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기주도학습에서 ‘학습성찰’을 통한 학습자중심 인성함양 방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906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대한민국 초등학교와 중학교 과정의 교육목표에는 “학생의 바 른 인성을 함양하는 데에 중점을 둔다.”는 내용이 공통으로 제시되어 있다. 연구자는 자기주도학습에서 수행되는 ‘학습성찰’을 통해 초등학 교와 중학교의 교육목표로 제시된 인성함양이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의 목표지향성과 수업모형에 따라 ‘학습성찰’을 통한 인성함양 결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학교현장에서 구체 화할 수 있는 인성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 패러다임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시대에, 인성교육이 실제적인 지표 역할을 하기 위해서 는 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학습성찰’에 바탕을 둔 인성함양 방안이 보 다 다각적이고 심층적으로 연구되어야 한다.
      번역하기

      현재 대한민국 초등학교와 중학교 과정의 교육목표에는 “학생의 바 른 인성을 함양하는 데에 중점을 둔다.”는 내용이 공통으로 제시되어 있다. 연구자는 자기주도학습에서 수행되는 ‘학...

      현재 대한민국 초등학교와 중학교 과정의 교육목표에는 “학생의 바 른 인성을 함양하는 데에 중점을 둔다.”는 내용이 공통으로 제시되어 있다. 연구자는 자기주도학습에서 수행되는 ‘학습성찰’을 통해 초등학 교와 중학교의 교육목표로 제시된 인성함양이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의 목표지향성과 수업모형에 따라 ‘학습성찰’을 통한 인성함양 결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학교현장에서 구체 화할 수 있는 인성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 패러다임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시대에, 인성교육이 실제적인 지표 역할을 하기 위해서 는 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학습성찰’에 바탕을 둔 인성함양 방안이 보 다 다각적이고 심층적으로 연구되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learner-centered cultivation of character is possible through ‘learning reflection’ conducted in self-directed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means reflecting on and evaluating one's own learning process as the learner leads the entire process according to their own goal. In this process, I think it would be possible to cultivate character, which is suggested as an educational goal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is study shows that there are differences among the results of cultivating character through 'learning reflection' according to the learner's goal orientation and instructional model. Based on this result, it could provide meaningful answers to questions raised in character educ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learner-centered cultivation of character is possible through ‘learning reflection’ conducted in self-directed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means reflecting on and evaluating one's own learning p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learner-centered cultivation of character is possible through ‘learning reflection’ conducted in self-directed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means reflecting on and evaluating one's own learning process as the learner leads the entire process according to their own goal. In this process, I think it would be possible to cultivate character, which is suggested as an educational goal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is study shows that there are differences among the results of cultivating character through 'learning reflection' according to the learner's goal orientation and instructional model. Based on this result, it could provide meaningful answers to questions raised in character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인성교육 성찰 및 방향성 탐색
      • Ⅲ. 인성교육과 자기주도학습의 연계성
      • 1. 인성함양과 연계된 자기주도학습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인성교육 성찰 및 방향성 탐색
      • Ⅲ. 인성교육과 자기주도학습의 연계성
      • 1. 인성함양과 연계된 자기주도학습
      • 2. ‘학습성찰’의 의미와 방법
      • Ⅳ. ‘학습성찰’을 통한 인성함양 과정과 결과
      • 1. 학습자 특성과 수업모형
      • 2. 수업 진행 과정
      • 3. 수업 결과 분석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論語"

      2 송인섭, "현장적용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학지사 2014

      3 장민희, "한국 인성교육의 현황과 향후 방향에 대한 질적 연구: 성격발달이론과 긍정심리학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47 (47): 5-30, 2020

      4 조지선, "하곡 정제두 철학의 인성교육적 연구의 필요성과 의의" 유학연구소 41 : 57-87, 2017

      5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6 정미경, "자기조절학습" 한국학술정보 2008

      7 강민수, "인성교육의 정책 실천에서 드러난 교육적 역설" 교육연구소 41 (41): 37-62, 2020

      8 김영래, "인성교육의 담론" 학지사 2019

      9 김세희, "인성교육의 기존연구 검토와 방향성에 관한 고찰 - 외재적 덕목의 강조에서 내재적 주체성 확립에로의 전환을 중심으로-"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8 (38): 109-126, 2020

      10 정창우, "인성교육과 시민교육의 관계 정립 및 실천 방향 모색" 한국윤리교육학회 10-, 2017

      1 "論語"

      2 송인섭, "현장적용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학지사 2014

      3 장민희, "한국 인성교육의 현황과 향후 방향에 대한 질적 연구: 성격발달이론과 긍정심리학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47 (47): 5-30, 2020

      4 조지선, "하곡 정제두 철학의 인성교육적 연구의 필요성과 의의" 유학연구소 41 : 57-87, 2017

      5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6 정미경, "자기조절학습" 한국학술정보 2008

      7 강민수, "인성교육의 정책 실천에서 드러난 교육적 역설" 교육연구소 41 (41): 37-62, 2020

      8 김영래, "인성교육의 담론" 학지사 2019

      9 김세희, "인성교육의 기존연구 검토와 방향성에 관한 고찰 - 외재적 덕목의 강조에서 내재적 주체성 확립에로의 전환을 중심으로-"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8 (38): 109-126, 2020

      10 정창우, "인성교육과 시민교육의 관계 정립 및 실천 방향 모색" 한국윤리교육학회 10-, 2017

      11 정창우, "인성교육, 어디로 가야 하는가?" 67-, 2015

      12 장승희, "유교사상의 현재성과 윤리교육" 경인문화사 2014

      13 이경화, "영재인성교육 덕목 및 적용을 위한 방안탐색" 한국영재교육학회 13 (13): 127-147, 2014

      14 Sharan, B. M., "성인학습론" 아카데미프레스 2009

      15 리사 손, "메타인지 학습법 - 생각하는 아이가 생각하는 부모를 만든다" 21세기북스 2019

      16 교육부, "도덕과 교육과정"

      17 윤선구, "데카르트 『성찰』" 서울대학교 철학사상 연구소 3 (3): 4-9, 2004

      18 박형빈, "뇌 신경과학과 도덕교육" 울력 2019

      19 중앙일보, "내용은 같은데 보수는 인성교육, 진보는민주시민교육?"

      20 한용진, "근대한국 교육 개념의 변용" 학지사 2020

      21 "道德經"

      22 장승희, "‘인성교육진흥법’에서 추구해야 할인성의 본질과 인성교육의 방향 - 행복담론을 중심으로 -" 한국윤리교육학회 (37) : 75-104, 2015

      23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

      24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Result.do"

      25 Ben, K., "Politics is ethics done in public’: Exploring Linkages and Disjunctions between Citizenship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in England" Bielefeld University 16 (16): 15-17, 2017

      26 Andrew, P., "Character education, the individual and the political" University of Birmingham 49 (49): 143-157,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07 학술지등록 한글명 : 윤리교육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Ethics Education Studies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9 1.39 1.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4 1.06 1.679 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