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는 급속한 고령화와 함께 대기업에서 오랜 경력을 쌓은 시니어 의 경제적, 사회적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은 2025년에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192962
구미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컨설팅대학원, 2025
학위논문(석사)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컨설팅대학원 , 컨설팅학과 , 2025. 2
2025
한국어
경상북도
78 ; 26 cm
지도교수: 김태성
I804:47006-00000001724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우리 사회는 급속한 고령화와 함께 대기업에서 오랜 경력을 쌓은 시니어 의 경제적, 사회적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은 2025년에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
우리 사회는 급속한 고령화와 함께 대기업에서 오랜 경력을 쌓은 시니어
의 경제적, 사회적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은
2025년에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로 인해 시니어층의 지속
가능한 경제 활동을 위한 창업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
화와 맞물려 대기업 시니어는 축적된 경력과 전문 지식을 활용하여 창업을 통
해 새로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자 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정
부의 창업 지원정책은 여전히 청년층 중심으로 편중되어 있어, 시니어 창업자
의 특성에 맞는 지원책이 부족한 실정이다.
대기업 시니어는 일반적으로 충분한 자금력과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는 창업 초기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중요한 자원이 된다. 하지만 창업 실행
과정에서의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시니어 창업자들은 여러 한계
에 직면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창업지원제도의 세부 항목인 기술지원, 자금지원, 멘토링지
원, 창업교육, 네트워크지원이 대기업 시니어의 창업 실행 가능성에 미치는 영
향을 분석하고 창업의지가 창업 실행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탐구
하였다. 더불어 시니어의 기대수명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기대수명이 이들
요인과 창업 실행 가능성 간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금지원과 네트워크지원은 대기업
시니어의 창업 실행 가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는 초기 창업자본과 사업 확장에 필요한 네트워크 형성이 대기업 시니어의 창
업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둘째, 기대수명이 길수록 자
금지원과 네트워크지원의 긍정적 효과가 더욱 강화되는 조절효과가 확인되었
다. 이는 장기적인 경제 자립을 목표로 하는 시니어층이 창업을 통해 지속적
인 수입원을 마련하고자 할 때 자금과 네트워크의 필요성을 더욱 절감하는 것
으로 볼 수 있다. 셋째, 기술지원과 멘토링지원은 직접적인 영향에서는 유의미
하지 않았지만 기대수명과의 조절효과를 통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장기적 관점에서 기술적 보완과 멘토의 조언이 대기
업 시니어층의 창업 실행을 촉진하는 중요한 요인이 됨을 시사한다. 반면, 창
업교육은 직접적 효과와 기대수명 조절효과 모두에서 유의미하지 않아 대기업
시니어층이 이미 경력을 통해 창업에 필요한 지식과 경험을 갖추고 있음을 보
여주고 있고 일반적인 창업교육보다는 실질적인 자원과 구체적 경영 지원이
더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넷째, 창업의지는 대기업 시니어층의 창
업 실행 가능성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기대수명이 높을수록 그 효
과가 더욱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기업 시니어층이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과 도전 정신을 통해 적극적으로 창업을 추진할 수 있으며 장기적인
경제 활동을 목표로 하는 기대수명이 창업의지의 영향을 강화하는 요인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대기업 시니어의 창업 실행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
하여 시니어 창업 지원정책의 차별화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기대수
명을 고려한 맞춤형 창업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고령화 사회에서 대기
업 시니어의 경제적 자립과 창업 실행 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전략 방안 모
색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통해 시니어 창업이 경제적
자립뿐만 아니라 사회적 가치 창출과 고령화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기
반을 마련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