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 핵문제의 경제학적 고찰 = Economic Analysis of North Korean Nuclear Choi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273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imed at exploring motives behind North Korea’s nuclear aspirations by employing an economic framework of analytical tools. Applying the concepts of utility and efficiency helps understand puzzling political behaviors. The rational cho...

      This paper is aimed at exploring motives behind North Korea’s nuclear aspirations by employing an economic framework of analytical tools. Applying the concepts of utility and efficiency helps understand puzzling political behaviors. The rational choice model provides an effective tool for understanding North Korea’s behaviors, which appeared irrational, unreasonable and often mysterious, as shown the choice of nuclear weapons. Behavioral economics, a sub-field combining psychology and economics, can also be fruitfully applied to explain behaviors that hardly be understood as rational. This research examines North Korea’s nuclear choice from these two points of view. From rational choice terms which assumes leaders are self-interested and calculate costs and benefits of alternative course of actions that maximize their utility, North Korea’s nuclear option is the outcome of the process of goal-setting, recognition of circumstances and choice of the best option to achieve the goal of survival in the face of threats from the outside. This research analyzes the country's “goal”, “recognition” and “choice” under the rational choice framework. This paper also uses behavioral economics approach, which shows that North Korea’s decision to develope nuclear weapons might be motivated by the leader’s prompt emotions, such as flash antagonism against foreign enemies rather than rational calcul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명희, "행동경제학" 지형 2007

      2 고유환, "핵실험과 2?13 합의 이후 북한의 변화 가능성, North Korea’s Strategic Choice after Nuclear Test and Feb. 13 Agreement, and the Future of the Korean Peninsula, 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Studies 주최 국제회의 자료집 (2007년 4월)"

      3 "중앙일보 2006년 10월 14일"

      4 "조선일보 2007년 1월 1일"

      5 조동준, "왜 핵무기를 포기하는가" 2007

      6 이문규, "소비자행동의 이해" 법문사 2005

      7 이종석, "새로 쓴 현대북한의 이해" 역사비평사 2004

      8 전성훈, "북핵 ‘2.13 합의’와 평화적인 핵폐기 사례 분석" 통일연구원 2007

      9 문성민, "북한재정제도의 현황과 변화추이" (206) : 2004

      10 이종헌, "북한의 정책선택 패턴: 생존성과의 상관관계" 16 (16): 2007

      1 이명희, "행동경제학" 지형 2007

      2 고유환, "핵실험과 2?13 합의 이후 북한의 변화 가능성, North Korea’s Strategic Choice after Nuclear Test and Feb. 13 Agreement, and the Future of the Korean Peninsula, 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Studies 주최 국제회의 자료집 (2007년 4월)"

      3 "중앙일보 2006년 10월 14일"

      4 "조선일보 2007년 1월 1일"

      5 조동준, "왜 핵무기를 포기하는가" 2007

      6 이문규, "소비자행동의 이해" 법문사 2005

      7 이종석, "새로 쓴 현대북한의 이해" 역사비평사 2004

      8 전성훈, "북핵 ‘2.13 합의’와 평화적인 핵폐기 사례 분석" 통일연구원 2007

      9 문성민, "북한재정제도의 현황과 변화추이" (206) : 2004

      10 이종헌, "북한의 정책선택 패턴: 생존성과의 상관관계" 16 (16): 2007

      11 이달희, "북한국방비지출의 은폐구조 분석" 50 (50): 2007

      12 대외경제연구원, "북한경제백서" 대외경제연구원 2002

      13 최수영, "북한 최고인민회의 제11기 제5차 회의 평가" 통일연구원 2007

      14 통일연구원, "북한 사회주의체제의 위기수준 평가 및 내구력 전망" 통일연구원 1996

      15 성채기, "북한 공표군사비 실체에 대한 정밀 재분석" (70) : 2005

      16 한국은행, "북한 경제성장률 추정결과" 한국은행 (각년호) :

      17 "동아일보 2006년 11월 22일"

      18 성채기, "군비증강 능력측면에서 본 북한 경제위기 10년" (61) : 2003

      19 이경은, "공공정책과 합리적 선택" 박영사 2005

      20 김태현, "결정의 엣센스: 쿠바 미사일사태와 세계핵전쟁 위기" 모움북스 2005

      21 Allison, Graham, "Essence of Decision: Exploring the Cuban Missile Crisis" Longman 1999

      22 Selten, Reinhard, "Bounded Rationality" 146 : 1990

      23 Tversky A, "Advances in Prospect Theory: Cumulative Representation of Uncertainty" 5 (5): 1992

      24 외교안보연구원, "2007년 국제정세전망" 외교안보연구원 2007

      25 통일부, "2000 북한개요" 통일부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5 0.824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