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宋元代 族譜修撰과 그 社會史的 意義 = Compilation of Genealogy in Song-Yuan Period and its Socio-hisotrical Signific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480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송원대 족보편찬은 신흥 사대부 가문으로서 위신을 드러내는 작업이었지만, 송대 이전 혈통적 士族의 任官과 通婚에 불가결한 검증을 위주로 했던 고대 보첩과는 내용 · 체례가 달라졌다. ...

      송원대 족보편찬은 신흥 사대부 가문으로서 위신을 드러내는 작업이었지만, 송대 이전 혈통적 士族의 任官과 通婚에 불가결한 검증을 위주로 했던 고대 보첩과는 내용 · 체례가 달라졌다. 혈통과 정치적 지위보다는 학문과 도덕의 실현자로서 새로운 士族의 정체성을 찾고자 했던 송대 사대부에게, 족보 찬수는 유교적 가족윤리 실천의 표상이기도 했다. 그러나 신흥 사대부들로서 확인할 수 있는 선조의 세대나 종족의 범위는 한정되었다. 대개 小宗 범위의 종족 결속을 촉구하는 소박한 족보가 만들어졌다.
      남송 이후 특히 원대에 들어 중앙 관계로 진출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면서, 지역적 권위를 확보하고자 노력한 사대부는 점차 더 넓은 범위의 족 집단을 족보에 포함시켰다. 족보찬수는 신분적 경계가 희미해지고 사회유동성이 커지는 사회에서 敬宗收族을 촉구하는 구체적인 노력인 동시에 家系의 권위를 높이기 위한 작업이었다. 족보가 일족 내부의 사적인 기록물에서 점차 외부의 눈을 의식한 과시용으로 변화해 갔다. 남송대 이후 족보의 서문을 족외 명인에게 의뢰하는 풍조가 나타나고, 官人 조상을 강조하거나 심지어 유명 官人을 선조로 假託하기도 했다. 아울러 사대부의 유가 윤리와 유교적 규범이 강조되어 족보가 실제 족인들의 현실을 기록하는 것보다는 점점 더 정형적이고 관례적인 경향을 띄기도 했다. 송원대까지 족보는, 후대에 전개될 족보의 내용과 체례를 예시하고 종족제도의 발전에 영향을 준 것은 사실이지만, 당시 지배층인 사대부의 정체성과 사회적 전략을 반영한 산물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enealogy in Song-Yuan period was the proud possession of the literati and officials which replaced the old aristocratic houses, much as the genealogy itself was the symbol of prestige of the ruling elites from its birth. It took the new ruling cl...

      The genealogy in Song-Yuan period was the proud possession of the literati and officials which replaced the old aristocratic houses, much as the genealogy itself was the symbol of prestige of the ruling elites from its birth. It took the new ruling classes about three generations to build up their lineages, toward the mid-Northern Song period, to produce a new kind of genealogy.
      As was the case with the nobility in the previous era, the compilation of the genealogy was still an endeavor for establishing status, yet the new genealogy was now taking a different aim from genealogical records of the previous era when it was used for assessing the family from the objective point of view. The elites of Song favored the scholarship and the virtuousness over the lineage and the political background as their class identity, and considered the genealogy as the exemplification of the practice of the Confucian family values. The extent of the ritual as well as agnatic kinsmen for the upper class of Northern Song would not extend outside of the circle of mourning obligations. Their genealogies were exclusively private documents for the enhancement of this family solidarity.
      In Southern Song and especially more so in Yuan, as landing the job in the central government became more scarce, the elites paid more attention in establishing and solidifying local leadership, which resulted in genealogies encompassing wider range of agnate kin, unlike in Northern Song. The was one of the pragmatic tasks to encourage the formation of descent groups and to enhance the prestige of the family in the era of weakening social status barriers and increased social mobility.
      The genealogy as the exclusively private document began to take a new shape reflecting the interests of peers. Since Southern Song, a trend grew to solicit the non-clan celebrities for the preface of the genealogy, to over-emphasize the ancestors with governmental positions and even to “invent" fake ancestors. With the increasing emphasis on the Confucian philosophy and norms, the genealogy would take the predefined, customary form instead of recording the history of the clansmen. Those of Song-Yuan doubtlessly set the format for the future genealogy and affected the development of the lineage organization, yet they were by-products of the social game played by the contemporary elit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초록〉
      • 1. 序論
      • 2. 古代的 修譜傳統의 消滅
      • 3. 宋代 族譜의 再興과 發展
      • 4. 元代 族譜 編纂의 動向
      • 〈국문 초록〉
      • 1. 序論
      • 2. 古代的 修譜傳統의 消滅
      • 3. 宋代 族譜의 再興과 發展
      • 4. 元代 族譜 編纂의 動向
      • 5. 宋元代 士大夫와 族譜 修撰
      • 6. 結論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