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라디오학교에서 TV여름학교까지: 한국 교육방송에서 미국의 원조와 국가개입의 역사 = Radio School to TV Summer School: The history of US influence and the governmental involvement in the educational broadcast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374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950년대에서 1960년대까지의 교육방송의 역사에 초점을 두고, 한국 교육방송의 시작에 있어 내부의 지역적 맥락의 특징을 알아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50년대 한국에서 라디오 학교방송이 시작된 계기과 그 진행과정을 통해 교육방송의 시행이 보여준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고, 1960년대 중앙시청각교육원의 설립과 텔레비전 교육방송 시행을 통해 중앙정부가 교육방송 시행 및 확대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았다.
      한국의 교육방송은 1950년대 시청각교육의 일환으로 시작되었으며, 미국 국제협력처의 기술 및 재정원조를 통해 시작되었다. 당시 라디오 학교방송은 당시 유입된 존 듀이의 미국식 경험주의 교육을 학교 현장에서 시행할 수 있는 교육기자재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초기 라디오 학교방송은 실제 시행과정에서는 시청각교육협회를 비롯한 교육자들의 조직이 더 큰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고려할 때, 당시 미국 원조의 결과물로만 보기에는 어렵다.
      1963년 중앙시청각교육원의 설립과 텔레비전 교육방송의 시작은 중앙정부가 본격적으로 교육방송에 개입했음을 보여준다. 중앙시청각교육원을 통해 중앙정부는 교육방송 프로그램 기획과 제작을 모두 담당했으며, 이는 1968년 국민교육헌장 반포와 함께 1970년대 교육방송에 있어 프로그램의 내용에 국가주의적, 민족주의적 색채가 짙어지게 된 원인이 되었다. 중앙시청각교육원의 설립과 그 기능, 그리고 상대적으로 급박하게 진행된 교육방송의 확대는 한국 교육방송의 구조에 있어 프로그램의 제작과 송출의 역할이 나뉜 이중적 구조를 만든 배경이 되었다.
      한국에서 초기 교육방송의 역사는 외부의 원조가 해당 국가나 지역에 어떠한 방식으로 효과를 볼 수 있는가에 대해 중요한 시사점을 주는 사례이다. 또한, 교육방송에 대한 미국의 원조는 1950년대 초기부터 1980년 미국 USAID가 대한교육원조사업을 종료할 때까지 지속된 장기적 사업이었다는 점에서, 한국 현대교육사에 있어 미국의 교육원조가 한국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1950년대에서 1960년대까지의 교육방송의 역사에 초점을 두고, 한국 교육방송의 시작에 있어 내부의 지역적 맥락의 특징을 알아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50년대 한국에서 라디오 ...

      본 연구는 1950년대에서 1960년대까지의 교육방송의 역사에 초점을 두고, 한국 교육방송의 시작에 있어 내부의 지역적 맥락의 특징을 알아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50년대 한국에서 라디오 학교방송이 시작된 계기과 그 진행과정을 통해 교육방송의 시행이 보여준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고, 1960년대 중앙시청각교육원의 설립과 텔레비전 교육방송 시행을 통해 중앙정부가 교육방송 시행 및 확대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았다.
      한국의 교육방송은 1950년대 시청각교육의 일환으로 시작되었으며, 미국 국제협력처의 기술 및 재정원조를 통해 시작되었다. 당시 라디오 학교방송은 당시 유입된 존 듀이의 미국식 경험주의 교육을 학교 현장에서 시행할 수 있는 교육기자재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초기 라디오 학교방송은 실제 시행과정에서는 시청각교육협회를 비롯한 교육자들의 조직이 더 큰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고려할 때, 당시 미국 원조의 결과물로만 보기에는 어렵다.
      1963년 중앙시청각교육원의 설립과 텔레비전 교육방송의 시작은 중앙정부가 본격적으로 교육방송에 개입했음을 보여준다. 중앙시청각교육원을 통해 중앙정부는 교육방송 프로그램 기획과 제작을 모두 담당했으며, 이는 1968년 국민교육헌장 반포와 함께 1970년대 교육방송에 있어 프로그램의 내용에 국가주의적, 민족주의적 색채가 짙어지게 된 원인이 되었다. 중앙시청각교육원의 설립과 그 기능, 그리고 상대적으로 급박하게 진행된 교육방송의 확대는 한국 교육방송의 구조에 있어 프로그램의 제작과 송출의 역할이 나뉜 이중적 구조를 만든 배경이 되었다.
      한국에서 초기 교육방송의 역사는 외부의 원조가 해당 국가나 지역에 어떠한 방식으로 효과를 볼 수 있는가에 대해 중요한 시사점을 주는 사례이다. 또한, 교육방송에 대한 미국의 원조는 1950년대 초기부터 1980년 미국 USAID가 대한교육원조사업을 종료할 때까지 지속된 장기적 사업이었다는 점에서, 한국 현대교육사에 있어 미국의 교육원조가 한국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mainly examines the history of educational broadcasting in South Korea from the 1950s to the 1960s. To clarify the initial history of educational broadcasting in Korea, this study focuses on the establishment of radio school broadcasting that began in the early 1950s and its transformation to the educational television for schooling in Korea. Educational broadcasting in Korea began in 1951 during the Korean War. It was mainly perceived as a type of audio-visual education and a tool for launching “new education” from American education team that intended to implement the American progressive education. In the 1960s, the central government began its influence on the educational broadcasting system.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Center for Audio-Visual Education in Korea. The history of educational broadcasting in Korea represents that the initial educational broadcasting was not just an area of Cold War education but how local educators endeavored to accept foreign systems to fit into their contexts.
      번역하기

      The study mainly examines the history of educational broadcasting in South Korea from the 1950s to the 1960s. To clarify the initial history of educational broadcasting in Korea, this study focuses on the establishment of radio school broadcasting tha...

      The study mainly examines the history of educational broadcasting in South Korea from the 1950s to the 1960s. To clarify the initial history of educational broadcasting in Korea, this study focuses on the establishment of radio school broadcasting that began in the early 1950s and its transformation to the educational television for schooling in Korea. Educational broadcasting in Korea began in 1951 during the Korean War. It was mainly perceived as a type of audio-visual education and a tool for launching “new education” from American education team that intended to implement the American progressive education. In the 1960s, the central government began its influence on the educational broadcasting system.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Center for Audio-Visual Education in Korea. The history of educational broadcasting in Korea represents that the initial educational broadcasting was not just an area of Cold War education but how local educators endeavored to accept foreign systems to fit into their contex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순진, "한국전쟁 후 시청각 미디어의 배치와냉전의 미디어 네트워크" 한국학연구소 (48) : 85-118, 2018

      2 남명자, "한국의 교육방송제도" 2 : 147-158, 1996

      3 차석기, "한국교육의 개선은 시청각교육으로" 19 : 41-45, 1959

      4 구자은, "한국교육방송의 역사와 전망" 17 : 114-127, 1996

      5 이연호, "한국교육방송의 역사와 방향" 17 (17): 37-39, 1964

      6 한국교육개발원20년사편찬위원회, "한국교육개발원20년사" 한국교육개발원 1992

      7 한국교육개발원10년사편찬위원회, "한국교육개발원10년사" 한국교육개발원 1983

      8 오준호, "한국 영화제도의 형성과정: 유네스코의 기초교육 프로그램과 교육영화를 중심으로" 문학과영상학회 19 (19): 247-280, 2018

      9 유태영, "한국 교육 TV의 성장을 위하여" 68 : 30-33, 1970

      10 김두평, "학교방송의 활용책" 66 : 50-57, 1963

      1 이순진, "한국전쟁 후 시청각 미디어의 배치와냉전의 미디어 네트워크" 한국학연구소 (48) : 85-118, 2018

      2 남명자, "한국의 교육방송제도" 2 : 147-158, 1996

      3 차석기, "한국교육의 개선은 시청각교육으로" 19 : 41-45, 1959

      4 구자은, "한국교육방송의 역사와 전망" 17 : 114-127, 1996

      5 이연호, "한국교육방송의 역사와 방향" 17 (17): 37-39, 1964

      6 한국교육개발원20년사편찬위원회, "한국교육개발원20년사" 한국교육개발원 1992

      7 한국교육개발원10년사편찬위원회, "한국교육개발원10년사" 한국교육개발원 1983

      8 오준호, "한국 영화제도의 형성과정: 유네스코의 기초교육 프로그램과 교육영화를 중심으로" 문학과영상학회 19 (19): 247-280, 2018

      9 유태영, "한국 교육 TV의 성장을 위하여" 68 : 30-33, 1970

      10 김두평, "학교방송의 활용책" 66 : 50-57, 1963

      11 임한익, "학교방송" 1 (1): 56-60, 1964

      12 최한수, "학교교육 현대화의 첨병 : 중앙시청각교육원" 21 (21): 93-97, 1969

      13 총무처 법무담당관, "중앙시청각교육원직제"

      14 이용걸, "중앙시청각교육원의 연혁과 업적" 1 (1): 52-53, 1964

      15 "조선일보"

      16 김학천, "전담 교육방송 체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87

      17 한철규, "입으로만 가르쳐야 할가 –시청각교육의 강력한 추진을 주장함-" 10 : 54-57, 1959

      18 朴淑姬, "우리나라 교육방송의 역사적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74

      19 권오일, "어제와 오늘과 내일에 비추어 본 우리나라 학교방송의 이정표" 3 (3): 8-14, 1966

      20 원흥균, "시청각교육의 회고와 전망" 15 : 14-15, 1954

      21 원흥균, "시청각교육운동과 우리의 실태" 2 (2): 143-151, 1959

      22 문교부, "시청각교육심의회규정(안)"

      23 총무국 의정국 의사과, "시청각교육심의회규정(국무원령제206호)"

      24 총무국 의정국 의사과, "시청각교육심의회규정"

      25 이원직, "시청각교육사업의 개관" (59) : 46-47, 1959

      26 강희수, "시청각교육" 21 (21): 100-105, 1969

      27 한응수, "시청각교육"

      28 원흥균, "시청각교육" 시청각교육사 1960

      29 방송연감편찬위원회, "방송연감" 청구출판사 1965

      30 김우영, "미국 아동용 교육텔레비전 방송의 세계화와 현지화된 교육프로그램의 등장: 한국의 Sesame Street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4 (24): 189-217, 2023

      31 김려실, "문화냉전: 미국의 공보선전과 주한 미공보부원 영화" 현실문화 2019

      32 문교40년사편찬위원회, "문교40년사" 문교부 1988

      33 김우영, "매체발달과 교원역량 담론의 역사적 전개 : UNESCO의 교원역량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독교육학회 28 (28): 1-25, 2023

      34 문교부 중앙시청각교육원, "라디오 학교방송: 1974학년도 제1학기 교사용 지도서" 중앙시청각교육원 1974

      35 문교부 중앙시청각교육원, "라디오 학교방송: 1972학년도 제1학기 교사용 지도서" 중앙시청각교육원 1972

      36 문교부 중앙시청각교육원, "라디오 학교방송: 1971학년도 제1학기 교사용 지도서" 중앙시청각교육원 1971

      37 문교부 라디오학교운영위원회, "라디오 학교, 교사의 시간 3" 문교부 1953

      38 "동아일보"

      39 한국교육방송공사, "대한민국, 교육의 길을 묻다: 1974-2010 교육방송 36년, EBS공사창립 10주년" 한국교육방송공사 2010

      40 공영민, "냉전의 시청각 미디어와 저개발 세계의 교육 -국제협조처(ICA)의 저개발국 기술협조와 한국의 시청각교육을 중심으로-"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32) : 129-160, 2022

      41 김우영, "냉전시기 미국의 교육원조전략의 변화와 한국 텔레비전 교육방송의 시작" 한국교육사학회 44 (44): 1-31, 2022

      42 유태영, "교육방송론" 도서출판 나남 1970

      43 김학천, "교육방송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86

      44 김승화, "교육방송 프로그램 활용 효율화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1987

      45 강현두, "교육TV와 급증하는 학교인구" 106 : 66-68, 1967

      46 남신동, "고등교육 기회의 수급격차와 개방형 고등교육의 팽창: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의 교육기회 확대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2 (22): 83-112, 2012

      47 Butterfield, Samuel Hale, "U.S. Development Aid--an Historic First:Achievements and Failures in the Twentieth Century"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4

      48 Wilson, Elizabeth Cecil, "The problem of value in technical assistance in education: the case of Korea, 1945-1955" University of Maryland 1959

      49 Stokes, Joseph M,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administration" 19 (19): 35-37, 1956

      50 김호영, "TV학교방송의 토착" 68 : 33-34, 1970

      51 김병렬, "TV시범학교에서 본 TV교육의 문제점" 68 : 40-43, 1970

      52 김창림, "TV방송의 운영과 학습경험의 조직" 83 : 143-147, 1971

      53 임복근, "TV 교육방송의 발전적 활용 방안" 84 : 18-23, 1971

      54 Kim, Wooyeong, "Localized Modernization of Educational Television in Korea" Arizona State University 2022

      55 한국방송공사, "KBS年鑑" 한국방송공사 1962

      56 Randolph Wieck, "Ignorance Abroad: American Educational and Cultural Foreign Policy and the Office of Assistant Secretary of State" Praeger 1992

      57 Sherman Dorn ; 김우영, "Federalizing the Education Gospel, 1945-2010" 교육사학회 32 (32): 145-171, 2022

      58 Kim, Wooyeong, "Dualized modernization: USAID and the educational television in South Korea" 1-13, 2023

      59 Dodge, Herbert Wesley, "A history of US assistance to Korean education, 1953-1966"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School of Education 1971

      60 Duedahl, Paul, "A History of UNESCO: Global Actions and Impacts" Palgrave Macmillan 2016

      61 공영민, "1950년대 저개발 세계의기초교육과 시청각교육-유네스코의 활동과 한국 신생활교육원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65) : 373-406, 202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