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미메시스의 재해석을 통한 소설의 정동적 비평 가능성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6275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en paying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of intrinsic expansion of literature, modern novels in Korea and criticism of them have a problematic characteristic of seeing literature as a reflection of society and system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thod of criticism that makes a novel an active thought.
      The discussion, which was the main reference point in establishing the methodology of this paper, is a study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poetry image through affect. The view that the image is not a reflection of reality, but a space where affective fluctuations occur makes the poetic text an active thought. Therefore, this paper attempted to transform the research methodology of 'Poetry-Image-Affect' into 'Novel-Mimesis-Affect'.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Mimesis instead of images is an attempt to reach the purpose of this paper more thoroughly. Literary criticism that focuses on affect is likely to make the error of failing to grasp the inner motility of literature by interpreting the content of the text as a reflection of affect. Therefore, to pay attention to this, this paper emphasizes the power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narrative through the concept of Mimesis. The reason why the concept of image was not used is that this paper wanted to have a discussion that was not limited to ideological novels. In addition, unlike poems characterized by self-referentiality, novels are considered to have the logic of the real world. So a new concept is required to be wary of the logic of reflection.
      Chapter 2 of this paper reviews the concept of affect and analyzes its politics in order to establish the reason for reading literature by paying attention to affect. The concept of affect originates from the idea of Spinoza, which saw that it was the body, not the awareness, that open the world. Deleuze borrows it, placing an important meaning on the process of body transformation itself. This view deviates from teleological thinking that presupposes transcendental essence by affirming the movement that occurs between the bodies as the capacity of existence. Therefore the perspective that emphasizes the reality inherent in affect about art does not make the work a representation of something, but rather makes it construct meaning by exercising itself. This is the politics of affect, which expands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through attention to the creation process, and this becomes the meaning of reading literature with the lens of affect.
      Chapter 3 analyzes the concept of Mimes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 and Mimesis. Aristotle, who emphasized the active productivity of Mimesis, shows that it is not a reproduction of a given reality, but a task of creating a fiction. Since then, in the context of postmodernism, Mimesis has been newly noted as a overcome of modern human-centered thinking. In this context, Mimesis is defined as the concept of reaching things which is before awareness by approaching the object through perception. From this, this paper saw that affective fluctuation is involved in the process of Mimesis. Furthermore, when paying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ncepts, it was found that Mimesis' physicality could be expanded to creativity. Regarding the effect of Mimesis, Benjamin and Ricoeur's discussion shows that the self grows by accepting otherness and reflecting on its potentia through the process of Mimesis. This leads to the politics that retains numerous possibilities before realization and fully realizes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by paying attention to physical encounters. Reading literature through affect is to actively sense this motility before the process of signifying. And in this context, Mimesis functions as a place where the intrinsic power of creation is ejected from the narrative composition process itself, making the novel a real thought. Furthermore, the perspective of paying attention to Mimesis' active capacity in the composition of the narrative finds the essence of the novel in the desire of the statement, thereby proving the power of the novel to reach reality.
      Based on the review that Mimesis is a space where affective fluctuation occurs in novels, Chapter 4 attempts to read the novel as an internal reality through the analysis of Kim Seung-ok's works. When paying attention to the unconscious composition process of the narrative, 「생명연습」 reveals that the subjective boundaries between characters and the distinction of time are confused. This is a representation through things which is before awareness, and thus the inner side of the speaker who neglect value judgment is embodied in the narrative composition itself. In the analysis of 「다산성」, this paper tried to overcome the typical understanding of seeing affective fluctuation as a stop of meaning. The three passages that make up this novel are presented disconnected, and thus giving off the atmosphere of the loss of vitality instead of producing verbal explanation. In this way, the perspective that pays attention to the motility of representation makes the novel not about something, but about itself, so that the reader can enrich the novel's capabilities by creating new questions instead of finding the answer in the novel.
      번역하기

      When paying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of intrinsic expansion of literature, modern novels in Korea and criticism of them have a problematic characteristic of seeing literature as a reflection of society and system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

      When paying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of intrinsic expansion of literature, modern novels in Korea and criticism of them have a problematic characteristic of seeing literature as a reflection of society and system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thod of criticism that makes a novel an active thought.
      The discussion, which was the main reference point in establishing the methodology of this paper, is a study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poetry image through affect. The view that the image is not a reflection of reality, but a space where affective fluctuations occur makes the poetic text an active thought. Therefore, this paper attempted to transform the research methodology of 'Poetry-Image-Affect' into 'Novel-Mimesis-Affect'.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Mimesis instead of images is an attempt to reach the purpose of this paper more thoroughly. Literary criticism that focuses on affect is likely to make the error of failing to grasp the inner motility of literature by interpreting the content of the text as a reflection of affect. Therefore, to pay attention to this, this paper emphasizes the power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narrative through the concept of Mimesis. The reason why the concept of image was not used is that this paper wanted to have a discussion that was not limited to ideological novels. In addition, unlike poems characterized by self-referentiality, novels are considered to have the logic of the real world. So a new concept is required to be wary of the logic of reflection.
      Chapter 2 of this paper reviews the concept of affect and analyzes its politics in order to establish the reason for reading literature by paying attention to affect. The concept of affect originates from the idea of Spinoza, which saw that it was the body, not the awareness, that open the world. Deleuze borrows it, placing an important meaning on the process of body transformation itself. This view deviates from teleological thinking that presupposes transcendental essence by affirming the movement that occurs between the bodies as the capacity of existence. Therefore the perspective that emphasizes the reality inherent in affect about art does not make the work a representation of something, but rather makes it construct meaning by exercising itself. This is the politics of affect, which expands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through attention to the creation process, and this becomes the meaning of reading literature with the lens of affect.
      Chapter 3 analyzes the concept of Mimes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 and Mimesis. Aristotle, who emphasized the active productivity of Mimesis, shows that it is not a reproduction of a given reality, but a task of creating a fiction. Since then, in the context of postmodernism, Mimesis has been newly noted as a overcome of modern human-centered thinking. In this context, Mimesis is defined as the concept of reaching things which is before awareness by approaching the object through perception. From this, this paper saw that affective fluctuation is involved in the process of Mimesis. Furthermore, when paying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ncepts, it was found that Mimesis' physicality could be expanded to creativity. Regarding the effect of Mimesis, Benjamin and Ricoeur's discussion shows that the self grows by accepting otherness and reflecting on its potentia through the process of Mimesis. This leads to the politics that retains numerous possibilities before realization and fully realizes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by paying attention to physical encounters. Reading literature through affect is to actively sense this motility before the process of signifying. And in this context, Mimesis functions as a place where the intrinsic power of creation is ejected from the narrative composition process itself, making the novel a real thought. Furthermore, the perspective of paying attention to Mimesis' active capacity in the composition of the narrative finds the essence of the novel in the desire of the statement, thereby proving the power of the novel to reach reality.
      Based on the review that Mimesis is a space where affective fluctuation occurs in novels, Chapter 4 attempts to read the novel as an internal reality through the analysis of Kim Seung-ok's works. When paying attention to the unconscious composition process of the narrative, 「생명연습」 reveals that the subjective boundaries between characters and the distinction of time are confused. This is a representation through things which is before awareness, and thus the inner side of the speaker who neglect value judgment is embodied in the narrative composition itself. In the analysis of 「다산성」, this paper tried to overcome the typical understanding of seeing affective fluctuation as a stop of meaning. The three passages that make up this novel are presented disconnected, and thus giving off the atmosphere of the loss of vitality instead of producing verbal explanation. In this way, the perspective that pays attention to the motility of representation makes the novel not about something, but about itself, so that the reader can enrich the novel's capabilities by creating new questions instead of finding the answer in the nove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문학의 내재적 확장 가능성에 주목해볼 때, 한국의 현대 소설과 이에 대한 비평은 문학을 사회와 제도의 재현으로 보는 문제적 특징을 지닌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논문은 소설을 하나의 능동적 사유이게 하는 비평의 방법을 고찰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의 방법론 수립에 있어 주된 참조점이 된 논의는 정동을 통해 시 이미지의 본질을 이해하는 연구이다. 이미지를 실재에 대한 반영이 아닌, 정동적 동요가 일어나는 공간으로 보는 관점은 시문학 텍스트를 하나의 능동적 사유가 되게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시-이미지-정동’의 연구방법론을 ‘소설-미메시스-정동’으로 변주하고자 하였다. 이때 이미지를 대신하여 미메시스의 개념을 도입한 것은 본고의 목적에 보다 철저히 도달하기 위한 시도이다. 정동에 주목한 문학 비평은 텍스트의 내용을 정동 개념에 대한 반영으로 해석함으로써 문학의 내적 운동성을 파악하지 못하는 오류를 범하기 쉽다. 따라서 이에 주의하고자 본고에서는 미메시스의 개념을 통해 서사의 구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힘을 강조해 본다. 이때 이미지의 개념을 원용하지 않은 것은 관념적 소설에 한정된 논의가 되지 않고자 했기 때문이다. 또한 소설은 자기지시성을 특징으로 하는 시와는 달리 현실세계의 논리를 갖추는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반영의 논리를 경계하기 위한 새로운 개념이 요구된다.
      본고의 2장에서는 정동에 주목하여 문학을 읽는 것의 까닭을 정립하기 위해 정동의 개념을 검토하고 그 정치성을 분석한다. 정동 개념은 세계를 개시하는 것이 인식이 아닌 신체라고 보았던 스피노자의 사유에서 기원하는 것으로, 들뢰즈는 신체의 변용 과정 자체에 중요한 의미를 두며 그것을 차용한다. 이러한 관점은 신체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운동을 존재의 역량으로 긍정함으로써 초월적 본질을 전제하는 목적론적 사유로부터 벗어난다. 따라서 예술에 있어 정동에 내재된 실재성을 강조하는 관점은 작품을 무언가에 대한 표상이 아닌, 그 자체로 운동하면서 의미를 구성하는 것이 되게 한다. 이것이 생성 과정에의 주목을 통해 존재의 가능성을 확장시키는 정동의 정치성으로, 이는 정동의 렌즈로 문학을 읽는 것의 의미가 된다.
      3장에서는 정동과 미메시스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미메시스의 개념을 분석한다. 미메시스의 능동적 생산성을 강조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논의는 그것이 주어진 현실을 복제하는 것이 아닌, 가상을 창조하는 작업임을 보여준다. 이후 포스트모더니즘의 맥락에서 미메시스는 근대의 인간중심적 사고에 대한 극복으로서 새롭게 주목된다. 이때 미메시스란 지각을 통해 대상에 다가감으로써 인식 이전에 놓인 것들에 도달하는 사유가 된다. 본고는 이로부터 미메시스의 과정 중에 정동적 동요가 수반된다고 보았으며, 나아가 두 개념의 관련성에 주목할 때 미메시스의 신체성이 창조성으로 확장될 수 있다고 파악하였다. 미메시스의 효과와 관련하여, 벤야민과 리쾨르의 논의는 미메시스의 과정을 통해 자아가 타자성을 수용하고 잠재태를 반성하며 성장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신체적 마주침들에 주목함으로써 현실화되기 이전의 수많은 가능성들을 확보하고 이로부터 존재의 가능성을 전적으로 구현하는 정치성이 된다. 정동을 통해 문학을 읽는 것은 의미화의 과정 이전에 이러한 운동성을 적극적으로 감각하기 위함이며, 미메시스는 서사의 구성 과정 자체로부터 생성의 내적 힘이 분출되는 장소로 기능함으로써 소설을 하나의 실재적 사유가 되게 한다. 나아가 서사의 구성에 있어 미메시스의 능동적 역량에 주목하는 관점은 소설의 본질을 진술 자체의 욕망에서 발견하며 이를 통해 현실에 가닿는 소설의 힘을 증명한다.
      미메시스가 소설에 있어 정동적 동요가 발생하는 공간이라는 검토를 바탕으로 하여, 4장에서는 김승옥의 작품 분석을 통해 소설을 하나의 내적 실재로 읽기를 시도한다. 서사의 무의식적 구성 과정에 주목해 볼 때 「생명연습」에서는 인물 간의 주체적 경계와 시간의 구분이 혼란되는 것이 드러난다. 이는 인식 이전의 것들을 통한 재현으로, 이로써 가치판단을 유보시키는 화자의 내면이 서사의 구성 자체에서 형상화된다. 「다산성」의 분석에서는 정동적 동요를 의미의 중지로 보는 전형적 이해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이 소설을 이루는 세 개의 절들은 단절된 채 제시됨으로써 생명력의 상실을 말로 설명하는 대신 그 분위기를 풍겨낸다. 이처럼 재현의 운동성에 주목하는 관점은 소설을 무엇에 대한 것이 아닌, 그 자체로 무엇인 것이 되게 하며 이로써 독자는 소설에서 정답을 찾는 대신 새로운 질문을 만들어가는 것으로 소설의 역량을 풍부하게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문학의 내재적 확장 가능성에 주목해볼 때, 한국의 현대 소설과 이에 대한 비평은 문학을 사회와 제도의 재현으로 보는 문제적 특징을 지닌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논문은 소설을 하나의 능...

      문학의 내재적 확장 가능성에 주목해볼 때, 한국의 현대 소설과 이에 대한 비평은 문학을 사회와 제도의 재현으로 보는 문제적 특징을 지닌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논문은 소설을 하나의 능동적 사유이게 하는 비평의 방법을 고찰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의 방법론 수립에 있어 주된 참조점이 된 논의는 정동을 통해 시 이미지의 본질을 이해하는 연구이다. 이미지를 실재에 대한 반영이 아닌, 정동적 동요가 일어나는 공간으로 보는 관점은 시문학 텍스트를 하나의 능동적 사유가 되게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시-이미지-정동’의 연구방법론을 ‘소설-미메시스-정동’으로 변주하고자 하였다. 이때 이미지를 대신하여 미메시스의 개념을 도입한 것은 본고의 목적에 보다 철저히 도달하기 위한 시도이다. 정동에 주목한 문학 비평은 텍스트의 내용을 정동 개념에 대한 반영으로 해석함으로써 문학의 내적 운동성을 파악하지 못하는 오류를 범하기 쉽다. 따라서 이에 주의하고자 본고에서는 미메시스의 개념을 통해 서사의 구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힘을 강조해 본다. 이때 이미지의 개념을 원용하지 않은 것은 관념적 소설에 한정된 논의가 되지 않고자 했기 때문이다. 또한 소설은 자기지시성을 특징으로 하는 시와는 달리 현실세계의 논리를 갖추는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반영의 논리를 경계하기 위한 새로운 개념이 요구된다.
      본고의 2장에서는 정동에 주목하여 문학을 읽는 것의 까닭을 정립하기 위해 정동의 개념을 검토하고 그 정치성을 분석한다. 정동 개념은 세계를 개시하는 것이 인식이 아닌 신체라고 보았던 스피노자의 사유에서 기원하는 것으로, 들뢰즈는 신체의 변용 과정 자체에 중요한 의미를 두며 그것을 차용한다. 이러한 관점은 신체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운동을 존재의 역량으로 긍정함으로써 초월적 본질을 전제하는 목적론적 사유로부터 벗어난다. 따라서 예술에 있어 정동에 내재된 실재성을 강조하는 관점은 작품을 무언가에 대한 표상이 아닌, 그 자체로 운동하면서 의미를 구성하는 것이 되게 한다. 이것이 생성 과정에의 주목을 통해 존재의 가능성을 확장시키는 정동의 정치성으로, 이는 정동의 렌즈로 문학을 읽는 것의 의미가 된다.
      3장에서는 정동과 미메시스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미메시스의 개념을 분석한다. 미메시스의 능동적 생산성을 강조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논의는 그것이 주어진 현실을 복제하는 것이 아닌, 가상을 창조하는 작업임을 보여준다. 이후 포스트모더니즘의 맥락에서 미메시스는 근대의 인간중심적 사고에 대한 극복으로서 새롭게 주목된다. 이때 미메시스란 지각을 통해 대상에 다가감으로써 인식 이전에 놓인 것들에 도달하는 사유가 된다. 본고는 이로부터 미메시스의 과정 중에 정동적 동요가 수반된다고 보았으며, 나아가 두 개념의 관련성에 주목할 때 미메시스의 신체성이 창조성으로 확장될 수 있다고 파악하였다. 미메시스의 효과와 관련하여, 벤야민과 리쾨르의 논의는 미메시스의 과정을 통해 자아가 타자성을 수용하고 잠재태를 반성하며 성장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신체적 마주침들에 주목함으로써 현실화되기 이전의 수많은 가능성들을 확보하고 이로부터 존재의 가능성을 전적으로 구현하는 정치성이 된다. 정동을 통해 문학을 읽는 것은 의미화의 과정 이전에 이러한 운동성을 적극적으로 감각하기 위함이며, 미메시스는 서사의 구성 과정 자체로부터 생성의 내적 힘이 분출되는 장소로 기능함으로써 소설을 하나의 실재적 사유가 되게 한다. 나아가 서사의 구성에 있어 미메시스의 능동적 역량에 주목하는 관점은 소설의 본질을 진술 자체의 욕망에서 발견하며 이를 통해 현실에 가닿는 소설의 힘을 증명한다.
      미메시스가 소설에 있어 정동적 동요가 발생하는 공간이라는 검토를 바탕으로 하여, 4장에서는 김승옥의 작품 분석을 통해 소설을 하나의 내적 실재로 읽기를 시도한다. 서사의 무의식적 구성 과정에 주목해 볼 때 「생명연습」에서는 인물 간의 주체적 경계와 시간의 구분이 혼란되는 것이 드러난다. 이는 인식 이전의 것들을 통한 재현으로, 이로써 가치판단을 유보시키는 화자의 내면이 서사의 구성 자체에서 형상화된다. 「다산성」의 분석에서는 정동적 동요를 의미의 중지로 보는 전형적 이해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이 소설을 이루는 세 개의 절들은 단절된 채 제시됨으로써 생명력의 상실을 말로 설명하는 대신 그 분위기를 풍겨낸다. 이처럼 재현의 운동성에 주목하는 관점은 소설을 무엇에 대한 것이 아닌, 그 자체로 무엇인 것이 되게 하며 이로써 독자는 소설에서 정답을 찾는 대신 새로운 질문을 만들어가는 것으로 소설의 역량을 풍부하게 할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ⅲ
      • 제1장 서론 1
      • 1.1. 문제 제기와 연구사 검토 1
      • 국문요약 ⅲ
      • 제1장 서론 1
      • 1.1. 문제 제기와 연구사 검토 1
      • 제2장 정동의 개념과 정치성 21
      • 2.1. 정동의 개념 21
      • 2.2. 정동의 정치성 28
      • 제3장 미메시스의 정동적 기능 37
      • 3.1. 미메시스의 개념 37
      • 3.1.1. 미메시스 개념의 변천사 37
      • 3.1.2. 미메시스와 정동 43
      • 3.2. 미메시스의 정치성 47
      • 3.3. 미메시스와 서사 53
      • 3.4. 방법론 예시: 정동적 사건으로서의 미메시스 60
      • 3.5. 방법론 정리: 미메시스의 재해석과 소설 비평 63
      • 제4장 미메시스의 정동적 양상을 통한 소설 독해의 실제: 김승옥의 소설을 예시하여 68
      • 4.1. 「생명연습」 - 1960년대 삶의 태도의 외화 69
      • 4.2. 「다산성」 - 생명력 상실의 윤곽 77
      • 제5장 결론 85
      • 참고문헌 89
      • ABSTRACT 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