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Childcare Teachers' Experience of Rights Violation Sun-Mi Le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Paichai University Dae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Dae-Kyun Lee) The purpose of this...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086413
대전 :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학위논문(박사) --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과 , 2024. 8
2024
한국어
대전
125 ; 26 cm
지도교수: 이대균
I804:25007-20000081305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Childcare Teachers' Experience of Rights Violation Sun-Mi Le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Paichai University Dae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Dae-Kyun Lee) The purpose of this...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Childcare Teachers' Experience of Rights Violation
Sun-Mi Le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Paichai University
Dae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Dae-Kyun Le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childcare teachers' violation of their rights. Childcare teachers' experience of infringement of rights develops into a phenomenon of a series of processes, such as grievances caused by infringement of rights, coping with them, and requests raised as limitations. Therefore, the research problem was set up as the violation of the rights experienced by the childcare teacher and the coping and demand for it.
As a research method to meet the research problem, the experience of infringement of the rights of the childcare teachers was applied to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from the viewpoint of exploring the phenomenon of a series of processes. Specifically, Giorgi's technical phenomenology was chosen because it is appropriate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to describe the fact that the childcare teacher's experience of infringement of rights is as it i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nature and structure of experience.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policy to improve the rights of childcare teachers and to guarantee the authority of teachers by exploring the nature and structure of the experience of infringement of childcare teachers' rights. Therefore, the results of the study reflecting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infringement of rights of childcare teachers was shown to be infringement of rights by parents, directors and colleagues, and childcare environment. Infringement of childcare teachers' rights by parents appeared to be a phenomenon such as neglecting childcare teachers' observation of infant and child disability symptoms, breakfast demand, interference with childcare activities, invasion of privacy, abusive language and violence.
Infringement of childcare teachers' rights by directors and co-workers was due to parent-centered class planning, discipline interference, bullying in the workplace, and lack of leadership to respect childcare teachers. Infringement of childcare teachers' rights by childcare environment included misunderstanding of child abuse and human rights violation by unrealistic child abuse standards and CCTV, obstruction of childcare activities due to miscellaneous work, burden of mercy for childcare equipment and injuries while working, and formal welfare.
Second, coping with the infringement of the rights of the childcare teachers was coping with the parents, the director, colleagues, and the childcare environment. In response to the violation of rights by parents, childcare teachers tried to build trust with parents. However, there was no realistic solution to the fundamental problem and no expectation of improvement, so when the endurance was limited, I left or left. Coping with the infringement of rights by the director and colleagues appeared to be active dialogue, suggestion, patience and compliance, sharing problems with colleagues, comforting, resolving to quit, turnover, and direct opening.
In order to cope with the infringement of rights due to the childcare environment, there are self-development, transfer to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dvancement to graduate school, professionalism through various learning, avoidance of contact to avoid suspicion of child abuse, abandonment to forget about unfair infringement, turnover, preparation for public kindergarten appointment.
Third, there were demands for the strengthening of qualifications and examinations of childcare teachers, the legalization of childcare teachers' rights, and the demand for equal pay and exclusive pensions. The root cause of low social status and parents' perception of childcare teachers is that the barriers to entry are low qualification and no examination system. Therefore, the childcare teacher insisted that a four-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and a national examination appropriate to that level are necessary.
As a demand for the legalization of childcare teachers' rights, childcare teachers raised the necessity of guaranteeing class rights and status because they have their own obligations and no provisions on rights in the Infant Care Act. In particular, since childcare teachers observe infants' disability symptoms most quickly and specifically due to their job characteristics, they demanded that the right to request professional disability tests without parental consent be legally guaranteed to prevent infant and child disabilities.
As a result of the demand for equal pay and exclusive pension, the childcare teachers demanded equal pay because they thought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ypes of daycare facilities and the difference in salary with kindergarten teachers was unfair. In addition, the childcare teachers hoped that a dedicated pension system would be created so that they could concentrate on childcare even if they had a high career.
Finally,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childcare teachers hoped to emphasize the need for strengthening qualifications and examinations in order to raise their social status and parent awareness. In addition, the childcare teacher requested that the authority to request a special examination be exercised in order to prevent infant and child disability.
국문 초록 (Abstract)
보육교사의 권리침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 선 미 지도교수 이 대 균 배재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과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권리침해 경험을 알아보기 위한 탐구이다. 보육교...
보육교사의 권리침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 선 미
지도교수 이 대 균
배재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과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권리침해 경험을 알아보기 위한 탐구이다. 보육교사의 권리침해 경험은 권리침해로 인한 고충과 그에 대한 대처 및 한계로 제기되는 요구와 같이 일련의 과정에 대한 현상으로 전개된다. 따라서 연구문제는 보육교사가 경험한 권리침해와 이에 대한 대처 및 요구로 설정되었다. 연구문제를 충족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보육교사의 권리침해 경험은 일련의 과정에 대한 현상의 탐구라는 관점에서,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했다.
구체적으로 보육교사의 권리침해 경험은 있는 사실을 그대로 서술하는 것이 연구의 특성을 반영하는 데 적절해서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을 선택했고, 이러한 연구 논리의 목적은 경험의 본질과 구조를 밝히는 데 있다. 따라서 보육교사 권리침해의 경험에 대한 본질과 구조를 탐구하여, 보육교사의 권리를 개선하고 교권을 보장하기 위한 정책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반영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권리침해 경험은 학부모, 원장·동료, 보육환경에 의한 권리침해로 나타났다. 학부모에 의한 보육교사의 권리침해는 영유아의 장애 증상에 대한 보육교사의 관찰 무시, 아침 식사 요구, 보육활동 간섭, 사생활 침해, 폭언 및 폭력 등의 현상으로 나타났다. 원장·동료에 의한 보육교사의 권리침해는 학부모 중심의 수업계획 강요, 훈육 간섭, 직장 내 괴롭힘, 보육교사를 존중하는 리더십의 부재가 있었다. 보육환경에 의한 보육교사의 권리침해는 현실성 없는 아동학대 기준 및 CCTV에 의한 아동학대 오해와 인권침해, 잡무로 인한 보육활동의 방해, 보육 장비 및 근무 중 부상에 대한 자비 부담, 형식적 복지 등의 현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 권리침해에 대한 대처는 학부모, 원장·동료, 보육환경에 대한 대처가 있었다. 학부모에 의한 권리침해의 대처로, 보육교사는 학부모와 신뢰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근본적인 문제에 대해 현실적 해결방안과 개선될 기대가 없어서, 인내력에 한계가 오면 이직 또는 퇴사했다. 원장·동료에 의한 권리침해의 대처는 적극적 대화, 건의, 인내 및 순응, 동료와 문제를 공유하며 위안, 그만둘 각오로 대항, 이직, 직접 개원 등의 현상으로 나타났다.
보육환경으로 인한 권리침해의 대처로 자기 계발 차원에서 유아교육학과 학사 편입 및 대학원 진학, 다양한 학습을 통해 전문성 도모, 아동학대 의심을 피하기 위한 접촉의 기피, 부당한 침해에 대해 빨리 잊으려고 포기, 공립 유치원 임용고시 준비 및 이직 등이 있었다.
셋째 보육교사 권리침해의 해소를 위한 요구는 보육교사의 자격 및 시험 강화에 대한 요구, 보육교사의 권리 법제화에 대한 요구, 동등한 보수와 전용 연금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보육교사는 자신에 대한 사회적 지위와 학부모의 인식이 낮은 근본적 원인은 진입장벽이 낮은 자격과 무시험제도에 있다고 인식했다. 그래서 보육교사는 4년제 유아교육학과 전공 이수와 그 수준에 맞는 국가고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보육교사의 권리 법제화에 대한 요구로, 보육교사는 영유아보육법에 자신의 의무만 있고 권리에 대한 규정이 없어서, 교권 및 신분보장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특히 보육교사의 직무 특성상 영유아의 장애 증상을 가장 신속하고 구체적으로 관찰하기 때문에, 영유아 장애를 예방하기 위해 학부모 동의 없이 직권으로 전문적인 장애검사를 청구할 수 있는 권한이 법적으로 보장되기를 요구했다.
동등한 보수와 전용 연금에 대한 요구로, 보육교사는 어린이집의 시설유형에 따른 차이 및 유치원교사와의 급여 차이가 부당하다고 생각해서, 동등한 보수를 요구했다. 또한, 보육교사는 고경력이 되어서도 보육에 집중할 수 있게 전용 연금제도가 만들어지기를 희망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