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노인수형자의 회심체험 연구 = Research on the conversion experience of senior convi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658979

      • 저자
      • 발행사항

        천안 : 백석대학교, 2012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2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235.7 판사항(5)

      • DDC

        268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충청남도

      • 형태사항

        x, 171 p. : 삽화(주로천연색),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155-168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백석대학교 도서관(서울) 소장기관정보
        • 백석대학교 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change in mind people experience in times of crisis by examining the experiences of senior convicts in their prison lives. During the process, the attempt to understand their conversion more extensively with the philosophy of Jung analysis psychological approach in particular has been made. Furthermore, the directions for Christian counselors who can help those suffering from inner conflicts with their effective repentance have been proposed so as to convert the lives of convicts.
      This study has sampled 10 senior convicts 60-year old or over prisoned in the "K" Detain Center. They have been taken with a therapy program called, ̏Trip with Art in Search of Oneself" ten times for four months since March, 2010. Counseling took place between 90 and 120 min once or twice per individual during the therapy in progress since April.
      Van Manen research method has been taken in order to better reveal the essence of conversion. According to four elements for the existence of oneself proposed by Van Manen: Experienced body, experienced space, experienced time and experienced relationship, the structure of the conversion experienced by the senior convicts has been analyzed with the analytical phenomenology so as to extract 140 composition meanings, 27 subjects and 13 basic themes and categorize the phenomenon by grouping them by their world of lives.
      The themes have been extracted for each world of lives as follows: <Mal-functioning Body> and <Re-born I> for the experience world of body, <Once Upon a Time>, <Time Puzzle>, and <A New Day> for the experienced world of time, <Hard Prison Life>, <Still A Place to Live>, and <Prison School>, and <Lonely Wild Goose> for the experienced world of space, <A Bird on Thorns>, <A Life with the God>, <Dark Night of the Soul>, and <New Mind and New Hope> for the experience world of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actors affecting the conversion are family, cognitive dissonance, feeling of loss, weak self-identity and existential crisis, etc. Among such factors, family means some godly existence for them with an absolute influence.
      Changes made by the experience of conversion are comfort, feeling of guilt, regretfulness and stability, etc. From the confusion to the conversion through family members, knowledge and encounter with God, senior convicts recover their own stability and get to have some hope for the up coming days. Even after the conversion, senior convicts may still go through some confusion with frequent inner conflicts but such seems to be a continuous cycle of steps to take to the path in search of oneself, and a way converged into the gradual balance of emotional highs and lows.
      I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conversion has been an existential problem based on the time of frustrations and pains. It has been an overall transformation in aspect of behaviors and an opportunity for a growth towards the process of personalization. That is to say, the conversion is a way in search of oneself, and in company with others and towards an unity with God by uniting the broken oneself with antithetic conflicts in the world of time, space, body and relationships.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experiences of the previously overlooked minority of senior convicts have been revealed and Van Manen's analytical phenomenology approach has been taken to touch on the individual experiences of conversion. In addition, the directions for effective corrective measures have been proposed so as to point out what efforts counselors can make to better help people with their conversion.
      Finally, through sincere meetings between researchers and participants, it is more significant than the value of research itself to have the new corrective emotional experience. This study has demonstrated what to do as a Christian counselor to save one soul overlooked by the world by providing an opportunity to inspire with the vocational calling after examin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search of themselves through the reflection on their lives, thereby giving a confirmation on the archetype of human-being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change in mind people experience in times of crisis by examining the experiences of senior convicts in their prison lives. During the process, the attempt to understand their conversion more extensively w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change in mind people experience in times of crisis by examining the experiences of senior convicts in their prison lives. During the process, the attempt to understand their conversion more extensively with the philosophy of Jung analysis psychological approach in particular has been made. Furthermore, the directions for Christian counselors who can help those suffering from inner conflicts with their effective repentance have been proposed so as to convert the lives of convicts.
      This study has sampled 10 senior convicts 60-year old or over prisoned in the "K" Detain Center. They have been taken with a therapy program called, ̏Trip with Art in Search of Oneself" ten times for four months since March, 2010. Counseling took place between 90 and 120 min once or twice per individual during the therapy in progress since April.
      Van Manen research method has been taken in order to better reveal the essence of conversion. According to four elements for the existence of oneself proposed by Van Manen: Experienced body, experienced space, experienced time and experienced relationship, the structure of the conversion experienced by the senior convicts has been analyzed with the analytical phenomenology so as to extract 140 composition meanings, 27 subjects and 13 basic themes and categorize the phenomenon by grouping them by their world of lives.
      The themes have been extracted for each world of lives as follows: <Mal-functioning Body> and <Re-born I> for the experience world of body, <Once Upon a Time>, <Time Puzzle>, and <A New Day> for the experienced world of time, <Hard Prison Life>, <Still A Place to Live>, and <Prison School>, and <Lonely Wild Goose> for the experienced world of space, <A Bird on Thorns>, <A Life with the God>, <Dark Night of the Soul>, and <New Mind and New Hope> for the experience world of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actors affecting the conversion are family, cognitive dissonance, feeling of loss, weak self-identity and existential crisis, etc. Among such factors, family means some godly existence for them with an absolute influence.
      Changes made by the experience of conversion are comfort, feeling of guilt, regretfulness and stability, etc. From the confusion to the conversion through family members, knowledge and encounter with God, senior convicts recover their own stability and get to have some hope for the up coming days. Even after the conversion, senior convicts may still go through some confusion with frequent inner conflicts but such seems to be a continuous cycle of steps to take to the path in search of oneself, and a way converged into the gradual balance of emotional highs and lows.
      I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conversion has been an existential problem based on the time of frustrations and pains. It has been an overall transformation in aspect of behaviors and an opportunity for a growth towards the process of personalization. That is to say, the conversion is a way in search of oneself, and in company with others and towards an unity with God by uniting the broken oneself with antithetic conflicts in the world of time, space, body and relationships.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experiences of the previously overlooked minority of senior convicts have been revealed and Van Manen's analytical phenomenology approach has been taken to touch on the individual experiences of conversion. In addition, the directions for effective corrective measures have been proposed so as to point out what efforts counselors can make to better help people with their conversion.
      Finally, through sincere meetings between researchers and participants, it is more significant than the value of research itself to have the new corrective emotional experience. This study has demonstrated what to do as a Christian counselor to save one soul overlooked by the world by providing an opportunity to inspire with the vocational calling after examin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search of themselves through the reflection on their lives, thereby giving a confirmation on the archetype of human-being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 수형자들을 체험을 통해 수형생활에서의 마음을 심층 탐색해 봄으로써, 위기 상황에서 어떤 마음의 변화를 체험해 나가는지에 대한 현상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그 과정에서 회심에 대해 보다 폭넓은 이해를 시도해 보고자 하였으며, 특별히 융의 분석심리학적 접근을 통하여 회심현상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수형자들의 새로운 삶으로의 전환을 위하여, 그리고 마음의 갈등으로 고통 받고 있는 모든 사람들을 위하여 인간의 회심을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도록 기독교 상담자로서의 적용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K교도소의 60세 이상의 노인수형자 10명을 대상으로 2010년 3월부터 6월까지 4개월에 걸쳐 ‘자아를 찾아가는 미술 여행’이라는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10회 실시하였다.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4월부터는 1회에서 2회의 개별면담이 이루어졌으며, 소요된 시간은 90분에서 120분 사이였다.
      연구자는 회심 체험의 본질을 보다 잘 드러내기 위해 연구의 틀로 Van Manen의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Van Manen이 제시한 생활세계의 네 가지 실존체 즉, 체험된 몸, 체험된 공간, 체험된 시간, 체험된 관계에 따라 노인수형자들의 회심의 경험 구조를 해석학적 현상학적으로 분석하여 140개의 구성의미와 27개의 주제, 그리고 13개의 본질적 주제를 산출해 내었고, 이를 생활세계별로 묶어서 현상을 범주화 하였다.
      각 생활세계별로 도출된 주제를 살펴보면, 체험된 몸의 생활세계에서는 <고장난 몸뚱아리>와 <신생의 나>, 체험된 시간의 생활세계에서는 <옛날 옛적에>, <시간 퍼즐>, <새 날>, 체험된 공간의 생활세계에서는 <고달픈 징역살이>, <그래도 사람 사는 곳>, <감옥 학교>, <외기러기>, 체험된 관계의 생활세계에서는 <가시나무 새>, <귀의하는 삶>, <영혼의 어두운 밤>, <새 마음 새 희망>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회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가족 및 인지 부조화와 박탈감, 나약해진 자아의 상태와 실존적 위기 사건 등을 찾아볼 수 있었으며, 그 중 가족이란 존재는 신과도 같은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회심체험에 따라 나타나는 변화로는 편안함, 미안함, 후회스러움과 안정감 등으로 나타났다. 혼란스러웠던 마음에서 가족이나 지적 자원 그리고 신과의 만남 등을 통한 회심은 노인수형자들로 하여금 안정감을 갖게 하면서 한편으로는 다가오는 새 날에 대한 희망을 갖게 한다.
      회심 이후에도 수시로 올라오는 마음의 갈등은 노인수형자로 하여금 여전히 혼란스러움을 경험하게 하였으나, 이것은 한 걸음씩 자기(self)를 찾아 앞으로 나아가는 순환의 연속이자 감정의 기복이 점차로 좁혀져가는 통합으로의 길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살펴본 회심은 좌절과 고통의 시간을 바탕으로 만나게 되는 실존적 문제였으며, 인지 정서 행동적 차원에서의 총체적 변형이자 개성화 과정으로 나아가는 성장의 기회였다. 즉, 회심은 자신이 처한 시간과 공간, 살아가는 몸과 관계 속에서 끊임없이 올라오는 대극적인 갈등으로 분열되었던 자신과 하나됨으로써 결국 자기(self)를 찾아가는 길이며, 타인과 더불어 하나 되는 길이자, 신과의 합일을 향하는 과정이다.
      본 연구가 갖는 가장 큰 의의를 살펴보면, 그동안 소외되어왔던 노인수형자라는 소수의 대상들의 경험의 실체를 드러내었으며,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방법을 사용하여 개개인의 회심체험을 보다 생생하게 접할 수 있도록 시도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한 사람의 회심을 위해 상담자들이 어떤 노력들을 기울일 수 있는지에 대한 효과적인 교정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점도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연구자와 참여자의 진솔한 만남을 통해 참여자들이 새로운 교정적 정서체험을 경험하였던 것은 연구로서의 가치 그 이상의 의의를 갖는다 하겠다. 연구 참여자들이 자신의 인생을 다시 한 번 재고하는 과정을 통하여 보다 완전한 자신을 찾아 나아가는 인간의 원형적인 모습을 확인했다는 것은 앞으로 기독교상담자로서 세상에서 소외되어 있는 한 영혼을 위하여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소명의식을 고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노인 수형자들을 체험을 통해 수형생활에서의 마음을 심층 탐색해 봄으로써, 위기 상황에서 어떤 마음의 변화를 체험해 나가는지에 대한 현상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그 과정에서 ...

      본 연구는 노인 수형자들을 체험을 통해 수형생활에서의 마음을 심층 탐색해 봄으로써, 위기 상황에서 어떤 마음의 변화를 체험해 나가는지에 대한 현상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그 과정에서 회심에 대해 보다 폭넓은 이해를 시도해 보고자 하였으며, 특별히 융의 분석심리학적 접근을 통하여 회심현상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수형자들의 새로운 삶으로의 전환을 위하여, 그리고 마음의 갈등으로 고통 받고 있는 모든 사람들을 위하여 인간의 회심을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도록 기독교 상담자로서의 적용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K교도소의 60세 이상의 노인수형자 10명을 대상으로 2010년 3월부터 6월까지 4개월에 걸쳐 ‘자아를 찾아가는 미술 여행’이라는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10회 실시하였다.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4월부터는 1회에서 2회의 개별면담이 이루어졌으며, 소요된 시간은 90분에서 120분 사이였다.
      연구자는 회심 체험의 본질을 보다 잘 드러내기 위해 연구의 틀로 Van Manen의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Van Manen이 제시한 생활세계의 네 가지 실존체 즉, 체험된 몸, 체험된 공간, 체험된 시간, 체험된 관계에 따라 노인수형자들의 회심의 경험 구조를 해석학적 현상학적으로 분석하여 140개의 구성의미와 27개의 주제, 그리고 13개의 본질적 주제를 산출해 내었고, 이를 생활세계별로 묶어서 현상을 범주화 하였다.
      각 생활세계별로 도출된 주제를 살펴보면, 체험된 몸의 생활세계에서는 <고장난 몸뚱아리>와 <신생의 나>, 체험된 시간의 생활세계에서는 <옛날 옛적에>, <시간 퍼즐>, <새 날>, 체험된 공간의 생활세계에서는 <고달픈 징역살이>, <그래도 사람 사는 곳>, <감옥 학교>, <외기러기>, 체험된 관계의 생활세계에서는 <가시나무 새>, <귀의하는 삶>, <영혼의 어두운 밤>, <새 마음 새 희망>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회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가족 및 인지 부조화와 박탈감, 나약해진 자아의 상태와 실존적 위기 사건 등을 찾아볼 수 있었으며, 그 중 가족이란 존재는 신과도 같은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회심체험에 따라 나타나는 변화로는 편안함, 미안함, 후회스러움과 안정감 등으로 나타났다. 혼란스러웠던 마음에서 가족이나 지적 자원 그리고 신과의 만남 등을 통한 회심은 노인수형자들로 하여금 안정감을 갖게 하면서 한편으로는 다가오는 새 날에 대한 희망을 갖게 한다.
      회심 이후에도 수시로 올라오는 마음의 갈등은 노인수형자로 하여금 여전히 혼란스러움을 경험하게 하였으나, 이것은 한 걸음씩 자기(self)를 찾아 앞으로 나아가는 순환의 연속이자 감정의 기복이 점차로 좁혀져가는 통합으로의 길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살펴본 회심은 좌절과 고통의 시간을 바탕으로 만나게 되는 실존적 문제였으며, 인지 정서 행동적 차원에서의 총체적 변형이자 개성화 과정으로 나아가는 성장의 기회였다. 즉, 회심은 자신이 처한 시간과 공간, 살아가는 몸과 관계 속에서 끊임없이 올라오는 대극적인 갈등으로 분열되었던 자신과 하나됨으로써 결국 자기(self)를 찾아가는 길이며, 타인과 더불어 하나 되는 길이자, 신과의 합일을 향하는 과정이다.
      본 연구가 갖는 가장 큰 의의를 살펴보면, 그동안 소외되어왔던 노인수형자라는 소수의 대상들의 경험의 실체를 드러내었으며,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방법을 사용하여 개개인의 회심체험을 보다 생생하게 접할 수 있도록 시도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한 사람의 회심을 위해 상담자들이 어떤 노력들을 기울일 수 있는지에 대한 효과적인 교정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점도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연구자와 참여자의 진솔한 만남을 통해 참여자들이 새로운 교정적 정서체험을 경험하였던 것은 연구로서의 가치 그 이상의 의의를 갖는다 하겠다. 연구 참여자들이 자신의 인생을 다시 한 번 재고하는 과정을 통하여 보다 완전한 자신을 찾아 나아가는 인간의 원형적인 모습을 확인했다는 것은 앞으로 기독교상담자로서 세상에서 소외되어 있는 한 영혼을 위하여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소명의식을 고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ⅶ
      • 감사의 글 ⅸ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국문초록 ⅶ
      • 감사의 글 ⅸ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4
      • 3. 용어 정의 5
      • Ⅱ. 이론적 고찰 6
      • 1. 노인수형자에 대한 이해 6
      • 1) 노인과 노인수형자의 개념 6
      • 2) 노인수형자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위기 그리고 영성 8
      • 3) 노인범죄의 최근동향과 교정상담의 현황 15
      • 2. 회심에 대한 이해 17
      • 1) 회심의 정의와 분류 17
      • 2) 회심의 효과 25
      • 3. 회심의 심리학적 접근 26
      • 1) 회심의 종교심리학적 특성 28
      • 2) 회심의 사회심리학적 특성 30
      • 3) 회심의 분석심리학적 특성 33
      • 4. 선행연구 36
      • Ⅲ. 연구 방법 43
      • 1.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43
      • 2.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과정 47
      • 1) 체험의 본질에의 집중 47
      • (1) 현상에 대한 지향 47
      • (2) 현상학적 질문 형성 47
      • (3) 연구자의 가정과 선 이해 48
      • 2) 실존적 탐구 49
      • (1) 회심에 대한 연구자의 경험 49
      • (2) 어원의 추적 50
      • (3) 민요의 추적 52
      • (4) 속담 및 관용어구 조사 53
      • (5) 문학과 예술 작품에 나타난 회심 57
      • (6) 성경 인물에서의 회심 78
      • (7) 교회사 인물에서의 회심 80
      • 3. 연구 참여자들에 의해 체험된 회심 83
      • 1) 자료수집 방법과 기간 83
      • 2) 연구 참여자 선정 및 소개 85
      • 3) 연구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90
      • 4. 해석학적 현상학적 분석 91
      • 5.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 92
      • 6. 연구의 질 확보 93
      •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95
      • 1. 노인수형자의 회심체험의 해석학적 반성 95
      • 1) 체험된 시간성 96
      • 2) 체험된 공간성 103
      • 3) 체험된 신체성 109
      • 4) 체험된 관계성 113
      • 2. 노인수형자의 회심체험의 본질적 구조 125
      • 3. 노인수형자의 회심체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28
      • 4. 노인수형자의 회심체험에 따라 나타나는 변화 131
      • 5. 노인수형자의 회심체험 후 순환되는 갈등의 현상 132
      • 6.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 135
      • Ⅴ. 결론 및 제언 143
      • 1. 요약 및 결론 143
      • 2. 연구의 의의 149
      • 3. 기독교 상담의 실천적 적용 150
      • 4.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153
      • 참고문헌 155
      • Abstract 16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