봉제의 도입과 효과에 관한 이론적 고찰" 7 (7): 47-86, 1999

      5 "여성정책결정과정에서의 정책네트워크 분석:근로여성의 모성보호 정책을 중심으로" 2002

      6 "여성인력에 대한 기업인식 조사" 2005년1월

      7 "여성근로자 보건관리지침 개발(1차 연도)-문헌을 통한 국내외 관련 기분 및 관리실태 조사"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02

      8 "여성근로자 모성보호의 현황과 정책방안: 모성관련 휴가 제도를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004

      9 "벤처기업의 인적자원관리 전략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25 (25): 33-64, 2001

      10 "고령화 시대의 노동시장과 고용정책" 한국노동연구원 2003

      11 "경제활동인구월보" (4월호) : 2005년

      12 "The Transformation of the Industrial Relations and Personnel Function" MIT Press 1984

      13 "The Role of Strategic Choice" 1-6 22, 1972

      14 "The Incidence of Participative Programs in The Private Sectors in New Jersey" 1996

      15 "The External Control of Organizations" 1978

      16 "The Bottom Line: Connecting Corporate Performance and Gender Diversity" 4-7, 2004

      17 "Strategic Responses to Institutional Process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6" 145-179, 1991

      18 "Results of an Employee Survey 29" 382-387, 1989

      19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5" 299-357, 1983

      20 "Relationships of Gender, Family Responsibility and Flexible Work Hours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18 : 377-391, 1997

      21 "Psychological Contracts in Organizations: Understanding Written and Unwritten Agreements" Sage Publications 1995

      22 "Organization-Level Determinants of Women in Managemen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7" 241-268, 1994

      23 "Measur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Problems, Prospects, and Performance Information Markets" 8 (8): 311-331, 1998

      24 "Keys to Action Understanding Differences in Organizations' Responsiveness to Work and Family Issues" 227-248, 1992

      25 "Journal of Management 17" 99-120, 1991

      26 "Investing in Human Resources" 1984

      27 "Institutional Isomorphism and Collective Rationality in Organizational Fields" 147-160, 1983

      28 "In the Business of Child Care" 1988

      29 "Hard to Find and Difficult to Manage The Effects of Child care on the Workplace Regional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rvices" Unpublished manuscript Portland State University 1984

      30 "Gender Demograph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28 (28): 127-147, 2003

      31 "Expanding the Scope of Institutional Analysi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1183-204

      32 "Employing an Innovation Strategy in Racially Diverse Workforces Effects on Performance" 28 (28): 107-126, 2003

      33 "Employer Involvement in Work-Family Issu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7" Institutional Pressures and Strategic Responsiveness 350-382, 1994

      34 "Demographic Diversity, Conflict, and Work Group Outcomes: An Intervening Process Theory" 7 : 615-631, 1996

      35 "Child Care Initiatives for Working Parents" 1983

      36 "BPR의 확산: 합리적 선택과 정당성 추구의 역할" 9 (9): 1-32, 2001

      37 Barringer, M. W, "A Theoretical Exploration of the Adoption and Design of Flexible Benefit Plans: A Case of Human Resource Innovation" 23 : 305-324, 1998

      38 "A Survey of 121 HR Professionals From FORTUNE 1000 Companies and Companies on FORTUNE Magazine's List of the 100 Top Companies to Work For" SHRM June2001

      39 "A New View of Business Policy and Planning" 197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 1.23 1.948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