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등학교 과학 선택과목 이수가 대학에서의 과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Taking Elective Science Courses in High School on Studying Science at the University Lev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989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aking elective science courses in high school on studying science at the university level. The research methods undertaken for this study included surveys of college students in science areas. For physics and biology major studen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hievement in the basic courses at the university level were found between the groups that took only Science I courses and the group took Science I and II courses. For chemistry major students, achievement for the group that took Chemistry I and II cours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basic courses,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as found in the advanced courses. The perceptions of college students regarding the effects of their science learning experience in high school on learning science at the university level were investigated. All the college students perceived that whether or not they took Science II courses in high school, it did not affect their learning in basic science courses in college. They also perceived that students were able to overcome difficulties by making extra effort even if they did not take Science II courses in high school.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aking elective science courses in high school on studying science at the university level. The research methods undertaken for this study included surveys of college students in science areas. For physics and bi...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aking elective science courses in high school on studying science at the university level. The research methods undertaken for this study included surveys of college students in science areas. For physics and biology major studen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hievement in the basic courses at the university level were found between the groups that took only Science I courses and the group took Science I and II courses. For chemistry major students, achievement for the group that took Chemistry I and II cours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basic courses,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as found in the advanced courses. The perceptions of college students regarding the effects of their science learning experience in high school on learning science at the university level were investigated. All the college students perceived that whether or not they took Science II courses in high school, it did not affect their learning in basic science courses in college. They also perceived that students were able to overcome difficulties by making extra effort even if they did not take Science II courses in high schoo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국태, "화학 I 교과에 대한 화학 교사들의 인식과 학습 지도 방식에 대한 조사" 대한화학회 51 (51): 73-81, 2007

      2 이규석, "학교 과학 교육 활성화를 위한 대학입시제도 개선" 서울: 한국과학교육학회 2002

      3 서혜애, "초∙중등 우수학생 이공계 진출을 위한 과학 교육 정 책방안 수립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4

      4 서혜애, "창의적 과학기술인재 양성을 위한 과 학 교육 개선 방안 연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2007

      5 홍미영, "제7차 고등학교 화학 선택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 분석" 대한화학회 50 (50): 394-403, 2006

      6 조향숙, "수학∙과 학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2008

      7 이종성, "사회과학 연구를 위한 통계방법" 서울: 박영사 2007

      8 오희균, "사범대학생의 역학과 전자기 개념 이해 분석 - 다양한 분석과 해석 방법을 중심으로 -" 한국물리학회 59 (59): 27-38, 2009

      9 홍후조, "대학 전공 학습을 위한 고교의 선수학습과목에 관한 대학생의 인식 조사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257-288, 2005

      10 교육과학기술부, "과학중점고등학교 운영 방안" 교육과학기술부 2009

      1 박국태, "화학 I 교과에 대한 화학 교사들의 인식과 학습 지도 방식에 대한 조사" 대한화학회 51 (51): 73-81, 2007

      2 이규석, "학교 과학 교육 활성화를 위한 대학입시제도 개선" 서울: 한국과학교육학회 2002

      3 서혜애, "초∙중등 우수학생 이공계 진출을 위한 과학 교육 정 책방안 수립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4

      4 서혜애, "창의적 과학기술인재 양성을 위한 과 학 교육 개선 방안 연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2007

      5 홍미영, "제7차 고등학교 화학 선택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 분석" 대한화학회 50 (50): 394-403, 2006

      6 조향숙, "수학∙과 학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2008

      7 이종성, "사회과학 연구를 위한 통계방법" 서울: 박영사 2007

      8 오희균, "사범대학생의 역학과 전자기 개념 이해 분석 - 다양한 분석과 해석 방법을 중심으로 -" 한국물리학회 59 (59): 27-38, 2009

      9 홍후조, "대학 전공 학습을 위한 고교의 선수학습과목에 관한 대학생의 인식 조사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257-288, 2005

      10 교육과학기술부, "과학중점고등학교 운영 방안" 교육과학기술부 2009

      11 교육부,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 서주식회사 1997

      12 김주훈, "고등학교 과학과 선 택 중심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 원 2006

      13 이보경, "고등학교 과학 심화선택과목 이수여부와 대학 과학 교과목의 학업성취도"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191-210, 2008

      14 Razali, S. N, "What college chemistry instructors and high school chemistry teachers perceive as important for incoming college students" 31 (31): 735-747, 1994

      15 Conley, D. T, "Understanding university success" Eugene, Oregon:Center for Educational Policy Research, University of Oregon 2003

      16 Sadler, P. M, "Sucess in introductory college physics: The role of high school preparation" 85 (85): 111-136, 2001

      17 Sadler, P. M., "Science" 317 (317): 457-458, 2007

      18 Vaughn, S., "Focus group interviews in education and psychology" Thousand Oaks, CA: Sage 1996

      19 Tai, R. H., "Factors influencing college science success" 36 (36): 52-56, 2006

      20 Trusty,J, "Effect of high school courses-taking and other variables on choice of science and mathematics college major" 80 (80): 464-474, 2002

      21 OECD, "Education at a glance 2008" Paris: Author 2008

      22 Barbour, R, "Doing focus group" Thousand Oaks, CA: Sage 2007

      23 Schwartz, M., "Divergent views: teacher and professor perceptions about pre-college factors that influence college science success" 17 (17): 18-35, 2008

      24 Schwartz, M., "Depth versus breadth: how content coverage in high school science relates to later success in college science coursework" 93 (93): 798-826, 2009

      25 김성열, "2012학년도 수능 탐구 및 제2외국어/한문 영역 응시과목 축소 방안 공청회"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3-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4-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07-04-0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7 1.87 1.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54 2.133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