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력단절여성의 직업능력향상교육 효과성 탐색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Vocational Ability Improvement Education for Women with Disconnected Care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468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Vocational Ability ImprovementEducation for Women with Disconnected CareerKyungsuk Park & Yujeong Kim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effects of career-interrupted women’s participation in vocational ability improvement education through changes in self-esteem, self-determination, and career adaptation. The research method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vocational ability improvement education through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vocational ability improvement education operated by N city, suitable for the problem consciousness and intention of this study,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and vocational ability improvement education designed to allow learners to set their own career plans for employment and choose careers considering their own values, interests, and aptitudes. This study suggest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that it derived research results that can increase women’s career and successful reemployment in the field of vocational ability improvement education, which is continuously highlighted in line with the social issue of career interrupted women and reemployment.


      Key Words: Career Competency Improvement Education, Career Interruption, Career Path, Employment, Change
      번역하기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Vocational Ability ImprovementEducation for Women with Disconnected CareerKyungsuk Park & Yujeong Kim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effects of career-interrupted women’s participation in vocational abi...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Vocational Ability ImprovementEducation for Women with Disconnected CareerKyungsuk Park & Yujeong Kim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effects of career-interrupted women’s participation in vocational ability improvement education through changes in self-esteem, self-determination, and career adaptation. The research method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vocational ability improvement education through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vocational ability improvement education operated by N city, suitable for the problem consciousness and intention of this study,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and vocational ability improvement education designed to allow learners to set their own career plans for employment and choose careers considering their own values, interests, and aptitudes. This study suggest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that it derived research results that can increase women’s career and successful reemployment in the field of vocational ability improvement education, which is continuously highlighted in line with the social issue of career interrupted women and reemployment.


      Key Words: Career Competency Improvement Education, Career Interruption, Career Path, Employment, Chan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경력단절여성의 직업능력향상교육 효과성 탐색박 경 숙*ㆍ김 유 정**

      연구 목적: 이 연구는 경력단절여성들이 직업능력향상교육에 참여함으로써 얻게 되는 효과를 자아존중감, 자기결정성, 진로적응성의 변화를 통해 검증하고자 함.
      연구 방법: 직업능력향상교육 실시 전・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종속변인들의 차이를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해 분석.
      연구 내용: 본 연구의 문제의식과 의도에 적합한 N시에서 운영한 직업능력향상교육이 본 연구의 대상이며, 학습자가 취업에 대한 진로계획을 스스로 세우고 자신의 가치와 흥미, 적성을 고려한 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계획 된 직업능력향상 교육을 제공함.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재취업이라는 사회적 이슈와 맥을 같이 하면서 지속적으로 그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직업능력향상교육의 영역에서 여성의 진로와 성공적 재취업을 높일 수 있는 연구결과를 도출했다는 것이 본 연구의 의의라고 할 수 있으며 자신감을 회복할 수 있는 교육과정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핵심어: 직업능력향상교육, 경력단절여성, 진로, 취업, 변화



      □ 접수일: 2022년 7월 11일, 수정일: 2022년 7월 26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주저자, 나주시청 평생교육사(First Author, Researcher, Naju City Hall, Email: jeb6807@korea.kr)** 공동저자, 광주대학교 교수(Co-author, Professor, Gwangju Univ., Email: yujeong7543@naver.com)
      번역하기

      경력단절여성의 직업능력향상교육 효과성 탐색박 경 숙*ㆍ김 유 정** 연구 목적: 이 연구는 경력단절여성들이 직업능력향상교육에 참여함으로써 얻게 되는 효과를 자아존중감, 자기결정성,...

      경력단절여성의 직업능력향상교육 효과성 탐색박 경 숙*ㆍ김 유 정**

      연구 목적: 이 연구는 경력단절여성들이 직업능력향상교육에 참여함으로써 얻게 되는 효과를 자아존중감, 자기결정성, 진로적응성의 변화를 통해 검증하고자 함.
      연구 방법: 직업능력향상교육 실시 전・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종속변인들의 차이를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해 분석.
      연구 내용: 본 연구의 문제의식과 의도에 적합한 N시에서 운영한 직업능력향상교육이 본 연구의 대상이며, 학습자가 취업에 대한 진로계획을 스스로 세우고 자신의 가치와 흥미, 적성을 고려한 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계획 된 직업능력향상 교육을 제공함.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재취업이라는 사회적 이슈와 맥을 같이 하면서 지속적으로 그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직업능력향상교육의 영역에서 여성의 진로와 성공적 재취업을 높일 수 있는 연구결과를 도출했다는 것이 본 연구의 의의라고 할 수 있으며 자신감을 회복할 수 있는 교육과정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핵심어: 직업능력향상교육, 경력단절여성, 진로, 취업, 변화



      □ 접수일: 2022년 7월 11일, 수정일: 2022년 7월 26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주저자, 나주시청 평생교육사(First Author, Researcher, Naju City Hall, Email: jeb6807@korea.kr)** 공동저자, 광주대학교 교수(Co-author, Professor, Gwangju Univ., Email: yujeong7543@naver.co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자 ; 정소희,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중년여성 성인학습자의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421-431, 2018

      2 김선중, "진로장벽, 희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3 구강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경력단절여성의 구직행동에 미치는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4 한영석, "중장년층 실직자의 구직강도 결정요인에 대한탐색적연구" 19 (19): 71-191, 2006

      5 전병재, "자아개념 측정가능성에 관한 연구" 11 (11): 107-130, 1974

      6 이명희, "자기결정성이론에 근거한 한국형 기본 심리 욕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7 김말란, "인문학교육이 자활사업 참여자의 정서적요인, 사회적요인,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2

      8 유창민, "이원적 자아존중감의 10년간의 변화과정: 성인초기, 중년기, 노년기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8 (38): 7-44, 2018

      9 김난주, "여성의 경력단절 발생과 대책"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6-, 2014

      10 박숙경, "여대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 김영자 ; 정소희,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중년여성 성인학습자의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421-431, 2018

      2 김선중, "진로장벽, 희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3 구강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경력단절여성의 구직행동에 미치는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4 한영석, "중장년층 실직자의 구직강도 결정요인에 대한탐색적연구" 19 (19): 71-191, 2006

      5 전병재, "자아개념 측정가능성에 관한 연구" 11 (11): 107-130, 1974

      6 이명희, "자기결정성이론에 근거한 한국형 기본 심리 욕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7 김말란, "인문학교육이 자활사업 참여자의 정서적요인, 사회적요인,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2

      8 유창민, "이원적 자아존중감의 10년간의 변화과정: 성인초기, 중년기, 노년기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8 (38): 7-44, 2018

      9 김난주, "여성의 경력단절 발생과 대책"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6-, 2014

      10 박숙경, "여대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1 이유진, "실업자의 구직행동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실업급여 수급자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2005

      12 한은정, "성인학습자의 직업능력향상교육 참여경험에 따른 진로적응성 분석"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6

      13 조은주, "성인학습자를 위한 사회적지지 프로그램이 커리어 미래 적응성과 자아 개념에 미치는 효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5

      14 김지영, "생애사를 통해 본 '여성주의' 인식전환 경험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4

      15 이수분 ; 이정희, "미취업 기혼여성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교육학회 29 (29): 187-208, 2010

      16 윤혜경,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직업진로 탐색 경험 분석 : 직업교육 프로그램의 중장년 참여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17 김소연, "고학력 경력단절 기혼여성이 지각한 자아개념과 신체상이 진로준비 행동에미치는 영향 : 포커싱적 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16

      18 정은영, "경력단절여성의 평생학습을 통한 인식전환에 관한 연구 : 이미지 코칭 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기독전문대학원 2018

      19 홍미경, "경력단절여성의 평생학습 참여동기가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과 경력설계의 매개효과"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8

      20 김나경, "경력단절여성의 자아존중감, 자기결정성, 사회연결망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8

      21 안현옥, "경력단절여성의 생활사건 스트레스경험, 자아존중감, 가족지지, 경력 계획간의 구조적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6

      22 김민성, "경력단절 고학력 기혼 여성의 자아존중감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23 Rottinghaus, P. J., "The Career Futures Inventory-Revised : Measuring dimensions of career adaptability" 20 : 2012

      24 Rosenberg, M.,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25 Ryan, R. M.,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55 : 68-78, 2000

      26 Filmer, P., "New directions in sociological Theory" The MIT Press 246-, 1973

      27 Savickas, M. L., "Career adaptability : An integrative construct for lifespan, life-space theory" 45 : 247-259,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