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동일, 지식산업사 1984
2 김용덕, "한국전기문학론" 민족문화사 1987
3 박희병, "한국 한문학에 있어 ‘전’과 ‘소설’의 관계 양상" 한국한문학연구회 12 : 1989
4 김찬기, "한국 근대소설의 형성과 전(傳)" 소명출판 2004
5 김주연, "폐쇄사회, 인정주의, 이데올로기, in 관촌수필" 문학과지성사 1977
6 유영대, "판소리의 이해, in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 월인 2008
7 전정구, "토속어의 활용과 관용적 표현, in 문학과 방언" 역락 2001
8 전경욱, "춘향전의 사설형성원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0
9 배봉기, "채만식 소설에 나타난 판소리의 서술양식에 대한 고찰" 연세대학교 1985
10 유용주, "장산리 왕소나무" (여름) : 2000
1 조동일, 지식산업사 1984
2 김용덕, "한국전기문학론" 민족문화사 1987
3 박희병, "한국 한문학에 있어 ‘전’과 ‘소설’의 관계 양상" 한국한문학연구회 12 : 1989
4 김찬기, "한국 근대소설의 형성과 전(傳)" 소명출판 2004
5 김주연, "폐쇄사회, 인정주의, 이데올로기, in 관촌수필" 문학과지성사 1977
6 유영대, "판소리의 이해, in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 월인 2008
7 전정구, "토속어의 활용과 관용적 표현, in 문학과 방언" 역락 2001
8 전경욱, "춘향전의 사설형성원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0
9 배봉기, "채만식 소설에 나타난 판소리의 서술양식에 대한 고찰" 연세대학교 1985
10 유용주, "장산리 왕소나무" (여름) : 2000
11 신경숙, "이미 정이 든 냄새와 골계미학" (여름) : 2000
12 이라온안, "이문구의 『관촌수필』 연구" 상명대 2001
13 김정아, "이문구 소설의 토포필리아 연구" 충남대 2004
14 최시한, "이문구 소설의 서술 구조 ― 연작소설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2 (12): 57-84, 2008
15 고인환, "이문구 소설의 근대와 탈식민성 연구" 경희대 2003
16 이청, "이문구 소설의 골계적 특성 연구" 고려대 2002
17 유은재, "이문구 소설의 恨 과 문체의 교감 연구" 중앙대 2004
18 민병인, "이문구 소설 연구" 중앙대 2000
19 이만교, "이문구 소설 연구" 인하대 2004
20 구자황, "이문구 소설 연구" 성균관대 2001
21 이문구, "유자소전" 벽호 1992
22 이문구, "우리동네" 솔 1996
23 전정구, "싱싱한 수풀 같은 문체, in 약속 없는 시대의 글쓰기" 시와시학사 1995
24 송기숙, "시골 밭둑의 싱싱한 수풀, in 산 너머 남촌" 창작과비평사 1990
25 조남현, "소설원론" 고려원 1992
26 제라르 즈네뜨, "서사담론" 교보문고 1992
27 김흥규, "생생한 고향의 기억과 상실" 삼성출판사 1979
28 김치수, "상황과 문체" (여름) : 1972
29 김인환, "사실의 힘, in 관촌수필" 나남 1999
30 김윤식, "문체의 힘, in 한국현대문학사" 일지사 1976
31 김태현, "문체의 윤기와 농촌의 변모" (겨울) : 1990
32 김윤식, "모란꽃 무늬와 물빛 무늬" (여름) : 2000
33 송희복, "말투의 복원, 청감의 시학, in 이 풍진 세상을" 솔 1997
34 한수영, "말을 찾아서" (가을) : 2000
35 월터 J. 옹,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문예출판사 1995
36 김병국, "구비서사시로서 본 판소리 사설의 구성 방식, in 한국 고전문학의 비평적 이해"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5
37 이문구, "관촌수필" 문학과지성사 2000
38 김현, "고향 탐색의 문학적 의미, in 책읽기의 괴로움" 문학과지성사 1995
39 성기옥, "傳의 장르적 검토" 울산대 국문학과 1 : 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