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선형 시계열모형을 활용한 한국의 원자력 에너지와 온실가스배출(CO2)간 관계분석 =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uclear Energy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in Korea Using a Nonlinear Time Series Mod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의 1991년부터 2022년까지 연도별 자료를 이용하여 원자력 에너지와 온실가스 배출 사이의 장・단기 관계를 분석했다. 실증분석을 위해 비선형 자기회기시차 모형(NARDL)과 한계검정법으로 장기균형 관계를 추정했으며 오차수정모형(ECM)을 이 용하여 단기적 관계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GDP는 온실가스배출량에 양(+)의 영향을 미 쳤으며, 원자력에너지와 금융발전은 온실가스배출량에 음(-)의 영향을 미쳤다. 1%의 GDP가 증가할 경우, 온실가스 배출량이 0.78% 만큼 증가시켰다. 금융발전이 1% 증가 할 경우, 온실가스 배출량은 0.14% 감소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원자력 에너지 1% 변동 이 온실가스배출량에 0.3% 감소 시켰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한국의 원자력 에너지와 온 실가스배출량 사이의 강한 연관성을 보여 주고 있다. 이처럼 원자력 에너지 정책에 대한 국민적 공감과 장・단기에 적합한 정책이 요구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의 1991년부터 2022년까지 연도별 자료를 이용하여 원자력 에너지와 온실가스 배출 사이의 장・단기 관계를 분석했다. 실증분석을 위해 비선형 자기회기시차 모형(NARDL)과 한계...

      본 연구는 한국의 1991년부터 2022년까지 연도별 자료를 이용하여 원자력 에너지와 온실가스 배출 사이의 장・단기 관계를 분석했다. 실증분석을 위해 비선형 자기회기시차 모형(NARDL)과 한계검정법으로 장기균형 관계를 추정했으며 오차수정모형(ECM)을 이 용하여 단기적 관계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GDP는 온실가스배출량에 양(+)의 영향을 미 쳤으며, 원자력에너지와 금융발전은 온실가스배출량에 음(-)의 영향을 미쳤다. 1%의 GDP가 증가할 경우, 온실가스 배출량이 0.78% 만큼 증가시켰다. 금융발전이 1% 증가 할 경우, 온실가스 배출량은 0.14% 감소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원자력 에너지 1% 변동 이 온실가스배출량에 0.3% 감소 시켰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한국의 원자력 에너지와 온 실가스배출량 사이의 강한 연관성을 보여 주고 있다. 이처럼 원자력 에너지 정책에 대한 국민적 공감과 장・단기에 적합한 정책이 요구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long-run and short-run relationship between nuclear energy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using annual data from 1991 to 2022 in Korea. For empirical analysis, the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 was estimated using the nonlinear autoregressive lag model (NARDL) and the short-run relationship was analyzed using the error correction model (EC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GDP had a positive (+) effect on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nuclear energy and financial development had a negative (-) effect on greenhouse gas emissions. When GDP increases by 1%, greenhouse gas emissions increase by 0.78%. When financial development increases by 1%, greenhouse gas emissions decrease by 0.14%.
      A 1% change in nuclear energy reduced greenhouse gas emissions by 0.3%. These analysis results show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Korea's nuclear energy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As such, public consensus on nuclear energy policy and appropriate long-run and short-run policies are required.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the long-run and short-run relationship between nuclear energy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using annual data from 1991 to 2022 in Korea. For empirical analysis, the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 was estimated using the nonline...

      This study analyzed the long-run and short-run relationship between nuclear energy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using annual data from 1991 to 2022 in Korea. For empirical analysis, the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 was estimated using the nonlinear autoregressive lag model (NARDL) and the short-run relationship was analyzed using the error correction model (EC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GDP had a positive (+) effect on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nuclear energy and financial development had a negative (-) effect on greenhouse gas emissions. When GDP increases by 1%, greenhouse gas emissions increase by 0.78%. When financial development increases by 1%, greenhouse gas emissions decrease by 0.14%.
      A 1% change in nuclear energy reduced greenhouse gas emissions by 0.3%. These analysis results show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Korea's nuclear energy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As such, public consensus on nuclear energy policy and appropriate long-run and short-run policies are required.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